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재 교수의 한국의 건강문화

나의 전공은 한의학 중에서도 예방 한의학이다.

옛날 사람들의 건강법.
의료 이전에 불로장생, 무병장수를 꿈꾸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서 비롯된 건강문화-양생.
최첨단 의료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이지만 현대인들에게 옛날 사람들이 수천 년 동안 끊임없는 몸 관찰을 통해 알아낸 ‘몸에 대한 이야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몸을 위로하는 방법’이 더더욱 절실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확신으로 바뀌고 있다.

내가 운영하는 건강문화연구센터에서는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 내재된 건강지향적 요소를 발굴하고 콘텐츠화하여 보급하는 일을 한다. 사실 티테라피도 우리의 전통 다도(茶道), 다례(茶禮) 문화와 몸에 좋은 것을 끓여 마시는 우리의 주전자 문화를 현대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철 식재료를 이용한 한국식 약선을 재정리하고 있으며 우리 조상들의 풍류 사상과 조선의 유학자들이 평생을 바쳐 몰두한 수양법 등을 재해석해서 현대인들을 위한 스트레스 케어법으로 만드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 (한의학)

[경력]
- 현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
- 현 건강문화연구소 소장
- 전 티테라피(카페+한의원+건강문화교실) 대표이사

[저서]
- 2011 『한의사의 다방』

이상재
이상재

최첨단 의료기술이 발전해가고 있지만, 현대인들에게는 선조들의 끊임없는 관찰로 알아낸 방법을 통해 몸을 위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제가 운영하는 건강문화연구센터에서는 한국전통문화에 내재된 건강지향적 요소를 발굴하고 콘텐츠화하여 보급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제호탕(醍醐湯)

 
lsj03-01.jpg



매화가 지고 나면 매실이 열린다.


언제부턴가 매실을 설탕과 혼합해 효소로 담가두는 것이 우리의 건강문화가 되었다. 6-7월 매실이 한창 나올 때면 매실을 박스 채 사다가 설탕과 1:1비율로 섞어 큰 유리병에 담가두는 것이 주부들이 1년 중에 꼭 해야 하는 일처럼 되었다. 이때가 되면 대형마트 한편에는 매실, 설탕, 큰 통까지 한곳에 모아두고 매실 특별전을 연다. 그만큼 매실을 담그는 사람이 많다는 뜻일 것이다. 매실청을 뜨거운 물에 타서 차로도 마시고 얼음을 띄워 주스로도 마시고, 배가 아프거나 설사를 할 때는 민간약으로도 쓰고 단 맛을 내는 용도로 음식에 사용하기도 한다. 사실 우리사회에 이런 매실문화가 만들어진 것은 10여 년 남짓이다. 소설 <동의보감>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허준(1999)>에서 매실이 소개되면서부터다. 극중에서 고열에 시달리는 백성들을 매실로 치료하는 장면이 방송되자 매실이 불티나게 팔려 품귀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에 매실나무가 전국각지에 심어지게 되었다. 이제는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구할 수 있고 많은 사람들에게 매실청, 매실장아찌 등으로 사랑받고 있다. 


매실을 설탕에다 담가서 매실청으로 담그는 것은 최근의 방법이다. 사실 청매실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다. 2012년 식약청에서도 ‘청매실(씨앗, 과육 포함)에는 청산배당체를 함유하고 있어 날 것으로 먹지 말고, 술을 담그거나 설탕에 절이는 등 자체소화과정을 거쳐 청산배당체를 분해시킨 후 섭취해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예전에 매실은 술을 담거나 오매(짚불에 매실을 익힌 후에 말려서 약으로 사용, 색이 검어서 오매(烏梅)라고 부름)로 만들어 사용했다. 우리조상들도 청매실의 독성을 경험적으로 알고 나름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을 찾아 낸 것이다. 청매실의 독성이 걱정된다면 약간 노릇노릇하게 익은 매실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 듯하다.



lsj03-02.jpg



옛 사람들이 여름이면 즐겨 마셨던 제호탕이라는 음료가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제호탕에 대한 기록을 보자.


태묘 추향의 제관들에게 제호탕(醍醐湯)을 내려 보내주고 전교하기를,
“금년의 태묘 추향은 내가 직접 지내려 했다가 그대로 못하지만 걱정 되고 그리는 마음이야 어찌 감히 조금인들 늦출 수 있겠는가. 날씨가 또 이처럼 무덥기는 근래에 드문 일이다. 여러 제관들이 나를 위해 대신 수고하는 것을 생각하여 변변치 않은 것으로나마 위로해주는 뜻으로 제호탕을 내려 보내 더위를 씻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으니, 여러 집사들과 나누어 먹을 것이며 아래로 춤추는 자들과 악공들까지 빠짐없이 나누어 주어 그들로 하여금 나의 이 뜻을 알도록 하라.” 下醍醐湯藥丸于太廟秋享享官等, 敎曰: “今年, 太廟秋享, 擬欲親將而未果, 憧憧耿慕, 曷敢少弛? 日熱又是, 近來所罕. 予念諸享官爲予替勞, 特以投醪之意, 下此藥物, 俾爲滌暑之資, 須與諸執事分喫, 而下逮佾舞工人, 無遺分給, 俾知此意.”하였다. <정조 23년(1799) 7월 1일>


더운 여름날 자신을 대신해 태묘 추향(초가을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지내는 일)을 준비하는 신하들에게 제호탕을 내려 위로한다는 내용이다. 제호탕은 건강한 여름을 나기 위해 마셨던 우리 전통건강음료였다. 단옷날 내의원에서 제호탕을 만들어 임금님께 올리면 임금은 이를 다시 신하들에게 하사하여 함께 마셨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동의보감>에도 오매, 백단향, 사인, 초과, 꿀 등을 재료로 해서 만드는 방법이 나와 있다. 醍醐湯 : 解暑熱, 止煩渴. 烏梅肉另末一斤, 草果一兩, 縮砂 白檀香各五錢, 煉蜜五斤. 右細末, 入蜜, 微沸攪勻, 磁器盛, 冷水調服. [局方] 


그런데 이 방법대로 만들면 맛이 없다. 특히 오매를 어찌해야 할지 막막하다. 오매는 매실껍질을 벗기고 짚불에 그을려 만드는데 직접 만들기는 어렵고 시중에 오매라는 이름으로 파는 것들이 있지만 제대로 된 것을 구하기 어렵다. 그리고 재료 중에 백단향은 식품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재료다.

여러 번 시행착오 끝에 매실청을 이용한 제호탕을 개발해내는데 성공했다. 파격적이라고 할 만큼 만드는 방법이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매실청에 사인, 초과 등을 넣고 끓여도 되고, 약재를 따로 끓여서 매실청에 합쳐도 된다. 여기에 물을 적당히 희석해서 마시면 되겠다. 사인과 초과는 속을 따뜻하고 소화를 잘되게 해서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한약재다. 평소 더운 여름나기가 힘드신 분들은 제호탕으로 올여름 건강하게 보내시기를 바란다.



© 이상재 교수의 한국의 건강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