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닥터 한의사 이현삼의 스포츠 한의 이야기

한의학을 전공하고 해부학교실에서 해부학을 전공한 한의사 이현삼입니다. 최근 건강을 위한 생활체육이 널리 보급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근골격계의 스포츠 손상이 전문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부상 방지를 최소로 하여 보다 즐거운 생활체육 활동으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의학뿐만 아니라 근골격계의 해부학적 지식을 쉽게 전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석사 (한의학) 및 박사학위 취득 (의과학)

[경력]
- 현 오성당한의원 대표원장
-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등급판정위원회 위원
- 대한배구협회 의무위원
- 한국프로축구연맹 의무위원
- 한국실업축구연맹 의무위원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외래 부교수
- 대한스포츠한의학회 부회장
- 대한한방비만학회 정회원
- 대한한의학회 정회원
- 대한면역약침학회 정회원
-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한방진료소장
- 2012 세계여자아이스하키 팀닥터

이현삼
이현삼

한의학과 해부학을 전공한 한의사 이현삼입니다. 최근 건강을 위한 생활체육이 널리 보급되어 전문선수뿐 아니라 일반인의 근골격계 스포츠 손상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부상 방지를 최소화해서 보다 즐거운 생활체육 활동으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의학과 해부학적 지식을 쉽게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흉곽출구증후군 [胸廓出口症候群, thoracic outlet syndrome]

 
LHS13-01.jpg

 

최근의 몸짱 열풍으로 남녀노소 없이 웨이트를 많이 하고 있다. 주로 노출이 많은 상체 근육을 많이 단련하게 되는데 특히 남자들은 가슴 근육에 대한 미련을 쉽게 버리지 못한다. 그래서 벤치프레스라고 하는 가슴주위 근육운동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 남보다 좀 더 무거운 무게를 들어 올리는 희열을 느끼고 싶은 것은 거의 모든 남자들의 로망일 것이다. 그러나 이런 상체의 근육운동에 열중하다 보면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이란 것이 찾아올 수 있다.


 

LHS13-02.jpg

 


흉곽출구증후군(TOS)이란 사각근(scalenus), 쇄골하근(subclavius), 소흉근(pectorialis minor), 전거근(serratus anterioir) 등의 근육 또는 첫 번째 갈비뼈에 의해 흉곽의 윗부분과 목이 만나는 부위(흉곽출구)의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이나 쇄골하동맥(Subclavian vessel)이 눌려서 손과 팔에 통증과 감각이상, 근육위축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어깨와 팔, 손 저림 증상이 나타나며 밤에도 통증이 지속된다. 처음에는 질병이 일어난 부위에 압통이 있거나, 손이나 팔에 통증, 마목, 냉비, 통비, 위축, 레이노현상, 손톱출혈 또는 손끝 궤양이 일어나고, 질병이 있는 부위가 붓거나 피로감을 일으키는 등 여러 증세가 나타나기 때문에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 목디스크, 오십견, 흉통이 심한 경우는 유방암, 협심증과 구분이 어렵다.


특히 오십견이나 목디스크로 오인하기도 하는데 어깨와 팔이 저린 증상 때문에 환자 스스로 오십견이려니 생각하고 집에서 물리치료만 하다가는 병을 키우는 사례가 생긴다. 어깨 관절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근육과 인대로 이루어져 있어 의사의 진단이 내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작정 물리치료를 하면 좋지 않다. 목디스크는 경추(목뼈) 사이의 디스크 이상이 원인이다. 노화에 인한 퇴행이나 나쁜 자세로 인해 디스크가 원래 있던 자리에서 튀어나와 신경을 눌러 어깨와 팔이 아프고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 허리디스크도 허리 자체보다는 주로 다리의 저림과 통증이 느껴지듯이, 목디스크도 목 자체보다는 팔과 어깨에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흉곽출구증후군과 증상은 같지만, 원인은 전혀 다른 셈이다.


흉곽출구증후군(TOS)은 스스로 쉽게 감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똑바로 선 자세에서 가슴을 펴고 턱을 바짝 당겨서 바로 팔이 저린 증상이 생기고 팔을 위로 들어 올릴 때 증상이 심해진다면 의심해볼 수 있다. 이 증후군은 주로 장시간 컴퓨터 사용으로 (목이 가슴 앞으로 나가고, 견갑골전방으로 전인되어 팔이 내회전된) 자라목 자세가 되기 쉬운 사무직 근로자나 운전기사, 상체의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웨이트 트레이너, 수영선수들, 그리고 학생이나 군인에게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 단순한 어깨통증이나 손의 통증으로 오인해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이 증상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아픈 쪽으로는 무거운 것을 들지 말아야 한다. 의자에 앉을 때는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까지 밀어 넣고 허리와 상체를 반듯하게 펴며, 의자와 책상 높이를 본인에게 맞게 조절해 손목이나 어깨가 과도하게 긴장 받지 않도록 한다. 간혹 비만인 사람이 이렇게 하면 체중감량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평소에 어깨의 견갑골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동작, 쉽게 말하면 ‘으쓱으쓱’하는 운동은 위에서 말한 근육을 어느 정도 이완시켜줄 수 있다.


한의학 치료로는 목과 어깨의 경혈 자리를 자극하여 이완시켜주는 침구 시술이나 운동요법이 있다. 치료할 때는 목과 어깨주위의 항강(項强)과 견중(肩重)을 풀어주고 개인의 증상에 맞는 한약을 처방해주며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한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가 우선시되지만 간혹 기질적인 문제가 심각하면 수술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 팀닥터 한의사 이현삼의 스포츠 한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