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대학원생들 “대학원 진학시 지도교수 능력, 인품 잘 봐야”

국내 이공계 대학원에 진학한 대학원생들은 주로 관심 분야에 대한 연구 욕구를 충족시키고, 진학을 통해 진로 선택에 도움을 받기 위해 대학원 진학을 결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취업이 어려워서 수동적으로 선택한 경우는 드물었다. 진학 전에는 연구 분야의 전망이나 흥미도가 중요한 연구실 선택 요건이었지만, 막상 대학원 생활을 해보면 지도교수의 역량과 인품이 압도적으로 생활과 연구에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생물학정보연구정보센터(BRIC)과 전자정보연구정보센터(EIRIC),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MATERIC),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은 국내 최초로 ‘이공계 대학원 진학 관련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분석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설문조사는 5월 21~30일 열흘간 온라인을 통해 이뤄졌으며 총 1167명의 국내 이공계 대학원생이 응답했다.

 

조사 결과 국내 대학원생이 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는 연구 분야에 대한 순수한 관심과 동시에, 취업 등 진로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가 거의 비슷하게 높게 나타났다(아래 그래프). ‘관심이나 재능이 있는 분야에 대해 심도 깊게 연구하기 위해’와 ‘연구나 공부 자체에 대한 욕구’가 각각 1, 3위의 동기로 꼽혔다. ‘원하는 취업과 진로, 승진을 위해’와 ‘학위 취득을 통한 사회적 인정과 명예’는 각각 2, 4번째로 큰 동기였다.

 

반면 ‘(취업 등) 다른 진로 선택지가 없어서’는 8개 설문 문항 가운데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최근 젊은 대졸자 또는 졸업예정자의 취업이 극심하게 어려워지면서 ‘다른 진로를 선택하기 어려워 학업을 연장하고 취업 기간을 늘리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한다’는 세간의 인식이 있는데, 실제 대학원생들은 전혀 다르게 생각한다는 뜻이다. 가족이나 주변의 권유에 따라 결정했다는 응답도 매우 낮아, 적어도 대학원 진학은 학업 또는 진로를 위해 주체적으로 결정한 경우가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공계1.jpg

 

대학원 진학 전에 연구실이나 지도교수, 대학을 선택할 때 어떤 점을 고려했느냐고 묻는 질문에는 연구 분야 자체의 흥미와 전망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연구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1위,  '해당 분야의 발전가능성'이 2위로 꼽혔다. 연구 분야의 취업 가능성은 16개 항목 가운데 7번째로 꼽혀 역시 비교적 중요한 요소로 여겨졌다.

 

지도교수 역시 분야 다음으로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나타났다. 지도교수의 역량과 연구실적, 지도교수의 인품, 지도 능력이 각각 3, 4, 6위로 중요한 순위로 꼽혔다. 특히 지도교수의 연구 역량을 본다는 응답과 인품을 본다는 응답은 거의 비슷한 점수를 기록했다. 장학금과 인건비 등 지원 규모를 본다는 응답도 5번째로 높아 현실적인 학업 수행 가능성도 중요한 요건으로 꼽혔다.

 

하지만 실제로 대학원생을 해본 뒤에는 생각이 조금 달라졌다(아래 그래프). 연구에 대한 흥미를 중요하게 고려했어야 한다는 응답은 4위, 발전가능성, 취업 가능성은 각각 6, 7위로 크게 떨어진 반면, 지도교수의 연구 역량과 인품, 지도능력이 압도적인 차이로 1~3위로 부상했다. 막상 대학원에 가보면 지도교수의 영향력이 크다는 반증이다. 흥미로운 것은 연구 및 학업 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입퇴실 시간이나 주말 출근 여부, 연구비 규모 등은 실제 생활을 해보면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결과로 꼽혔다.


이공계2.jpg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정보 취득이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아 제대로 된 정보를 얻을 창구가 부족하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연구정보센터나 '김박사넷' 등의 인터넷 커뮤니티 정보가 유용했다는 응답은 4%로 극히 낮았다. 가장 많은 사람이 접하는 대학원 홈페이지 역시 도움이 됐다는 비율 역시 4%로 최하위였다. 반면 가장 도움이 많이 됐던 방법은 학부 연구생으로 직접 연구에 참여했던 경험과 지도교수와의 사전 미팅, 동료 및 선배로부터의 정보 수집으로 나타나, 면대면으로 취득한 정보가 가장 믿을만 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사이언스 윤신영 기자 ashilla@donga.com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9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