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코로나 후유증, 알고 대응하자 上 (김태훈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의약임상시험센터 교수)

만성 코로나 (코로나 후유증), 알고 대응하자 上



김태훈 교수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의약임상시험센터)


코로나19 후유증, 국내서 20∼70%의 환자들이 ‘경험’

만성 코로나의 영향, 아직까지 정확한 예측 어려워…가볍게 보고 지나쳐선 안돼

복잡한 발생 기전 및 불확실성, 만성 코로나 관리와 치료적 접근 어렵게 만들어



1. 만성 코로나의 정의와 증상

2. 만성 코로나의 치료 전략과 한의 치료

3. 만성 코로나 임상연구



코로나19 감염증 (이하 코로나19)에 걸린 후 발열과 기침 등 급성기 증상이 소실된 이후에도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다양한 양상의 불편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임상에서 종종 마주치게 된다. 이렇게 급성 코로나19 감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다양한 증상 호소가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만성 코로나 (Long COVID)’라 정의하고 있다.


미국의 국립보건원 (NIH)은 최초 코로나19 감염 이후 후유증 증상이 4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만성 코로나로 정의하고 있으며,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 (NICE)에서는 코로나19에 감염된 도중 혹은 급성 감염 이후에 발생한 증상이나 증후가 12주 이상 지속되고, 다른 진단을 통해 해당 증상이 설명될 수 없는 경우에 ‘코로나 후 증후군 (Post-COVID-19 syndrome)’으로 분류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만성 코로나의 정의나 진단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만성 코로나를 겪고 있는가에 대해 정확한 발병률과 유병률을 알 수는 없지만, 영국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5주 차에 약 22%, 12주 차에 약 10%의 환자에서 만성 코로나 증상을 호소한다고 한다. 또한 국내 한국보건의료연구원 (NECA)의 발표를 보더라도, 대략 20∼70%의 환자들이 코로나19의 후유증을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집중적인 입원치료를 받았던 중증의 코로나19 환자뿐만 아니라, 급성기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았던 사람들의 상당수가 시일이 경과한 후에도 만성 코로나 증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영국 통계청의 발표에 의하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많이 만성 코로나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70세 이상보다 35∼49세와 50∼69세의 연령층에서 만성 코로나를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바이러스의 변이종에 따라서 어떤 증상이 더 많이 생기고, 증상이 얼마나 오래가는지가 달라진다는 보고도 있어서, 아직까지 만성 코로나의 영향에 대해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렇지만, 중증화율이 높지 않았던 우리나라에서도 만성 코로나를 가볍게 보고 지나칠 수만은 없는 듯하다. 


만성 코로나와 관련해서 다양한 증상이 거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가장 많이 보고되는 증상은 바로 피로와 건망이다. 그리고 호흡기계의 증상들, 즉 호흡곤란이나 기침, 가래 등의 증상도 빈번히 보고되고 있다. 


후각 장애나 미각의 저하, 탈모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수도 상당히 많으며, 이러한 신체적인 문제 외에도 수면장애나 우울증,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정신과적 증상도 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만성 코로나의 증상이 이와 같이 다양한 스펙트럼에 걸쳐서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진 것은 아니나, 코로나바이러스의 인체 감염 기전과 연결지어 설명하고 있다. 


코로나19의 감염 원인 SARS-CoV-2는 폐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 (ACE2) 수용체를 통해 우리 몸으로 들어오게 되고, 세포 내에서 증식 과정을 거치면서 감염이 확대되며, 인체의 면역반응을 활성화하여 급성 감염증을 유발한다. 


그런데 SARS-CoV-2가 세포 내로 유입되는 관문 역할을 하는 ACE2 수용체는 폐세포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신경세포와 혈관세포 및 인체 내 여러 장기에 분포한다. 따라서 감염이 진행되는 과정 중 SARS-CoV-2가 여러 기관에 침투하여 직접적인 염증을 유발하고, 그에 따른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것이 만성 코로나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첫 번째 원인이 된다. 


또한 코로나19에 의한 전신적 염증과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에 의해 뇌를 비롯하여 심장이나 신장, 비장 등의 손상을 초래해 다발성 장기 부전 등이 발생한다. 이에 더해서, 코로나19 대유행의 시기에 사회적 거리두기나 이동의 제한, 혹은 코로나19 감염 이후 심리적·정신적인 부정적 영향 등이 더해져 만성 코로나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증상과 그 아래에 내재되어 있는 불확실하면서, 복잡한 기전이 만성 코로나의 관리와 치료적 접근을 어렵게 만들고 있음은 분명하다. 다음 호에서는 만성 코로나 치료의 의학적·한의학적 접근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동향분석-[동향]-img-01.jpg



출처: https://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48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