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
아유르베다 - 세상에서 가장 기분 좋은 몸과 마음을 가꾸는 방법
-
- 카테고리
- 건강정보
- 저자
아카리 리피 (지은이), 김민정, 이주관 (옮긴이)
- 출판사
- 청홍(지상사)
- 페이지
- 256쪽 | 145*210mm | 333g
- ISBN
- 9791191136159
- 출판일
- 2023-06-01
- 링크

아유르베다는 내 몸과 마음의 사용설명서
그리고 나 자신을 더 사랑하게 된다
아유르베다 (Ayurveda)는 약 5000년 전부터 사람의 육체, 정신, 영혼을 치유해 온 의학이자 건강증진법이다. 지금도 본고장인 인도와 스리랑카에서는 정부로부터 의학으로 인정받아 공적 보험 혜택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도, 스리랑카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지에서도 아유르베다는 효과적인 홀리스틱의학 (Holistic)인 인간이 몸, 마음, 영성 등 전체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고, 자연치유력을 향상시켜 생명이 본래 가지고 있는 힘으로 치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특히 이 책에서는 지금까지 축적된 나쁜 생활 습관, 다른 사람들한테서 들은 이야기, 어딘가에서 읽은 이야기와 같은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한 꺼풀씩 벗겨내서 지식과 마인드를 리셋시켜 준다. 그리고 불필요한 생각과 나에게 맞지 않는 습관에서 벗어나게 하여 자신이 타고난 본래의 모습과 만나고 매력을 꽃피우는 방법을 소개한다. 그야말로 효율적이면서 세상에서 가장 기분 좋은 몸과 마음을 가꾸는 방법이다.
행복하고 건강한 인생을 오래 살아가기 위한 지혜
이 책에서 소개한 아유르베다의 습관들은 대부분 돈을 들이지 않고도 자신의 생활방식을 조금 바꾸기만 하면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이다. 부록에 아유르베다의 체질 진단표를 참고하여 자신의 프라크리티를 알아내서 독소가 쉽게 쌓이는 생활 습관이나 식사를 최대한 피하면 아름다움과 건강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자는 이 책을 반복해서 읽어 아유르베다에서 추천하는 것들을 습관화될 때까지 꾸준히 실천하면 몸과 마음이 아름답고 건강하게, 그래서 한층 반짝반짝 빛나는 모습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다이어트, 실패하는 진짜 이유? 싫어하는 것을 억지로 하기 때문
다이어트에는 ‘당질 제한’ ‘칼로리 제한’ ‘격한 운동의 강조’ 등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소가 많다. 뇌 피로는 ‘안 하면 안 돼’와 ‘하기 싫어’ 사이의 갈등에서 생겨난다. 즉 많이 참아야 하는 다이어트법은, 늘 뇌 피로로 인한 미각이상(味覺異常), 식욕이상(食慾異常)과의 싸움을 동반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다이어트를 하면 무조건 요요가 생길 수밖에 없다. 그래서 더욱 나 자신을 기분 좋게 만드는 다이어트법과 건강법을 적용해야 한다. 아유르베다식으로 도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해야 할 것은 많지만 기분이 좋아 자연스럽게 지속할 수 있었다’는 사람이 많다. 참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를 풀면서 자신의 성질에 맞는 생활 습관을 적용하는 것이 아유르베다식 미용법 그리고 건강법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웃는 얼굴을 하면 면역력이 향상, 억지 미소라도 상관없다!
하루에 몇 번 웃을까? 통계에 따르면 5세 남아가 하루에 웃는 횟수는 300회에서 400회에 이른다. 이에 반해 성인이 하루에 웃는 횟수는 평균 15회밖에 되지 않는다. 아이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치다. 저자는 이 사실을 알게 된 것이 사회생활을 하고 있을 무렵이었는데, 그때 저자가 했던 생각을 아직도 기억한다. ‘어!? 나는 하루에 15번도 웃지 않는데…’ 저자는 지금까지 2,000명이 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표정 근육을 단련하여 ‘갖고 싶은 얼굴 만들기’를 위한 방법을 가르쳐왔다.
30, 40대가 되어 웃을 일이 줄어들면서 생기는 문제는 주름과 늘어진 피부다. 눈에 표정이 없고 눈꺼풀이 처지며 주름이 늘어나고 볼이 처진 사람은 평소에 적게 웃는 사람이 많다. 평소 감정 표현이 적어 표정 근육을 별로 움직이지 않으면 안면 근육이 쇠퇴해서 얼굴의 지방이 쉽게 붙고 피부가 늘어지기 쉽다. 근육을 움직이지 않으면 혈류도 원활하지 않게 되므로 피부로 영양이 잘 전달되지 않아 서서히 피부의 탄력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 밖에도 웃는 것은 몸과 마음에 여러 가지 좋은 영향을 끼친다. 일단 웃으면 뇌 깊숙이 있는 해마가 활성화된다. 해마는 기억을 관장하는 뇌 부위인데, 웃으면 뇌의 긴장이 풀어져 뇌로 가는 혈류량이 증가하여 자율신경도 정돈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