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OM 동향] 상지 수술 후, 수지 종창에 대한 한약 처방의 효과

"상지 수술 후, 수지 종창에 대한 한약 처방의 효과"


사지의 종창을 개선하는 한약으로서 구어혈제 (驅瘀血劑)인 계지복령환이나 이수(利水) 작용을 가진 오령산, 시령탕 등이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구어혈제로서 치타박일방은 한국에서의 당귀수산과 같이 타박상 등 외상에 의한 종창, 동통에 널리 처방되고 있는 한약이다.


최근 일본 연구진들은 정형외과 상지 수술 이후 한약이 수술로 의한 종창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이를 일본동양의학회지에 발표했다.


치타박일방은 국내에서도 외상 혹은 수술 부작용 개선 및 회복을 위해 널리 처방되는 한약 중 하나로, 수술 후의 종창은 국소의 순환장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만큼 ‘어혈’ 장애에 사용하는 한약이 이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은 기존부터 임상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연구진은 정형외과 상지 수술 후 발생한 말단 수지 종창이 소퇴하기까지의 시간을 치타박일방을 투여한 112례와 투여하지 않은 134례를 대상으로 검토했다. 그 결과 외상/비외상 수술에 있어 종창 소퇴까지의 평균 시간은 한약 투여군에서 각각 4.3/2.2주, 비투여군에서는 7.2/3.4주로 한약 투여가 빠른 종창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술 후 이환지와 건측지의 평균 직경 차이를 검토한 결과, 한약이 수술 직후부터 빠른 종창 소퇴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01).


이렇게 구어혈제를 투여받은 환자들의 빠르고 효과적인 치료 경과를 통해 국내에서 자동차 사고 등에 의한 외상에 한의 의료를 선호하는 환자들의 의료 이용 행태를 설명할 수 있다.


https://www.jstage.jst.go.jp/article/kampomed/67/3/67_221/_pdf


출처: 대한한의사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