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과학자의 엄마, 치매에 걸리다 - 기억을 잃으면 그 사람은 ‘그 사람’이 아닌 걸까?

기억을 잃으면 그 사람의 자아도 사라지는 걸까?


청소도 요리도 그토록 완벽했던 엄마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소파에 웅크리고 있다. 엄마가 멈추자 집도 멈췄다. 엄마가 이상하다고 느꼈지만, ‘설마 엄마가….’라는 믿고 싶지 않은 생각을 억누른 채 열 달이 지나서야 병원 문을 두드렸다. 엄마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알츠하이머병)를 진단받았다. 겨우 예순다섯이었다. 십수 년간 뇌를 연구해온 저자는 치매는 누구나 걸릴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었지만 자신의 가족과는 연결시키지 못했다. 뇌과학자이면서도 엄마가 치매에 걸리는 걸 막을 수 없었고 치료할 수 없다는 상황을 처음으로 받아들여야 했을 때 세상이 끝나는 듯한 충격을 받고 무력감에 빠졌다.


‘나를 잊는 날이 오면, 엄마가 잘했던 것을 전혀 할 수 없게 되면, 엄마가 아니게 되는 걸까?’

‘기억력 등 인지능력이 저하되면 좋아하거나 싫어하거나 무엇이 소중한가 하는 엄마의 인격, 감정까지 바뀌어버릴까?’

‘건강한 모습까지만 엄마일까, ‘엄마다움’이란 무엇일까?’


이제 엄마는 엄마가 아니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불안하고 비참하기만 했던 저자는 2년 반에 걸쳐 매일의 사건, 기분, 감정 전부를 토해내듯 빼곡하게 기록해나갔다. 그것은 엄마가 지금까지 당연히 해왔던 많은 일들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현실에 맞닥뜨리는 순간순간이면서도 ‘엄마에게 남은 건 무엇인가’를 발견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저자를 가장 큰 두려움에 몰아넣었던 의문 ‘기억을 잃으면 그 사람은 ‘그 사람’이 아닌 걸까?’는 일기를 쓰면서 딸이자 뇌과학자로서 치매로 인한 그 사람다움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엄마 곁에서 찾겠다는 단단한 다짐으로 바뀌었고, 그 결과물로 나온 것이 이 책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관한 뇌과학적 처방전


현대 의학으로 아직까지 치료제가 없는 병.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아무도 모르는 병. 그런 병에 걸린 엄마를 위해 저자는 더더욱 엄마에게 도움이 될 일을 직접 찾아 나서기로 결심하면서 엄마가 할 수 없게 된 여러 가지 것들보다 ‘엄마에게 남아 있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닫는다. 뇌과학 관점에서 치매에 관하여 저자가 발견한 것은 무엇일까? 저자는 자신의 발견과 고찰이 치매 환자와 그 가족, 주변 사람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