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
마이크로바이옴, 건강과 노화의 비밀 - 미생물과의 공생 네트워크
-
- 카테고리
- 건강정보
- 저자
B. 브렛 핀레이, 제시카 핀레이 (지은이), 김규원 (옮긴이)
- 출판사
- 파라사이언스
- 페이지
- 407쪽 | 150*210mm | 529g
- ISBN
- 9791188509621
- 출판일
- 2022-10-30
- 링크

현대 의학의 교과서를 바꿀 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옴, 즉 미생물은 이 지구가 끓는 물로 뒤덮여 있던 때로 거슬러 올라가 35억 년 이상을 줄기차게 살아오고 있다. 그동안 지구의 기후는 엄청난 변화를 보였지만 미생물들은 우리가 숨 쉬는 공기를 만들며 지구의 모든 곳에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인류에게 미생물의 존재가 드러난 것은 17세기 후반에 현미경이 만들어지면서부터다. 그 후 미생물은 대체로 병을 퍼뜨리는 나쁜 병원균으로 알려졌다. 건강을 위해서는 철저히 박멸해야 할 대상이었다.
21세기 초에 인간의 유전자분석을 위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성공한 이후, 그 첨단 기술이 미생물 분석에 적용되면서 미생물에 관한 연구가 급진전하게 된다. 오늘날 미생물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미생물은 우리 몸속 곳곳에 존재하며 우리와 함께 수백만 년 공진화하면서 공생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인간과 미생물의 밀접한 관계는 다양한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예컨대, 거의 3년이 걸리는 화성 탐사에 나선 우주인의 몸속 미생물 군집은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가도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을 정도이다.
최근 의학계는 마이크로바이옴에 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들 내놓는 새로운 연구 결과물들은 기존의 분자생물학 중심의 의학 교과서 체계를 흔들고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우리 몸의 미생물 군집을 가장 최근에 발견된 장기라고 명명할 정도이다.
노화 과학의 첨단 연구 분야는 미생물
과학적 연구 결과에 의해 노화 과정을 저지할 방법들이 상당수 개발되었다. 노화 방지책으로 항산화제 약물, 식이 제한법, 폐경기 증세를 완화하는 호르몬 보조제, 그리고 건강 보조제, 화학적 또는 외과적 박피술, 레이저 박피술, 초음파, 그리고 성형수술을 포함한 다양한 피부과적 처치법 등이 망라되어 있다. 이런 방법들의 다수가 화려하게 과장되고 첨단 기술이라고 광고되고 있지만, 현재의 노화 과학에서 가장 주목받는 첨단 연구 분야는 이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이 관여하고 있다. 바로 ‘미생물’이다.
인간의 수명은 25%가 유전적이고 나머지 75%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정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 말이 뜻하는 바는 우리의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주는 대다수의 요인을 우리가 좌우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부모가 암 환자라고 해서 자식이 암에 걸릴 운명에 있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 물론 암에 걸릴 확률이 높은 유전자를 물려받았을 수 있지만, 우리의 미래는 어떤 환경조건에서 생활하는가에 훨씬 더 좌우된다. 그리고 환경요인 가운데 가장 큰 부분이 우리의 몸속 미생물 군집이다.
인간이 생물학적으로 최고점에 도달하는 시기가 12살 내외로, 그때까지는 신체와 몸속 미생물 군집은 같이 성장한다. 그러나 12세 이후가 되면 8년마다 죽음의 기회가 두 배씩 증가하는데, 만약 12살 상태로 유지된다면 천 년 이상을 살 수가 있다고 한다. 미생물 군집을 잘 관리하는 방법은 멀리 있지 않다. 생활 습관과 음식, 운동이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우리의 일상이 우리 몸뿐만 아니라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을 돌보는 비결인 셈이다.
이 책의 구성상 특징
이 책은 노화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의 기능에 대해 완벽하고 완성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대신 건강하게 산다는 것은 일생에 걸친 과정이라는 것을 깨닫게 하고, 건강하게 늙어가고 싶은 독자들에게 무엇을 시작하면 좋을지를 제시한다. 이 책의 각 장에서 미생물의 흥미진진한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면서 우리 몸의 주요 장기와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각종 장기의 미생물들이 머리에서 발가락에 이르기까지 몸 전체에 걸친 노화 과정에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대해 과학적으로 밝혀진 사실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독자가 18세든 80세든 남은 생애 동안 가능한 한 건강하고 품위 있게 나이 드는 데 도움을 주는 생활 습관이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책의 3가지 핵심 관점
첫 번째는 미생물 분야에서 나온 새로운 연구 결과들로서 현대 의학 교과서를 바꿀 개념들이다. 그러나 이 개념들은 10년도 채 되지 않은 아주 최근에 대두된 것으로 현장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아직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다. 다른 새로운 과학 영역과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얻은 결과로는 상충하는 부분과 모호한 부분이 많아 명확한 해답을 얻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강조하는 대장 미생물 조성의 풍부함이 건강에 유익하고, 몸 구석구석에 일어나는 염증 반응에 미생물이 관여되어 있다는 사실은 모든 사람에게 일반화시킬 수 있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미생물에 관한 막대한 양의 정보를 취합하고 농축해 그 핵심을 독자들이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게 했다.
두 번째 관점은 일반적으로는 아직 다루고 있지 않은 건강한 노화 과정에 미치는 미생물의 영향에 주목한 것이다. 이 책의 여러 군데에서 언급하겠지만 미생물을 잘 이용해 양호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면서 늙어간다는 개념이 시작되고 있다. 건강하게 늙는다는 것이 65세가 넘은 사람들에게나 해당하는 것으로 언뜻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건강하게 늙는 것은 일생에 걸쳐 일어나는 일이다. 20대에 한 일들이 수십 년 후에 그 영향을 나타내곤 한다. 예를 들어 22세 때 농구 시합 중 삔 발목관절이 70세가 되어서 걸음을 힘들게 할 수도 있지 않은가? 이런 관점에서 이 책은 일생에 걸친 장기간의 건강을 염려하는 모든 연령층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세 번째는 미생물은 우리 몸 내부와 주변 모든 곳에 있다는 관점이다. 지금까지의 미생물 관련 저술들은 주로 대장 미생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대장 미생물이 인체의 모든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지금은 다른 장기의 미생물들도 각기 다른 대단히 흥미로운 방식으로 우리의 건강과 질병 그리고 노화 과정에 깊숙이 관여한다는 사실이 점차 알려지고 있다. 대장의 미생물과 같이 입과 구강 내부, 피부 그리고 비뇨, 생식기관, 폐 등에 많은 종류의 미생물집단이 조화롭게 서식하고 있으며, 동시에 미생물들은 화학물질을 분주히 생산할 뿐만 아니라 여러 활동을 통해 우리 몸의 무수한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예로 HDL/콜레스테롤 함량의 1/3 이상, 그리고 비만의 척도인 체질량지수 BMI의 1/4을 미생물이 담당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런 연구 결과들에 의해 각 개인의 독특한 미생물 조성에 입각한 효과적인 개인별 식이요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