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이 힘들면 몸을 살짝, 움직입니다

마음만으로 되지 않는 날, 몸이 다가왔다.

어느 정신과 의사의 작고 느릿한 몸 챙김 이야기


마음대로 되는 줄 알았다. 그런데 마음이 최선을 다할수록 몸은 더 힘들어했다. 이런 몸의 소리를 마음이 외면하자, 우울이 찾아오고 공황도 경험했다. 이 책의 저자이자 10년 차 정신과 의사에게 일어난 이야기다. 저자는 출산을 앞두고 갑자기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면서 우울과 좌절감 등 부정적인 감정에 빠진다. 몸이 마음에 휘두른 위력은 생각보다 거세고 강력했다. 저자는 마음은 마음만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요가를 배우며 몸의 소리에 귀 기울이기 시작한다. 우리는 외부의 시선으로 자기 몸을 바라보는 것에 익숙하다. 그런 탓에 정작 스스로 내 몸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는 잘 알지 못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몸을 자기만의 감각과 움직임으로 찾아 나갈 때, 가장 편안하고 자기다울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도 자신의 몸을 직접 느껴보면서 스스로에 대한 끊임없는 자책과 판단을 내려놓고 자기 몸과 마음을 알아가는 법을 배워나갔다고 고백한다.


죽은 것은 움직이지 못한다.

오직 살아 있는 존재만이 움직일 수 있다.


우리는 몸으로 숨을 쉬고, 걷고, 움직이며 살아간다. 몸은 기쁨과 슬픔을 움직임, 몸짓, 자세, 호흡, 표정, 걸음걸이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죽은 것은 움직이지 못한다. 오직 살아 있는 존재만이 움직일 수 있다. 그렇다면 살아 있다는 것은 움직인다는 것이 아닐까. 저자는 출산으로 병원 침대 위에 온종일 누워 지내면서 지독한 우울을 경험한다. 이때 저자에게 찾아온 우울은 마음의 병이기보다는 움직이지 못하는 몸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몸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면 깊은 좌절감을 느끼게 된다. 그것은 삶을 더욱 무의미하게 만들고, 급기야 우울증을 악화시킨다. 그래서 저자는 삶이라는 무대 위 배우가 아무리 좋은 시나리오가 있더라도 의미 있는 움직임으로 실현되지 않는다면 빛을 발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죽고 싶다고 생각하는 순간에도, 몸은 온몸으로 살고 싶다고 말했다.

환자들과 함께한 몸의 치유적 경험들


저자가 자기만의 감각과 움직임을 찾아 나가는 시간은 마음에도 안정감을 주었다. 정신과 의사로서 저자는 이런 몸의 치유적 경험을 환자들과도 공유한다. 저자가 만나온 상당수의 환자는 마음의 문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신체 증상으로 어려움들을 호소했다. 공황장애의 경우, 불안과 긴장으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 가령 숨을 쉬기 어려운 느낌, 가슴 답답함, 어지러움 등으로 힘들어하는데, 이런 경우 내과나 외과 등 다른 과를 거쳐도 원인을 찾아내지 못하거나 상담 치료를 해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마음에서 생겨난 원인으로 나타난 신체 증상이어도 마음만으로는 잘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몸을 통해 드러난 증상을 마음이 아닌 몸을 통해 접근하게 되었다. 이 책에는 저자가 환자들과 함께한 몸 작업이 다양하게 소개된다. 성폭행 생존자와 발바닥 감각을 느끼며 걷고, 우울증을 앓고 있는 모녀가 서로의 견갑골 부위에 손을 갖다 대며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마다 날개뼈의 움직임을 느끼며 살아 있음에 감동한다. 또, 가정 폭력의 상처로 힘들어하는 환자와는 그라운딩을 하며 몸과 바닥과의 안정감을 다진다. 이처럼 극심한 마음의 고통은 몸에도 흔적을 남겨놓았지만, 저자는 우리 몸 안에는 살고자 하는 의지 또한 깃들어 있었다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몸 안에 깃든 회복탄력성이다.


애쓰지 않고, 천천히 나만의 움직임으로 살기로 했다

열등감, 자기 비하, 스스로 부족하다고 느끼는 당신에게 몸이 전하는 이야기


심리학자 폴 길버트는 끊임없는 자기 비난이 우울, 불안, 수치심 등 수많은 부정적인 감정을 만들어낸다고 했다. 저자는 일이 잘못되면 자책하며 자신을 괴롭히기도 했는데, 그럴 때마다 어깨와 턱에 힘이 들어갔다. 몸이 긴장해서 얼어붙고 있다는 신호였다. 하지만 얼어붙은 몸과 마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저자는 자기 비난의 선글라스를 쓰기 시작하면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하며,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보이지 않는다고 말한다. 따라서 몸의 이런 반응을 통해서 자기 자신에게 좀 더 다정하게 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나 자신과 잘 지내는 것이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다. 어쩌면 자신을 가장 미워하고 괴롭히는 것은 나 자신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나를 함부로 대하지 않고 나 자신과 잘 지내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할까. 그것은 저자의 말처럼 거창한 것이 아니라 내 몸을 잘 돌보며 나만의 움직임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저자는 이 책에서 내 몸에 귀 기울이며 나를 돌보는 것이 바로 자신을 사랑하는 삶이라고 알려준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