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분석] 2017 HCR 분석을 통한 한국의 위상과 세계 동향

Korea Highly Cited Researchers : Spotlight on Korea

2017 HCR 분석을 통한 한국의 위상과 세계 동향



· Highly Cited Researchers : 세계 1% 연구자


지난 2월, 정부가 제4차 과학기술 기본계획을 통해 2040년까지 세계 1% 연구자 (HCRs)를 100명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발표한 사실을 기억하시는지요? 최근 연구 분야에서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세계 1% 연구자에 대한 많은 관심과 성원에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Highly Cited Researchers : Spotlight on Korea를 제작하여 글로벌 동시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매년 Highly Cited Researchers (HCRs), 세계 1% 연구자 발표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를 밝혀내고 있습니다. 2017년 약 3,300명의 연구자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 연구자로 선정되었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가별 그리고 연구 분야별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과 지향점을 밝혀내는 데 주요한 지표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클래리베이트 한국지사의 김진우 지사장이 저술한 이번 리포트는 2017년 HCRs 을 분석하여 특히 세계 연구 선도 국가 대비 한국의 현실과 문제점, 그리고 이를 어떻게 하면 극복할 수 있는지 방향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이번 분석을 통해 국가별 높은 출판 수가 성공적인 우수 연구자를 도출하거나 연구성과를 높이는데 반드시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HCR (Highly Cited Researcher) 소개


오늘날 전 세계 수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각 연구 분야 특성이 서로 다르고 새로운 연구 분야들이 출현하고 있는 만큼 어떤 연구자들이 우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가 끊임없는 관심사가 되고 있다. 전 세계 대학, 연구소 심지어 기업들도 이제는 혁신적인 연구를 주도하는 우수 연구자들을 발굴, 지원하고 채용하려는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Clarivate Analytics에서는 Web of Science에 발표된 SCI/SSCI급 논문을 이용하여 21개 연구 분야별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들을 2014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 HCPs (Highly Cited Papers)와 HCRs (Highly Cited Researchers)


HCPs (Highly Cited Papers, 고인용 논문)는 지난 10년간 발표된 논문 중에서 인용지수가 해당 연구 분야에서 전 세계 상위 1%에 포함되는 논문을 의미하며, 이런 논문은 해당 연구 발전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HCRs (Highly Cited Researchers)는 특정 기간 동안에 이러한 HCP를 다수 발표하여 해당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나 우수한 연구를 주도하는 세계적인 연구자들이다.

해당 연구 분야에서 인용지수 세계 상위 1%에 포함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따라서 이러한 논문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들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 HCR 선정 방법


2017년 HCR들의 선정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2005년~2015년 사이에 Web of Science에 발표된 전 세계 SCI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와 SSCI (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 논문을 분석의 근간으로 한다.

    a) 분석 대상이 되는 총 논문 수는 약 1,860여만 편이다.

    b) 총 논문에서 SCIE/SSCI급 Article과 Review를 도출한다.

        (여기에는 Journal 논문뿐만 아니라 Conference Proceeding 등 포함)

    c) 도출된 논문의 연구 분야를 ESI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22개 연구 분야로 분류한다.


2. 각 분야별 인용 지수 상위 1%에 해당하는 HCP들을 분류한다.

    a) 22개 ESI 연구 분야 중에서 Multidisciplinary를 제외한 21개 분야의 논문을 분석한다.

    b) Multidisciplinary로 분류되는 논문들은 해당 논문의 참고 문헌을 분석하여 21개 분야의 하나로 분류한다.

    c) Physics로 분류되는 논문 중에서 저자 Affiliation 숫자가 30개가 넘는 논문은 HCP 분석에서 제외한다.


3. 도출된 HCP에서 저자를 식별하여 저자 별 고인용 논문 수를 분석한다.

    a) 동명이인 여부를 확인하면서 각 저자 식별을 분류해 간다.


4. 각 저자 별 고인용 논문 수가 정리가 되면 이를 기반으로 21개 연구 분야별 HCR을 선정한다.

    a) HCP 저자들의 총인원 수에서 Square Root를 계산하여 threshold로 정한다.

    b) HCR의 소속 기관과 국가는 해당 분석 기간의 최종 소속을 기준으로 한다.

    c) 여러 기관 소속의 HCR인 경우 Primary Affiliation을 분석해서 소속기관을 결정한다.



· 한국의 HCRs (Highly Cited Researchers)


2017 HCR 분석 from Clarivate Analytics-01(수정).jpg


2017 HCR 분석 from Clarivate Analytics-02.jpg


01-650.jpg



· 전세계 2017 선정 HCR 비교 분석


02.JPG



· Web of Science 논문 수 대비 HCR 수 분석


03.JPG



· R&D 투자 $1B 비용 및 GDP $1T 대비 HCR 수 분석


04.JPG


05.JPG


06.JPG



· 2017 HCR 이 선정된 연구 분야 분석


07.jpg



· 2017 HCR 의 국가별 분야별 분포


08.JPG 



· 한국의 분야별 연구 성과 분석


09.JPG



· 국가간 논문의 영향력 분석 (예시 : Clinical Medine)


10.JPG



· 국가별 발표되는 연구 논문의 인용 패턴


11.jpg


12.JPG


13.jpg



· 국가별 HCP 발표 기관의 분석


14.JPG


15.JPG



출처: http://info.clarivate.com/HCRKorean2018

[첨부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