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엽우피소 혼입된 백수오 제품 복용시 전문가 상담 등 신중 기해야”

“이엽우피소 혼입된 백수오 제품 복용시 전문가 상담 등 신중 기해야”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백수오와 이엽우피소의 효능 및 부작용 비교분석’ 동향분석보고서 발표 

  

최근 갱년기장애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홈쇼핑 등에서 인기를 끌었던 ‘백수오’ 제품 대부분이 가짜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센터장 이향숙, 이하 정보센터)가 ‘백수오와 이엽우피소의 효능 및 부작용 비교분석’이라는 제하의 동향분석보고서를 발표, 이들 제품은 안전성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복용시 전문가와 상의해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동향분석보고서에서는 “효능은커녕 식품원료로 사용이 불가능한 식물인 이엽우피소가 갱년기장애의 묘약으로 둔갑해 시중에 나오게 경위는 무엇일까?”라는 의문을 제기하며, △백수오의 기원식물-한국과 중국의 차이 △백수오의 효능 △이엽우피소의 효능 및 부작용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우선 우리나라와 중국의 백수오 용어에 대한 차이와 관련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서는 백수오의 기원식물을 ‘박주가리과의 은조롱의 덩이뿌리’로 명시하고 있는 반면 중국 ‘중약대사전’에서는 이엽우피소 또는 대근우피소라고 명시해, 은조롱에 관해서는 수록하고 있지 않다. 다만 상해과학기술출판사에서 발행된 ‘中華本草’에서는 ‘격산소(隔山消)’라는 이름으로 은조롱이 수록돼 있으며, 이명에 ‘백수오’, 백하수오’를 기재해 은조롱과 이엽우피소가 혼용됨을 명시하고 있다. 실제 이 둘을 비교해보면 은조롱에 비해 이엽우피소의 뿌리가 비대한 경향이 있지만, 겉껍질을 벗긴 후 건조해 한약으로 사용할 경우 그 차이가 분명하지 않다.


또한 백수오는 ‘백색의 하수오’라는 뜻의 ‘백하수오’라고도 불리며, 실제 국내 한의학계에서는 ‘동의수세보원’ 등의 영향으로 ‘백하수오’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중국의 경우 ‘중화본초’에서는 중국 송대에 발행된 ‘개보본초’에서 “하수오는 적색, 백색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라고 언급한 내용을 들어 이 문헌에서 말하는 적색의 하수오는 하수오를 이르고, 백색은 백수오를 이르는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오에 관해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서는 하수오의 기원식물을 백하수오, 즉 백수오와 별개의 식물인 마디풀과에 속한 하수오라 명시하고 있는 것이다.


보고서에서는 “이처럼 현대의 식물 분류기준으로 하수오와 백수오는 전혀 다른 식물이지만 실제 처방에서는 둘을 거의 구분하지 않고 혼용한 것으로 보이며, 실제 각종 문헌에서도 '간장과 신장을 보하고 혈을 자양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하며 이명이 들리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잠을 이루지 못하고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고 기록돼 있다”며 “반면 '何首烏傳’의 ‘하수오는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고 무독하며…뿌리는 붉은 색이며 두 척을 넘지 않는다’ 및 ‘本草綱目’의 ‘하수오는 또한 ‘적갈(赤葛)’이라고 한다’ 등의 문헌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백색보다는 적색의 하수오를 중심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한국 및 중국의 약전에서도 적색의 하수오만을 하수오의 기원식물로 명시하고 있어, 백수오와 이엽우피소 이 둘은 구분이 잘 되지 않으면서 혼용되고 있지만 엄연히 다른 식물이고 현재 이엽우피소는 식품으로 사용 허가가 없고 백수오는 한약재로 사용된다”고 밝혔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백수오의 효능에 대한 연구에 대한 문제점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보고서에는 “백수오(은조롱)를 원료로 한 건강기능식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것에 비해, 은조롱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현재까지 연구를 통해 은조롱에 관해 알려진 효능의 대부분은 항산화 작용으로 인한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의 예방 효과”라며 “은조롱에 관한 연구 중 안면홍조 및 식은땀, 가슴 두근거림, 관절 및 근육통, 우울증 및 기억력 감퇴 등으로 대표되는 갱년기 장애 증상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은조롱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이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의 퇴행을 방지하는 효과’나 ‘난소를 절제한 쥐에서의 백수오의 골다공증의 예방 효과’ 등과 관련된 논문이 있지만 그 숫자가 많지 않으며, 또한 세포나 동물실험에서 나온 근거이기 때문에 근거의 수준이 높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백수오의 갱년기 장애 증상 개선 효과와 관련된 논문과 관련 “‘폐경 전후 여성에 대한 자연 생약 추출물(에스트로몬(R))의 1년간 투여 효과 및 안정성 평가’의 논문의 경우에는 피험자 수가 많지 않고 적절한 피험자 수를 계산하여 수행되지 않아 결과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며 “또한 ‘The Effect of Herbal Extract(EstroG 100) on Pre, Peri and Post 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논문 역시 폐경기 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완화되었지만 피험자 수가 크지 않고 3개월만 관찰한 결과라 제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보고서에서는 “두 편의 임상연구는 모두 해당 백수오 혼합 추출물을 각 건강기능식품 업체에 공급하는 ㈜내츄럴엔도텍에서 지원해 수행되었거나 대표이사가 공저자로 되어 있는 연구로, 현재 상황으로서는 그 신뢰성에 상당한 의문이 제기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보고서에서는 이엽우피소를 백수오로 활용하고 있는 중국에서 진행된 이엽우피소의 효능 및 부작용 연구에 대한 설명도 게재했다.


지금까지 논문을 통해 알려진 이엽우피소의 대표적인 효능은 항암작용이며, 이엽우피소의 급성독성 시험 결과 이엽우피소에서 추출한 total glycosides를 투여한 쥐들의 걸음이 이상하고 운동능력이 저하되었으며, 심박수와 호흡수가 느려지고 호흡마비로 인해 사망한 사례가 보고됐지만, 이 연구에서 사용된 성분은 상당히 많은 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엽우피소 자체의 독성으로 확대해석하기에는 조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있다.


또한 한국소비자원에서 이엽우피소의 독성에 관한 근거로 제시한 자료인  ‘백수오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쥐의 사료에 이엽우피소를 각각 1/20, 1/10, 1/5씩 섞어서 30일간 투여한 결과 1/20군에 속한 쥐들은 대조군과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1/10군에 속한 쥐들은 공격성 증가, 체중감소, 식욕저하 등의 이상증상을 보였으며, 1/5군에 속한 쥐들은 11일차부터 사망하기 시작해 시험 종료 시점에는 단 2마리의 쥐들만이 살아남았다.


이와 관련 보고서에서는 “이 실험의 특징은 이엽우피소를 직접 투여하지 않고 사료에 섞어서 쥐들이 스스로 먹게 했다는 것으로, 실험 결과 이엽우피소 함량 비율이 높아질수록 쥐들이 사료를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이엽우피소 함량 비율이 높은 사료를 공급받은 쥐들일수록 심하게 체중이 감소했고, 결국 사망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며 “이러한 오류로 인해 식약처에서는 해당 연구의 독성평가 방법이 부적합하다고 판단했으며, 이엽우피소의 섭취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특히 보고서에서는 “(식약처가)이러한 결론을 내린 이유는 현재 대한민국의 식품원료 허가시스템이 어떠한 원료가 비록 독성의 우려가 있다 할지라도 그 독성이 확정적이지 않으며,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목록(식물성 139종, 동물성 16종, 기타 6종)에만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정하는 ‘네거티브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따라서 비록 이엽우피소가 혼입된 백수오 제품에 대해 안전하다는 결론이 났을지라도 그 안전성을 확신할 수는 없으므로 복용시 전문가와 상의해 신중을 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의신문 강환웅 기자 khw@akomnews.com
http://www.akomnews.com/?p=334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