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
과학자를 울린 과학책
-
- 카테고리
- 건강정보
- 저자
강양구, 김범준, 김상욱, 송기원, 이강환, 이은희, 이정모, 이지유, 정경숙, 황정아 (지은이)
- 출판사
- 바틀비
- 페이지
- 252쪽 | 210*297mm (A4) | 680g
- ISBN
- 9791191959147
- 출판일
- 2022-08-12
- 링크

과학 책에 도전할 용기를 주는 과학자들의 가이드북
과학이 교양이 된 시대, 과학자들은 어떤 과학 책을 어떤 방식으로 읽어나갈까? 과학 이외의 문학 작품이나 논픽션, 에세이를 읽을 때 과학자의 시선은 보통 사람들과 다를까? 열 명의 과학자 및 과학 커뮤니케이터들이 한 해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과학과 비과학 분야의 책을 각각 한 권씩 선택하고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담은 서평집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수십 년간 과학을 공부하고, 연구하고, 강의해온 뛰어난 과학자들이지만 이들도 과학 책을 소설책처럼 술술 읽어나가는 건 아니다. 김범준 교수는 일단 손에 잡은 책은 아무리 읽기 힘들어도 무조건 끝까지 읽는다는 원칙을 세워놓고 어떻게든 붙잡고 계속 읽어야만 좀 더 이해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강환 관장은 자신 또한 다른 분야의 과학 책을 읽을 때는 용어가 어렵다면서 용어에 익숙해지면 더 쉽게 읽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이정모 관장은 종이 쪼가리에 간단한 계산을 하면서 양과 시간, 크기를 가늠하며 읽는다고 귀띔해 준다. 이지유 작가는 과학 지식을 생산해 내는 과정은 상상도 할 수 없이 고되다고 토로한다. 생산 과정이 고되다면 그 지식을 이해하는 과정 또한 고될 수밖에 없다.
그동안 과학 책이 너무 어려워 차마 도전할 엄두를 못 냈던 사람이라면 이제 이 가이드북을 들고 과학 책 탐험을 떠나보자. 과학자가 골라낸 좋은 책을 배경지식과 함께 읽어나가면 과학 책 읽기의 망설임이 한 뼘 낮아질 것이다.
우주를, 인간을 이해하려는 과학자들의 책 읽기
저자들은 과학의 역사가 끊임없이 인간 중심의 세계관에서 탈피해온 역사였다고 입을 모은다. 옛사람들은 간절히 원하면 하늘에서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제 인간은 물리적 공간에서 물리적 법칙의 지배를 받으며 구체적으로 몸을 지니고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140~142쪽). 지동설의 발달은 우리가 발을 딛고 사는 지구도 태양계의 일개 행성이라는 사실을, 천문학의 발달은 이 광막한 우주, 영겁의 시간 속에서 우리 인류는 좁은 공간, 찰나의 순간을 살다가 가는 존재임을 알려주었다 (46쪽). 우리처럼 울고 웃던 인간이 하늘로 올라가 별이 되는 게 아니라 인간은 별 먼지로 만들어진 존재에 불과하다 (94쪽, 111~112쪽). 무언가를 끊임없이 먹어야 하는 종속영양생물인 인간에 비해 광합성을 발명해낸 식물은 위대해 보이기까지 한다 (204쪽, 187쪽). 인간의 ‘자유의지’도 환상이자 기생생물의 조작에 불과하며 ‘의식’이란 정보가 어떤 복잡한 방식으로 처리될 때의 느낌에 불과할지 모른다 (54쪽, 210쪽, 45쪽). 이렇게 인간이 특별하지 않다는 깨달음이 있기에, 우리 인간은 소중하다는 것이 저자들의 통찰이다. 세상을 사실 그대로 보는 관점 때문에 인간이 할 수 있는 것들이 늘어났고 인류가 도달할 수 있는 우주적 범위가 확장되었다 (142쪽). 아직은, 우주를 이만큼이나 이해하는 종은 우리밖에 없다. 인간은 숱한 죄를 지었지만, 이를 만회할 의지와 능력과 기회를 갖고 있기도 하다 (23쪽).
이 책은 과학 책을 일상어로 쉽게 풀어내면서 이 세상을 조금 더 다른, 조금 더 큰 시각에서 바라보고 서로에 대한 이해와 연민으로 공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과학자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
저자들은 과학 책을 읽으면 과학 지식을 배울 수도 있지만 과학적으로 생각하는 법, 과학자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세상은 원래 그래'라는 우리의 상식과 고정관념을 잠시 내려놓고 과학자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그 생각을 어떻게 현실에 적용하는지 진지하게 관찰해 볼 계기를 제공한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