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약개발 사례 15. [일양약품] 놀텍 정 (Ilaprazole 10mg)

약리작용 및 기전 


소화성 궤양은 과도하게 분비된 위산에 의해 위 점막이 침식되거나 궤양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위에 있는 벽세포 (parietal cell)에 의해 위산이 분비되는데, 이때 핵심적인 단백질이 H+/K+ATPase 양성자 펌프 (proton pump)이다. H+/K+ATPase 양성자 펌프는 위산 분비의 최종 경로로 위산의 구성요소인 H+ 이온을 위 내강으로 분비하여 최종적으로 위산을 분비한다. 양성자 펌프 억제약 (proton pump inhibitor (PPI))은 위산 분비의 최종 경로인 H+/K+ATPase 양성자 펌프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한다. PPI의 위산 분비 억제 효과가 탁월하여, 현재 소화성 궤양 질환에 고빈도로 처방되고 있다. 놀텍 정 (ilaprazole)은 PPI 계열의 항궤양 신약으로 기존의 PPI 약물들보다 약효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위암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제균력이 월등하고 다른 PPI들보다 약물의 혈중 반감기가 3배 이상 길고 위 내 pH (4 이상) 유지시간이 길어 장시간 지속 효과를 지닌 우수한 약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약물대사 기전이 다른 PPI들과는 차이가 있어서 비효소적 대사와 CYP3A4 효소에 의해 대부분 대사됨으로써 약물 상호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연구개발 과정 및 최종 결과


일양약품(주)은 1988년부터 2008년까지 20년간 총 300여억 원 (보건복지부, 과학기술부 지원금 : 37억 원)을 투자하여 개발한 놀텍정에 대해 2008년 10월 대한민국 식약처로부터 품목제조 허가를 취득했다. 효능 측면에서 놀텍정은 기존의 PPI 계열 약물보다 강한 위산 분비 억제 (기존 최고인 넥시움에 비해 높은 위 내 pH 유지를 효과를 나타냄) 효과를 나타내며, 1일 1회 복용으로 야간 위산 분비 억제 효과가 지속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양성 궤양에 대한 치료 효과가 높다. 중증 미란성 식도염에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이며 역류성 식도염 환자의 초기 치료와 열작감 증상 개선 면에서도 높은 유효율을 나타낸다. 특히, 기존 PPI 계열 약물보다 낮은 용량에서 동등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기존 PPI: 10~40mg vs. 놀텍: 10mg).


안전성 측면에서도 기존 약물은 위장관 불편감 (오심, 구토, 복통), 중추신경계 증상 (어지러움, 두통), 피부 발진, 여성형 유방, 간 수치 상승 등 부작용이 나타나지만, 놀텍 정은 임상시험 결과 약물과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 등이 보고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PPI 계열 약물은 산에 불안정하여 불활성화되기 쉽지만, 놀텍 정은 작은 사이즈의 타원형 정제로 만들어져서 빠르게 위를 통과할 수 있고, 장용성 막으로 코팅되어 있어 투약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국내 항궤양 약물 시장규모는 약 5,500억 원으로 놀텍 정은 약효가 기존 제품보다 4배 이상 뛰어나고 독성 또한 감소된 약물로 스트레스성 궤양, 알코올성 궤양 치료에 뛰어나고, 특히 위암의 원인균으로 밝혀진 H.pylori에 대한 제균 효과도 뛰어난 점을 특징으로 할 때, 연간 270억 원의 수입 대체 효과와 연간 1,000억 원의 국내·외 매출이 기대되고 있다. 국산 신약으로서 국내 다수의 역류성 식도염을 비롯하여 위 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 환자들에게 저렴한 약가로 투약할 수 있으므로 국가 건강보험 재정 건전화에 기여하고 있는 놀텍 정은 멕시코를 비롯한 다수의 국가에서 허가를 받았거나 판매 중이고 중국 및 미국, 유럽 시장뿐 아니라, 아시아 및 중남미 국가들로의 진출을 이미 진행하고 있거나 개척하는 중이다.


15.jpg


일양약품 홈페이지: https://www.ilyang.co.kr/product/product01_view.asp?idx=7&page=1&txt_search=
%EB%86%80%ED%85%8D&sel_2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KP08D0089

출처: 한국응용약물학회 홈페이지 http://www.ksa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