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RF 동향] 연구 활동을 보기 쉽게 그래픽으로 제공한다

2024년 한국연구재단이 「연구 활동 분석 서비스」를 통해 연구자 여러분께 한 걸음 더 다가갑니다. 지난 1월 4일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 활동 분석 서비스」를 오픈하였고, 향후 다양한 연구 활동 및 지표를 지속해서 보완하여 확대할 계획입니다. 공개된 「연구 활동 분석 서비스」는 최신 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연구 행정 서비스로 재단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연구 현장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의 일환입니다. 연구 업적 등 데이터 기반으로 연구자의 연구 여정을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것인데요. 이를테면 과제 신청자의 생애 전 주기 전문학술지 게재 논문의 연간 피인용 수 추이와 최근 10년간 연구재단 과제 수행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시각화하여 평가위원에게 참고 자료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연구의 질적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디딤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이유이기도 한데요. 2024년 일부 사업의 평가에 시범 적용할 계획도 갖고 있습니다. 현재는 서비스 초기 단계로 과제/논문/특허 등 핵심적 연구 활동 지표에 대해 한정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나 추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동향분석-[NRF 동향]-img-01.png


디지털 플랫폼 시대에 발맞추다


2021년 9월 한국연구재단은 “대학 등과 함께 대변혁을 준비하는 플랫폼으로 연구개발 생태계가 나갈 방향을 제시하겠다.”라는 포부를 밝힌 바 있습니다. 그간 연구 관리 전문기관으로서 연구생태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플랫폼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는 국정과제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과도 결을 같이합니다. 또한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에 담긴 과제 평가의 전문성과 투명성 강화를 위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재단의 노력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이런 맥락 속에서 보유한 DB를 활용하여 가장 잘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발굴해 정부·연구 현장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디지털 플랫폼 구축 사업이 기획되었고 그 첫 결실로서 먼저 「연구 활동 분석 서비스」를 선보이게 된 것입니다.


그 과정을 살펴보자면 2022년 6월 싱크탱크 격인 디지털 플랫폼의 출범을 시작으로 기관장부터 실무자에 이르기까지 하나가 되어 매월 두 차례씩 머리를 맞대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의 설계도를 제대로 그리기 위한 정책 연구 용역 과제도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2023년 7월 연구 활동 분석 구현 TF를 출범시키고 「연구 활동 분석 서비스」의 세부 기획과 구현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디지털 플랫폼의 핵심 서비스 중 하나인 「연구 활동 분석 서비스」가 드디어 그 모습을 드러낼 수 있었습니다.


동향분석-[NRF 동향]-img-02.png


서비스의 핵심은 한국연구자정보 (KRI)에 등록한 연구 업적을 여러 DB, 즉 한국연구재단 (KCI), 클래리베이트 (SCI), 엘스비어 (SCOPUS) 등과 연계, 이해하기 쉽게 시각화하여 평가자 및 연구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인데요. 연간 피인용 수 추이, 연도별 게재 논문 수, 논문 상세 목록, 과제 수행 (참여) 목록, 특허 등록 정보, 논문 키워드 추이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연구자는 시각화된 시계열 정보를 통해 본인의 과제 수행 및 연구 업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평가자는 평가 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재단 역시 관련 분야 전문가 발굴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연구자가 국가연구자정보 (NRI)와 한국연구자정보 (KRI)에 각각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나 이를 해소하기 위해 NRI와 KRI 간 데이터 연계 작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 경 연계가 완료되면 한 곳에만 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터를 공동 활용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서비스 이용 시 유의 사항


01

한국연구재단 지원 과제 기반의 정보이기에 현재는 타 기관이 지원한 과제 정보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수행 과제 정보 서비스는 현재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한 과제 정보에 한정되나, 향후 타 기관이 지원한 정부 과제 정보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02

연구 업적 정보 서비스는 연구자가 한국연구자정보 (KRI)에 입력을 통해 검증된 연구자 업적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기에 연구자분들의 업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만약 소속기관이 KRI 연계기관*인 경우 연구자가 소속기관 업적관리 시스템에 연구 업적을 등록하고 관리하면 되고, KRI 연계기관이 아닌 경우 연구자가 KRI에 직접 연구 업적을 등록하고 관리하면 됩니다. 따라서 한국연구자정보 (KRI)에 입력된 연구자 업적 정보 기반이기에 KRI에 입력하지 않거나 검증되지 않은 (논문 ID가 없는) 업적은 제외된다는 점을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 KRI 연계 여부는 한국연구자정보 (KRI) 홈페이지 (www.kri.go.kr)의 왼쪽 메뉴 중 ‘협정체결 기관현황’에서 확인 가능하며, 연구 업적 등록 및 관리 방법은 연구 활동 분석 매뉴얼 참고


03

논문의 피인용수 해석 시 학문 분야별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단순 수치에 기반한 정량적인 해석보다는 연구자에 대한 전반적인 활동의 추이가 고려되어야 합니다. 논문과 피인용수는 과제 성과 및 연구자의 연구 업적을 가늠할 때 많이 사용해왔던 성과와 지표이지만, 연구자의 연구 분야나 활동 영역 등에 따라 다양한 성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논문과 피인용수 등 단편적 지표만으로 연구자의 연구 역량을 재단할 수는 없다는 점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재단도 이러한 정보를 평가자에게 ‘참고 자료’로만 제공할 예정입니다.


04

한편 연구 경력이 짧을 경우 의미 있는 추이 정보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항들을 유의하셔서 「연구 활동 분석 서비스」가 질적 성장을 향한 우리 모두의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관심 있게 지켜봐 주시길 바랍니다.


동향분석-[NRF 동향]-img-03.png


접속 방법

한국연구자정보 (KRI, www.kri.go.kr) 접속 및 로그인 후, 좌측 ‘연구 활동 분석’ 메뉴 클릭

※ 로그인하지 않을 시, 메뉴가 보이지 않습니다.


출처: https://webzine.nrf.re.kr/nrf_2401/sub_1_01.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