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의 벽

정신과 의사가 전하는 치매 극복 이야기, 치매의 벽 뛰어넘기


오랜 시간 고령자 정신 의료에 종사해 왔지만, 솔직히 이렇게까지 환자 수가 증가할 거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는 저자는 일본의 치매 환자 수가 마침내 1,000만 명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한다. 또 후생노동성의 치매 환자 수 추세 예측에 따르면 1940년대 말인 베이비붐 세대가 모두 75세를 넘는 2025년에 치매 환자는 730만 명에 이를 전망이고 경도 인지 장애를 포함하면 1,000만 명을 넘어설 것이 확실시되며, 경도 인지 장애는 60%가 3년 이내에 치매 환자가 된다는 설이 있다.


치매와 마찬가지로 고령자 뇌에 큰 적이라 할 수 있는 노인성 우울증 환자도 우울 증상을 가진 사람을 포함해 300만 명은 된다고 저자는 보고 있다. 고령 인구가 3,640만 명 (2021년 기준)이니 상당히 많은 고령자가 두 질병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시달리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70대 이후의 삶의 질은 이 두 질병을 어떻게 막고 어떻게 극복해 나갈 것 인지에 달려 있다고 본다. 이들의 발생을 막아서 뇌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80세의 벽을 잘 넘길 수 있는 핵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치매는 아쉽게도 현대 의학으로써는 완전히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는 없다. 다만 이렇게 하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던가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방법들은 꽤 알려져 있다. 그에 비해 노인성 우울증은 비교적 대처하기가 쉬운데, 현재의 의료 지식에 입각해서 생활 습관 등을 개선하면 상당한 수준의 예방과 치료가 된다고 한다.


굳이 이런 병명들을 붙이지 않아도 고령자의 뇌는 매일매일 위축되고 쇠퇴해간다. 이렇게 나이 때문에 쇠퇴하는 것 역시 생활 습관을 개선함으로써 진행을 막을 수가 있다고 한다. 뇌는 인간의 장기들 가운데서도 튼튼한 편에 속해 매일매일 제대로 쓰고 유지만 잘하면 쉽게 쇠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뇌의 노화에 가장 좋은 약은 다름 아닌 살고 싶은 대로 즐겁게 사는 것이다. 이것이 치매의 진행을 늦춰준다고 역학적으로도 확인되고 있다. 남은 인생에 오늘보다 젊은 날은 없다. 늙었다고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 아니라.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계속하고 또 시작하며, 즐기는 것이 내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 책에서는 80세의 벽의 핵심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치매와 노인성 우울증에 관한 지식 (증상 치료법, 예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앞서 출간된 책이 몸과 뇌 전체적인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것에 관한 내용이었다면, 이 책은 뇌를 주제로 건강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지식을 소개하고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길을 잃어버리는 것은 치매 초기의 일


초기 치매의 경우 평균적으로 10년 정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증상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 3단계로 나누어지며 10년이라면 초기 2년, 중기 3년, 말기 5년 정도가 하나의 기준이 되지만 실제로는 개인차가 상당히 있다. 그러면 치매 증상이 어떻게 진행해 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초기에는 기억 장애가 나타나는데, 이는 대체로 다음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바로 기명 장애와 상기 장애다. 초기 치매의 경우 지능은 유지되지만, 진행성 기명 장애가 일어나고 있어서 같은 것을 몇 번씩 물어보는 일들이 많아진다. 또한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일들이 현저해져 찾으러 다니는 일들이 많아진다. 초기에서 중기로 다가가면 지남력 장애가 나타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지금 몇 시쯤 인지, 현재 있는 곳이 어디인지를 모르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길을 잃기 쉽다. 사실 치매는 증상이 가벼울 때일수록 길을 잃기 쉬운 것이 스스로는 아직 그럭저럭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해 외출하기 때문이다.


최근의 기억부터 사라진다

핵심 증상은 지금의 의학으로써는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

약을 투여해도 진행을 다소 늦춰주는 정도


치매 증상은 핵심 증상과 거기서 파생한 주변 증상으로 나누어진다. 두 가지 증상 중 핵심 증상은 치매 환자 거의 모두에서 나타나는 증상인데, 크게 4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증상은 역시 기억 장애다. 단기 기억부터 잃어버리기 시작해 점차 장기 기억을 잃어간다. 두 번째 증상은 실행(失行) 즉 행동하는 방법을 잃는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 늘 해왔던 동작이나 행동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갑자기 옷 입는 방법을 모르게 된다든지,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들을 말한다. 세 번째 증상은 실언(失言)이다. 이는 다른 사람의 말을 전혀 이해할 수 없게 되거나 또한 자신이 말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사람의 이름이나 사물의 이름을 모르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네 번째 증상은 실인(失認)이다. 이는 눈앞에 있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초기・중기 환자는 정도의 차, 개인의 차

불안과 불만, 초조와 갈등 - 모순된 여러 가지 감정 속에서 살고 있다


환자의 건망증이나 실수들에 대해 심하게 대하면 대할수록 환자를 낙담시키고 불안 초조감이 들게 한다. 그런 스트레스 가득 찬 환경, 그러니까 항상 야단맞는 상태에 놓이게 되면 치매 진행을 앞당기고 문제 행동들의 악화로 이어진다. 가령 엄하게 혼내면 이것이 트라우마가 되어 환자는 ‘또 혼날지도 모르겠네' → '여기서 도망가고 싶다'라고 생각해 그것이 배회로 이어지면 간병은 점점 더 힘들어진다. 치매 환자는 일부러 게으름 피우거나, 잊어먹거나, 할 수 없는 척을 하는 것이 아니다. 본인이 노력한다고 해결될 문제는 더더욱 아니다. 치매는 단순한 노화가 아니라 질병이라는 것을 가족들이 머릿속에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환자에게는 안심할 수 있도록 상냥한 말을 계속 건네줘야 한다. '괜찮아요' '힘드시겠어요' '큰일이네요'와 같이 항상 공감하는 말을 해주고 환자들이 즐겁고 기쁘고 좋아하는 긍정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환자가 무언가를 해냈을 때는 그 즉시 칭찬을 해준다. 그러면 환자는 불안이 없어지고 의욕이 높아진다. 환자가 즐거워하고 자신감을 되찾으면, 치매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