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준 & 동의보감 3

필자는 대학에서 한의학을 전공하고 오랫동안 한의사로서 의료 활동을 해왔을 뿐만 아니라, 많은 한방 의서들을 집필한 바 있어 필자의 그런 지식과 경험을 살려 이제까지 나온 허준에 관한 소설이나 드라마 등에서 자주 보이는 한의학적인 오류와 무지, 잘못된 내용이나 한의학적인 설명의 부족함 등을 세밀히 파악하여 이를 한의학 이론과 한방의학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여 이 책을 썼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


[목차]


제1장 비바람은 다시 몰아치는데

선조를 끈질기게 괴롭힌 편두통 

이명(耳鳴) 또한 선조의 오랜 고질병이었다 

선조, 허준에게《동의보감》의 편찬을 명하다 

정유재란(丁酉再亂)

전쟁은 또다시 터졌는데…… 

칠천량 해전(漆川梁海戰) 

위기에 빠진 호남(湖南) 


제2장 임금의 통증과 백성들의 절규

선조를 찾아온 무릎 통증 

대나무 그릇이 떨어지면 대나무로 고치고, 금 그릇이 깨지면 금으로 때운다 

광해군의 침의(鍼醫)였던 허임(許任) 

몰락한 양반 집안에서 천민으로 태어난 허임 

필사즉생 필생즉사(必死卽生 必生卽死) 

명량대첩(鳴梁大捷) 

선조의 담음병(痰飮病)과 가입이진탕(加入二陳湯) 


제3장 허망한 종전(終戰)

노량해전(露梁海戰)

전쟁이 남긴 깊은 상흔(傷痕)과 비탄의 노래 

매독(梅毒) 창궐하다 

기녀(妓女) 노릇도 한 의녀(醫女)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죽음과 우울증에 빠진 선조 

내의원 수의(首醫)에 오른 허준 

허준, 허임의 침술을 높이 평가하다 


제4장 반목과 질시(疾視)의 덫

이덕형과 제호탕(醍醐湯) 

보류된 정1품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선조의 이명을 치료한 허임의 보사침법(補瀉鍼法)

선조의 기절(氣絶) 

선조의 갑작스러운 승하(昇遐) 

선조의 독살설 

광해(光海) 임금이 되다 

마침내 완성된 《동의보감》


제5장 불멸의 광영(光榮)

《동의보감》 우리 민족의학의 빛나는 금자탑 

허준이 편찬한 또 다른 의서들 

화증(火症)과 심질(心疾), 안질 등에 시달렸던 광해군 

화증과 심기(心氣) 

당쟁의 격화 속에 충신들은 떠나고…… 

《동의보감》으로 남은 허준, 먼 길을 떠나다 


후기(後記)

사후(死後) 376년 만에 발견된 허준의 묘소 

허준의 업적과 그가 살았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허준 박물관 

동의보감―조선 유학의 인간과학

《동의보감》의 탄생과 새로운 인간과학

허준이 그린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

자연(自然)과 당연(當然) 

자연을 닮은 인간 

도교와 불교의 주술적 의학 

양생(養生)의 정치학 

더 생각해 볼 문제들 

허준 연보 

<참고 문헌> 

허준 & 《동의보감》 화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