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

약을 더 이상 쓸 수 없거나 아예 약을 쓸 단계를 넘어 선 환자, 혹은 장기간 약을 써도 몸만 상할 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요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자연의 혜택을 누리려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도 있고 맛도 있게 하겠다는 의도로 - 선택한 식치방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객관적인 논리 제시가 없는 채로 -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藥膳, Curative Food)이다. 필자가 십여 년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Planning of curative food)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한의학)

[경력]
- 현 한국약선연구원 원장
- 현 안문생한의원 원장
- SBS 중국약선여행 전문연사
- MBC 라디오 동의보감 전문연사
- 경원대학교 사회교육원 약선강좌 외래교수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약선학 석사과정 겸임교수
- 원광한의대, 경원한의대, 상지한의대, 동의한의대 외래교수 및 강사(10년)
- 약선설계 관련 앱 개발

[저서]
- 2012 『약선설계학』
- 2012 『약선설계본초』
- 2003 『안문생 약선기』
- 『식의기초연구』
- 약선재료사전(App)
- 이안평가(App)

안문생
안문생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와 맛을 둘 다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논리의 제시는 없었다. 필자가 십여 년간의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다.

프로필 바로가기

약상(藥象)의 수치화(數値化) (1)

 

AMS 11-01 변경.jpg


딱딱한 이론만 연속되면 재미가 없을 것 같아 맛보기로 한 건의 약선 설계 실례를 소개하였으므로 이제 다시 원론으로 돌아가 약선 설계를 가능토록 한 결정적인 '한 수' 곧 '약상의 수치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본초들이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합리적인 집단을 이룬 것이 처방이다. 음식도 그 대상만 다를 뿐이지 목적에 부합하도록 집단을 이룬 것이다.  


어떤 효과가 입증된 처방 하나를 기준처방으로 삼아 M이라 하고, 이 M에 몇 가지 맛내기 재료를 더해서 만든 약선처방을 MF라 하였을 때, MF가 M과 동일한 효능과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임상적으로 규명하려면 수십 년도 부족하다.

이를 논리적으로 비교하여 규명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라는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SumAMS 11-02.jpg 일반적으로 한 집단의 능력은 어떤 능력을 지닌 구성원 들의 배합이냐에 따라 달라지듯이 한 처방의 능력도 그 처방을 구성하는 각 재료들의 능력에 따라 변하는데, 만일 경우마다 변화하는 처방의 능력을 유형별로 정확히 구분 하여 나눌 수 있다면 M과 MF는 일단 분류상 같은 분류에 속해야 한다.
SumAMS 11-03.jpg 만일 본초마다 지니는 고유의 특성을 크기로 나타낼 수 있다면, 처방마다 그 처방을 형성하는 재료들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처방의 크기가 결 정될 수 있다. 이때 M과 MF는 거의 동일한 크기가 되어야 한다.


효능을 그래프 상의 x좌표, 특성을 y좌표라 하고, M과 MF가 거의 일치하는 지점에 놓이게 된다면 "MF는 M의 효능과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볼 수 있다.


본초학에서 본초의 효과는 장구한 세월 동안 경험적 결과를 표현한 것으로써 이미 수많은 고전에 기록되어 있지만, 하나의 효과만을 지닌 본초는 거의 없기 때문에, 만일 이 효과들을 일일이 열거하여 유형을 분류한다면 종합적으로 하나의 분류에만 속하는 본초는 거의 없을 수밖에 없다.


주역 서문에서 "만물을 일일이 '理'로 분류하면 하나도 같은 것이 없고, 합해서 '道'로 분류하면 다른 것이 하나도 없고 오직 하나다"라고 하였듯이 분류의 방법을 좀 더 근원적인 것에서 찾아야 했다. 그래서 모든 본초를 결과적인 쓰임새에 얽매이지 않고 그 쓰임새를 있도록 하는 몸체의 한의학적 정의 - 맛과 성질 - 에 따라 분류하기로 하였다. 즉, 용(用)의 분류가 불가능하므로 체(體)로 분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한방 임상에서 재료들을 선택할 때는 당연히 용(用)에 의거하여 분류한다. 그러나 이는 이미 경험적으로 제시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라서 가능한 것이지 스스로 판단해서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의사 임상 초년에 이것을 가벼이 여기고 창의적으로 첨가했다가 크게 잘못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더구나 식품의 첨가 - 그것도 맛내기 식품의 첨가 - 는 그 어느 고전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고 구술 전래도 특수한 경우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경험적인 제시도 없고 논리적인 방법도 없는 용(用)의 분류는 전혀 의미가 없고 오히려 혼란을 야기하므로, 논리적으로나마 분류가 가능한 체(體)의 분류를 선택하는 것이 차선책이었다.     

     

모든 본초에 부여한 맛과 성질은 전혀 다른 특성의 두 가지 단위이므로 하나의 좌표로 나타낼 수가 없다. 그래서 맛과 성질을 하나의 단위로 나타낼 절실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반드시 하나로 표현해야 할 필요성이 근 천 년 동안 고전 속에서만 잠자고 있던 이동원 선생의 "약상론(藥象論)"을 세상에 드러나게 하였다.


본초의 맛과 성질을 통합하여 약상이라는 하나의 단위로 나타낼 수는 있지만 문제는 x좌표에 놓일 대상은 본초가 아니고 본초들의 집단인 처방이라는 점이었다. 그렇다면 본초를 약상이라는 하나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듯이 약상들의 혼합인 처방의 상(象)도 하나로 나타낼 수 있어야 했다.


이 문제에 봉착하면서 상기한 효능과 특성이 별개로 진행되는 것이 아님을 알았다. 우선, M과 MF는 모두 본초의 집단이므로 M이나 MF를 하나의 단위로 표현하려면 그 집단을 이루는 본초 하나하나에 대한 고유의 크기를 정하고, 두 개 이상의 본초를 합했을 때 계산할 방법을 만듦으로써 그들이 모여 형성한 M과 MF도 각각 고유의 크기로 표현할 수 있어야 했다.


또한, 본초 하나하나에 대한 크기는 맛과 성질이 각각 어떤 크기냐에 따라 결정되는데, 본초의 체(體)인 약상도 맛과 성질의 다름에 따라 달라지므로, 윗 문장의 내용처럼 계산이 된다면 M과 MF의 크기와 체(體)가 동시에 결정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M과 MF의 체(體)로 x좌표를, 그 크기로 y좌표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그 과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다. 
 
즉, 어떤 본초의 맛과 성질의 크기를 표현할 수 있다면 맛과 성질을 합하여 하나로 나타내는 약상도 고유의 크기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크기들끼리 대수적인 계산이 가능하다면 본초의 집단인 M과 MF도 각각 고유의 크기로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유의 상(象)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맛과 성질의 크기를 무엇으로 나타내야 하는가?


여기까지 논리가 전개되면 누구나 해답을 말할 것이다.

"숫자로 나타내야 한다!"

그래서 수치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