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
내 몸을 살리는 영양과 건강 이야기 3 -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
-
- 카테고리
- 건강정보
- 저자
박광균 (지은이)
- 출판사
- 조윤커뮤니케이션
- 페이지
- 476쪽 | 152*225mm | 619g
- ISBN
- 9791191779080
- 출판일
- 2022-11-10
- 링크

왜곡된 영양 정보 범람에서 상업적 논리 배제한 의미 있는 영양 의약학 서적
건강과 영양에 대한 깊은 통찰과 알기 쉬운 설명
생각한 것보다 영양에 대해 사람들이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는 정보들이 범람하고 있다. 그래서 영양에 대한 지식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의과대학에서 영양 의약학을 전공으로 연구와 강의 활동에 매진한 박광균 교수가 상업적 논리를 배제하고 오랜 연구 시간과 최근 2년이 넘는 집필을 통해 완성한 영양학의 백과사전이다. 건강과 영양에 대하여 깊은 통찰과 알기 쉬운 설명으로 의약 분야 전문인뿐만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도움을 주는 영양 의약학 서적이다.
이 책은 예방의학적 관점에서 나이 듦에 대한 우리 몸의 생리학적 변화에 따른 건강한 삶을 위한 영양 균형을 어떻게 맞추어 가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의 기록이기도 하다. 또한, 일상생활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영양제의 종류, 기대하는 효능, 복용 상의 유의할 점 등에 대하여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일반인들의 교양서로서의 가치도 높다.
내 몸을 살리는 영양과 건강 이야기 3권은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 건강에 대하여 등 2파트로 구성되었다.
첫째 파트는 요즘 각광을 받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에 대하여 다루었다. 누구나 1~2가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먹는데 이것은 무엇이며, 유산균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부터 소개한다. 유산균 하면 떠오르는 메치니코프, 프로바이오틱스 노아의 방주인 맹장의 중요성, 장 누수 증후군, 축산 농가에서의 항생제 사용 문제점, 장내 세균의 다양성, 면역 기능과 장내세균, 비만과 장내세균, 미생물 샤워, 모유수유의 중요성, 분변 이식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치아가 오복 중 하나라는데, 장뿐만 아니라 인체의 모든 조직에서 살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중요성 중 구강에서의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하여 다루었으며, 치주 조직, 구강점막, 치주 질환, 프로바이오틱스로서 구강세균, 바이오 필름, 충치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치주 질환과 프로바이오틱스, 구취와 설태 세균, 질 건강 프로바이오틱스, 잇몸 건강에 좋은 영양제, 인사돌과 이가탄 등에 대하여 다루었다.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포스트바이오틱스, 신바이오틱스 등 각 용어의 정의, 프리바이오틱스로서 식이 섬유소, 저항성 전분, 모유 올리고당, 식이 섬유소와 면역, 암 예방, 인지력의 관계, 식이섬유소 충분 섭취량, 포드맵에 대하여, 나아가 사이코바이오틱스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프리바이틱스와 포스트바이오틱스에서 다루었다.
둘째 파트에서 암, GMO, 초가공식품, 체중 감량 다이어트, 코로나 관련 영양제, 걷기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암은 정말로 운이 없으면 걸리는 것일까? 신생물, 암, 종양은 무엇인지 설명하고 발암 물질, 화학적 발암 과정으로서의 다단계 과정, 발암 물질의 보고인 담배의 위해성과 부가물, 돌연변이에 대해 다루었으며 1세대 항암제부터 3세대 면역항암제, 나아가 면역세포 치료에 관해서도 설명한다. 유전자 조작 식품 (GMO)의 위해성과 함께 품종 개량 및 선발육종을 설명하고, 유전자 조작 식품의 효시인 ‘영원히 무르지 않는 플레이버 세이버 토마토’, ‘전갈 독이 든 양배추’, ‘옥수수 킹콘’, ‘슈퍼 연어인 아쿠아어드벤티지’에 대해 밝힌다. 불임 씨앗인 터미네이터 씨앗, GMO 안정성에 대한 찬성과 반대론자의 주장, 나아가 GMO 작물의 성공 예, GMO 식품 표시를 소개하고 있다.
몸무게를 줄이고자 다양한 다이어트와 운동을 하는데 왜 매번 요요현상이 일어나는지 설명하기 위해 체중 항상성 이론, 지방 항상성 이론, 신 항상성, 신 항상성 부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또한 최근 우리의 생활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준 코로나19로 인한 후유증 및 면역력 보충을 위한 내용과 에피데믹, 엔데믹, 팬데믹을 상세히 기술한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