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통합검색
닫기

KMCRIC 챗봇에게

질문하기!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사람을 대상으로 한 PLA2 제거 봉독 약침의 안전성 연구

서지사항

Ahn YJ, Shin JS, Lee J, Lee YJ, Kim MR, Shin YS, Park KB, Kim EJ, Kim MJ, Lee JW, Lee HD, Lee Y, Kim S, Chung HJ, Ha IH. Safety of essential bee venom pharmacopuncture as assessed in a randomized controlled double-blind trial. J Ethnopharmacol. 2016 Dec 24;194:774-80. doi: 10.1016/j.jep.2016.11.012.

연구설계

randomis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연구목적

일반 봉독 약침 대비 phospholipase A2 (PLA2)와 histamine을 제거한 정제 봉독 약침의 in vitro 효능 비교 연구와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성에 대한 비교 연구

질환 및 연구대상

1. LPS-activated RAW 264.7 cells
2. 20-40세의 성인 20명

시험군중재

· 알레르기 반응을 본 인체 시험의 경우, 피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phospholipase A2 (PLA2)와 histamine을 제거한 정제 봉독 (eBV, essential BV)를 오른쪽 팔뚝에 주입하고 정제 전의 오리지널 봉독 (control BV)를 왼쪽 팔뚝에, 또 다른 그룹에서는 eBV를 왼쪽 팔뚝에 주입하고 control BV를 오른쪽 팔뚝에 주사함.
· 피험자 grouping을 무작위적으로 하기 위해 double-blinded statistician에 의해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llocation 되었음.

대조군중재

평가지표

1. VAS: pain, swelling, itching
2. Length: wheals, redness
3. Side effect

주요결과

LPS-activated RAW 264.7 cells에서 일반 봉독 약침과 정제 봉독 약침 모두 NO 생산을 억제하였고 인체 시험에서는 정제 봉독의 경우 0.2mL를 팔뚝에 주사하였을 때 일반 봉독에 비해 주사 부위의 통증, 가려움, 발진, 부종 등의 알레르기 증상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저자결론

일반 봉독과 정제 봉독 모두 in vitro 항염 효과를 보였고 정제 봉독은 상대적으로 적은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냈다.

KMCRIC 비평

봉독의 한의학적 치료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많은 기초 및 임상연구가 수행되어 왔음. 특히 효능 연구에서 봉독 속의 다양한 단백질 및 비단백질 성분에 의거한 항염 (관절염) 및 진통, 디스크 치료 등의 약리적 효능에 대한 보고가 있었음. 저자들은 단백질을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는 gel filt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봉독에 들어있는 40여 가지의 성분 중에 봉독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phospholipase A2 (PLA2)와 histamine을 제거한 정제 봉독 (essential BV, eBV)을 제조하였음. 이렇게 가공된 정제 봉독인 eBV의 항염 효능이 정제 전의 오리지널 봉독과 비교할 때 그대로 유지되는지, 그리고 실제로 인체에 주입되었을 때 알레르기 반응이 줄어드는지를 본 연구를 통해 실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음.
항염 효과는 실험적 편의상 in vitro cell line에서 수행하였음. 세포 내 NOS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해 촉매되는 NO gas를 분석하여 항염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NO의 산화물인 nitrite (NO₂-)를 정량하였음. 비교를 위해 정제 봉독 (eBV)과 오리지널 봉독 (BV), 그리고 봉독 내 항염 단백질로 알려진 melittin을 세포에 처리한 후 nitrite 생성 억제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3.0 ug/mL의 처리 농도까지 eBV는 BV와 비슷한 수준의 nitrite 생성 억제 효능 (항염 활성)을 보였음. melittin은 다른 두 봉독에 비해 저농도에서 다소 떨어지는 항염 활성을 보였음.
한편 eBV의 알레르기 유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0.2mL의 BV와 eBV를 피험자의 팔뚝에 주사한 후 144시간 (또는 72시간)까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통증, 가려움, 발진, 부종 정도를 분석하였음. 통증 지표에서는 BV와 eBV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wellng과 itching의 경우, eBV에서 주입 직후 6시간부터 96시간 사이에서 증가하는 활성이 보이지 않았음. 주사 후 72시간 관찰을 한 wheals (발진)과 redness 지표의 경우, wheals은 BV와 eBV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redness는 전 구간에 걸쳐 eBV가 BV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음.
더욱 확실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임상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것이 어렵더라도 BV와 비교한 eBV의 효능 시험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in vitro 실험을 하는 경우에도 NO 억제 효능 이외에 다른 cytokine 지표를 좀 더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또한 NO의 정확한 정량을 위해서는 nitrite 하나만을 재는 것보다는 nitrate+nitrite를 재는 것이 더욱 정확한 것으로 생각됨.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알레르기 반응 연구에서는 두 봉독 BV와 eBV를 0.2mL씩 주사하였는데 이보다는 두 종류의 봉독에 들어있는 단백질량을 base로 동량을 주사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으로 판단됨. 그리고 이렇게 하였을 때 두 종류의 봉독에 대한 dosage 효과도 보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음.
봉독의 안전성에 문제가 되는 알레르기 성분을 배제시킨 eBV가 in vitro 실험이긴 하지만 기존 BV에 비해 항염 효과에는 큰 변화가 없이 알레르기 반응이 대폭 감소했다는 본 실험 결과는 임상적으로 더욱 안전한 새로운 봉독을 개발하였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음. 하지만 알레르기 유발 물질로 알려진 phospholipase A2 (PLA2)가 봉독의 또 다른 치료 효과에 핵심 물질로 작용한다는 연구도 있는바, 좀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됨.

참고문헌
작성자

경희대학교 침구경락융합연구센터(AMSRC) 함대현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