• 최신 건강기능식품학

머리말


건강한 삶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고 바램이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지속적인 운동과 좋은 먹거리의 선택에 있다. 과학기술이 발달되고 도시화가 되면 서 생활의 형태가 변하게 되고, 식습관이 바뀌고 운동량이 감소됨 에 따라 많은 질병이 발생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성인병의 발생 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건강유지를 위한 식품의 3 차 기능인 생리적 기능성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무분별한 오용과 남용 및 광고에 의한 부작용 등이 발생함에 따라 식품의 기능성이 과학적이고 합법적으로 규명되고 적용되어 공급자나 소비자나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는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강기능식품의 개념이 도입되어 식품의 기능성을 제도적으로 보호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내 건 강식품은 1973년도부터 식품위생법에서 처음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1989년 7월 식품위생법에 건강보조식품 제조업과 특수 영양식품 제조업의 업종이 신설되면서 건강보조식품을 “건강 보조를 목적으로 원료에 특정 성분이 포함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 있는 특정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가공한 식품”으로 정의하고 건강보조식품을 알로에, 스쿠알렌, 효소 등 21개 품목군으로 지정하였다. 이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건강기능식품법)은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확보 및 품 질향상과 건전한 유통·판매를 도모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증진과 소비자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여 2002년 8월 26일에 제 정·공포되었으며, 동법시행령이 2003년 12월 18일에 제정·공포되 었고, 동법 시행규칙과 관련고시가 2004년 1월31일에 제정·공포 되어 건강기능식품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본서는 건강기능식품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건강기능식품의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도록 소개하고, 기능성 확인을 위해 현장 에서 이용되는 시험방법을 기록하였으며, 실제실험실과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실무적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과 실무적   내용의 이해를 통하여 현장성 있는 내용이 전달될 것을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교수님 들과 자료를 제공해 주신 분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특별히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도서출판 석학당 윤용호 사장님을 비롯한 임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 니다. 

2018년 6월 

저자 씀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