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
땀의 과학
-
- 카테고리
- 건강정보
- 저자
사라 에버츠 (지은이), 김성훈 (옮긴이)
- 출판사
- 한국경제신문
- 페이지
- 396쪽 | 147*220mm | 660g
- ISBN
- 9788947548342
- 출판일
- 2022-07-07
- 링크

땀으로 우리의 일상과 세상을 바라본다면?
과학, 역사, 문화를 가로지르는 땀의 모험
여름이 시작됐다. 가만히 있어도 땀이 난다. 말끔하게 차려입었건만 얼굴과 몸이 땀으로 범벅이 되는 일도 부지기수. 생각만으로도 땀이 나는 것 같다. 이처럼 땀은 여름의 불청객이자 일상의 훼방꾼처럼 여겨지는데, 어쩌다 이런 오명을 쓰게 된 걸까? 오랫동안 과학 기자로 활동한 사라 에버츠는 이렇게 묻는다. 우리 모두 경험하고, 인간을 인간답게 해주는 생물학적 과정을 프로답지 못한 민망한 일로 여긴다.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곰곰이 따져보면 땀이 갖는 의미는 훨씬 더 복잡하고 다양하다. 우리는 땀을 숨기기 위해 애쓰기도 하지만, 반대로 땀을 일부러 흘리기 위해서도 시간과 돈을 쓴다. 체취제거제, 향수, 땀억제제 등이 땀을 감추는 일이라면 사우나, 스피닝 피트니스, 핫 요가는 땀을 흘리는 일이다. 땀은 또한 수치심과 민망함, 오염과 악취를 연상시킬 뿐만 아니라 정화, 성적 매력, 활력을 떠올리게 한다.
땀에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
빨간색 땀을 흘리는 사람부터
체취 제거를 위한 분투의 역사까지,
너무나 매력적임에도 지금까지 몰랐던 땀의 세계
땀은 무엇보다 우리의 생존을 도와준다. 사람의 몸은 누워서 쉴 때처럼 아무 일도 하지 않는 듯 보이는 동안에도 많은 열을 생산한다. 격한 신체 활동을 하거나 무더운 날에는 말할 것도 없다. 바로 이때 땀이 나기 시작하는데, 체온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땀이 배출됨으로써 체온이 낮아지는 원리다. 한여름 봇물 터지듯이 쏟아져 나오는 소금물이 우리의 몸을 식혀 고열로 헛소리하거나 열사병으로 죽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이다. 물론 고온다습한 날씨 앞에서 옷이 땀투성이가 된 사람을 생각하면 별로 위로가 되는 말은 아니지만 말이다.
이 이야기를 들으면 조금 더 위로될지 모르겠다. 땀을 흘리지 못해 인간보다 훨씬 더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체온을 조절하는 동물의 이야기다. 거대한 크기의 새 콘도르는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자신의 똥을 뒤집어쓴다. 땀을 흘리는 것이 체온 조절의 가장 효율적이고 청결한 방식이라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된다. 에버츠는 땀이 없었다면 인간의 체온 냉각 메커니즘은 효율도 떨어지고 냄새도 더 지독한 끔찍한 메커니즘으로 대체되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땀 흘리기 능력이 인간이 자연계를 지배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고 이야기하는 학자들이 다수 있는데, 완전히 과장은 아닌 셈이다. 하버드대학교 진화생물학과 교수 대니얼 리버먼이 대표적이다.
화학 석사를 갖고 있고 현재 대학교에서 저널리즘 강의를 하는 저자는 이후 본격적으로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는다. 과학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와 산업까지, 경계를 넘나든다. 먼저 과학 수사, 의복 디자인, 향 개발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땀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수사에 중요하게 활용되는 것 중 하나가 용의자의 지문인데, 지문은 사실 땀으로 인해 생긴 자국이다. 또한 의류 회사에서는 ‘가짜 땀’을 다양하게 활용하는데 신상품을 출시하기 전에 옷이 땀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테스트하기 위해서다. 땀이 묻었을 때 색이 변하거나 냄새가 나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땀에 대해 잘못 알려진 상식도 다룬다. 대표적인 것이 땀과 노폐물 배출의 관계다. 사실상 효과가 없다. 또한 스포츠음료 역시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특별히 효과가 있지 않다고 한다. 쉽게 접하기 힘든 이야기인 ‘데오드란트‘ 발명사와 땀을 너무 많이 혹은 너무 적게 흘려서 고생하는 사람들의 사연도 흥미롭고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한편 저자는 ‘사우나 극장’ 공연 (독일)과 냄새 매칭 데이트 행사 (러시아) 같은 땀과 관련한 이색적 이벤트를 직접 참여하기도 했는데, 마치 세계 여행을 하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 두 나라뿐만 아니라 네덜란드, 핀란드, 미국, 프랑스 등 ‘땀의 세계’를 생생하게 전하기 위해 전 세계 곳곳을 누빈다.
저자가 땀에 관해 관심을 갖게 된 계기이자 ‘들어가는 글’에 실린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한번 살펴보자. 1996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있었던 ‘빨간색 땀’ 사건이다. 그해 여름 한 여성이 아주 특이한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았다. 몸에서 빨간색 땀이 난다는 것이었다. 이 사례는 수많은 과학자와 피부과 전문의의 관심 대상이 되었고 '붉게 물든 속옷의 사례: 색땀증에 대한 재고'라는 제목의 논문으로도 발표되었다. 그나저나 원인이 무엇이었을까? 놀랍게도 과자였다. 매운 토마토 맛의 과자 닉낙스 (NikNaks Spicy Tomato).
이 간호사는 이 매운 토마토 맛을 강박적으로 좋아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녀의 의료진은 과학논문에서 이것을 ‘6개월간의 집착 (six-month fetish)’이라고 묘사했다. 콘칩에 대한 그녀의 사랑을 집착이라고 부른 것은 결코 과장이 아니었다. 이 간호사가 의사에게 말하길 자기는 오랜 기간 동안 일주일에 500에서 2,500그램 정도의 콘칩을 먹었다고 했다. 닉낙스가 한 봉지에 55그램이니까 이 간호사는 일주일에 45봉지, 하루에 6봉지 정도를 먹어 치운 것이다.
심도 있는 과학적 지식부터 가볍게 웃어넘길 수 있는 에피소드까지, 과학에 흥미가 없던 사람이라면 과학에 재미를 붙이게 되는 계기가 될지도 모른다. 탄탄한 취재와 조사를 기반으로 한 생생한 서술도 장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