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
역류성 식도염·부정맥·갱년기 증상이 있으시다면
-
- 카테고리
- 건강정보, 한의학
- 저자
한진 (지은이)
- 출판사
- 지식과감성#
- 페이지
- 202쪽 | 148*210mm (A5) | 263g
- ISBN
- 9791165526900
- 출판일
- 2021-02-10
- 링크

다음은 역류성 식도염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1. 목 이물감
목에 뭔가 걸린 느낌으로 가래는 거의 없으나 흰색 소량이 나오기도 합니다. 신경 쓰고 소화가 안 되면 더 심해지고, 후두염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소 목이 잘 잠기고 목소리가 갈라지거나 잘 쉬고, 노래 부를 때 높은음이 잘 안 올라가고 성량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2. 명치 통증, 소화 불량, 속 쓰림
식후 속이 더부룩하고 답답하시며 속이 쓰리기도 하실 겁니다. 왼쪽 갈비뼈 하단이 뻐근한 경우가 많고 간혹 오른쪽 갈비뼈 하단이 뻐근한 경우도 있습니다. 신경을 많이 쓰거나 소화가 잘 안 되면 배꼽 주변으로 심장 박동처럼 뛰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3. 등 통증
위장 기능이 좋지 않으면 등이나 어깨 가운데가 많이 아픈데, 심한 경우 왼쪽 어깨 위쪽으로 올라가는 통증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물리치료나 침 치료로 잘 낫지 않으며, 위장 기능이 좋아져야만 개선됩니다.
4. 입 마름, 혀가 마름, 혀 통증, 마른기침
혀에 설태가 별로 안 끼고 입안이 항상 건조하고, 심한 경우 입안이나 혀가 따끔거리거나 아픕니다. 갱년기이면서 위장 질환을 가진 경우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건조한 계절엔 목이 간질거리고 기침이 나기도 합니다.
5. 불면증, 우울증, 불안 장애, 공황 장애
만성적인 위장 질환은 컨디션 저하와 업무 효율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불안이나 불면 증상을 유발합니다. 잠자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중간에 자주 깨고 자고 나면 생각도 잘 안 나는 꿈을 많이 꾸게 됩니다. 불안과 우울 증상이 심해지면 공황 장애처럼 가슴이 답답하고 가슴이 많이 두근거리고 심한 경우 숨쉬기가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6. 가슴 두근거림, 가슴 통증, 가슴 답답함
소화가 안 되어 상복부가 팽만 되면 가슴 두근거림 증상이 더 심해지고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경우 가슴에 뭔가 막힌 느낌이 들면서 답답한 기분이 듭니다. 명절 과식 후 이런 증상이 많이 납니다.
7. 연하 곤란, 음식 냄새나 특정 맛에 대한 거부 반응
음식물이 위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식사 때가 되어도 밥을 먹고 싶다는 생각이 줄어들고 음식을 먹어도 목이나 가슴에서 걸리면서 내려가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심하면 음식 조리할 때 나는 냄새에 역한 느낌이 들고, 매운맛, 짠맛 등 특정 맛의 음식을 멀리하게 됩니다.
8. 갱년기 고통, 체력 저하
젊은 시절부터 위장이 좋지 않거나 혹은 잔병치레를 하지 않은 건강한 사람도 갱년기가 되면, 모든 장기의 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데 위장의 경우 운동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음식물이 분해가 덜된 채 위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속이 항상 더부룩하고 영양흡수가 떨어져 만성적인 체력 저하, 무기력감, 식욕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9. 건강 염려증, 약재 과민성
위장병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그날그날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일희일비하게 되고 인터넷 검색으로 자꾸만 확인하려 들고 심해지면 반복적으로 병원에서 검사를 받으며 지내기도 합니다. 또한 어떤 약을 먹으니 눈이 아프거나 머리가 아프다든지 등의 약재에 대해 몸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10. 담적
위장이 안 좋은 분은 담적(痰積)이라는 말을 한번씩은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담(痰)은 우리 인체에 순환이 안 돼서 생긴 노폐물을 말하는데 주로 습과 열이 만나서 생성됩니다.
담은 유동적이기 때문에 우리가 배를 눌렀을 때 ‘꾸루룩 꾸루룩’ 소리가 나는 걸 담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일이나 운동을 많이 한 후 근육에 뭉치고 아픈 증상을 담 결렸다고 표현하기도 하죠. 이때 통증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양상을 보입니다. 담은 주로 이렇게 말랑말랑한 형태입니다. 그런데, 담이 쌓이다 보면 단단하게 굳어진 형태가 되는데요. 특별히 복근 운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배가 단단한 경우나 위장병이 오래되어 등이나 어깨가 꾸준히 아픈 경우도 있는데, 이런 증상을 담적이라 부르는 겁니다. 위장의 운동성이 떨어지면 순환이 더 안 되기 때문에 복부 근육도 뭉치고 등과 어깨 근육도 잘 뭉치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담적은 인체의 노폐물이 많이 쌓인 형태를 말하는 것이라 이해하시면 될 것입니다.
11. 부정맥
부정맥이란 심장 리듬이 불규칙한 증상을 말합니다. 분당 맥박수가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리고 혹은 간헐적으로 맥박이 한번씩 쉬는 증상 모두 부정맥입니다. 부정맥 진단을 받아도 증상의 경중의 차이가 많으며, 부정맥이 다른 심장질환으로 발전하기 전에 조기에 치료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정맥은 인체 컨디션의 변화에 민감하므로, 육체적 정신적 피로가 가중되고, 심장과 위장기능이 저하되면 그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진료 검사 및 치료도 받았지만 잘 낫지 않고 명확한 이유도 알 수 없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모를 때 이 책은 답을 제공할 것입니다. .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