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보기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8)건 |
근거중심한의약 DB |
[체계적 문헌고찰] Pediatrics. 2018
Nonpharmacologic Treatments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 13개 연구 중에서는 삼음교 (SP6)가 7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내관 (PC6)이 6회, 사신침, 사신총 (EX-HN1), 태계 (KI3)가 4회 사용되었습니다 [9]. 추후 ADHD 아동이 침 치료를 받는다면 효과를 보였던 다빈도 혈위를 위주로...
|
[체계적 문헌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8
족관절 염좌의 봉독 약침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족임읍 (GB41), 곤륜 (BL60), 복삼 (BL62), 족삼리 (ST36), 족내과 쪽 염좌에는 상구 (SP5), 삼음교 (SP6), 음릉천 (SP9), 태계 (KI3), 조해 (KI6), 중봉 (LR4) 등을 취혈할 수 있다."고 되어있다. 만약 약침 연구에서 아시혈 위주의 취혈을...
|
표준경혈 DB |
족소음신경 (KI) > 부류 (KI7, 復溜)
종아리 뒤 안쪽면, 발꿈치힘줄(calcaneal tendon)의 앞쪽이며, 태계에서 위쪽으로 2寸 부위에 해당됨.
On the posteromedial aspect of the leg, anterior to the calcaneal tendon, 2 B-cun superior to the prominence of the medial malleolus.
|
족소음신경 (KI) > 수천 (KI5, 水泉)
... 안쪽면으로, 太谿(KI3)에서 지면까지 3촌으로 정했을 때, 태계 아래쪽으로 1寸 부위, 발꿈치뼈융기(calcaneal tuberosity)앞쪽 오목한 곳에 취혈함.
On the medial aspect of the foot, 1 B-cun interior to KI3, in the depression anterior to the calcaneal...
|
전체보기 사이언스센터 (1)건 |
한의약 과학 한마당 |
근거중심한의약 DB |
[체계적 문헌고찰] Pediatrics. 2018
Nonpharmacologic Treatments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 13개 연구 중에서는 삼음교 (SP6)가 7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내관 (PC6)이 6회, 사신침, 사신총 (EX-HN1), 태계 (KI3)가 4회 사용되었습니다 [9]. 추후 ADHD 아동이 침 치료를 받는다면 효과를 보였던 다빈도 혈위를 위주로...
|
[체계적 문헌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8
족관절 염좌의 봉독 약침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족임읍 (GB41), 곤륜 (BL60), 복삼 (BL62), 족삼리 (ST36), 족내과 쪽 염좌에는 상구 (SP5), 삼음교 (SP6), 음릉천 (SP9), 태계 (KI3), 조해 (KI6), 중봉 (LR4) 등을 취혈할 수 있다."고 되어있다. 만약 약침 연구에서 아시혈 위주의 취혈을...
|
의료인의 서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