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01. dr877

 

LGJ 0001-main.jpg



한의예과 2학년 겨울이다. 한 해의 끝이었는지 새해의 시작이었는지 그건 잘 기억나지 않는다. 한의과대학의 학회지인 『의인』 편집부원으로, 방학인데도 의약관을 들락날락하고 있었다. 학생회 임원진이 쓰는 방에 들렀다가 형들에게 잡혔다. 그날 입시생들 예비소집이 있는데 내게 한의과대학 팻말을 좀 들라는 거다. 꼼짝하지 못하고 대운동장으로 내려갔다. 하나둘 눈발이 날리고 있었다.


그날 한의과대학 줄의 맨 앞에 섰던 그를 만났다. 그때 그가 한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교수님이 되리라는 생각을 하지는 못했다. 다만 다소 편하지는 않은 목소리로 열심히 무언가를 얘기하고 싶어 했다는 것만은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다. 그는 궁금한 것이 많고 매우 진지했지만 나는, 한의학 후배가 되려는 그에게 좋은 가이드가 되기에는 애초에 역부족이었다. 나는 한의학에는 별 관심이 없는 성실하지 못한 한의대 학생이었고, 고작 예과를 끝낸 상태이기도 했으니 말이다. 그날의 짧은 감상은 『의인』의 편집후기에 올라가 있다. 이후에 학교에서 가끔 그와 마주칠 때마다 처음 만났을 때의 그 찜찜함이 계속 떠오르곤 했다.


국내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는 그래도 인터넷 세상에 순수함이 있었던 것 같다. 블로그(blog)라는 도구가 많이 알려지던 시기였다. 트랙백을 걸어서 블로거끼리 논쟁을 벌이더라도 순수함이라는 바탕을 잃지는 않았고 기본적으로 서로를 존중했다. 올블로그(ALLBLOG) 같은 작은 규모의 블로그 전용 포털도 있었다. 연말이 되면 그해의 블로그를 뽑아서 블로거들끼리 오프라인에서 자축 파티를 열기도 했다.


그 시절에 내 이글루스(egloos) 아이디(ID)가 dr877이다. 이 아이디는 ‘8체질을 알리는 의사’라는 의미로 만들었다. 「꼬리를 무는 8체질 문답」이라는 카테고리에 문답 형식의 포스팅을 올리기도 했다. 이때쯤 나의 정체성을 「8체질 가이드」라고 스스로 규정했었던 것 같다. 이웃 블로거들의 포스팅을 탐색하여 체질이 무엇일까 분석한 「체질 탐색 이벤트」가 주목을 받았다.


LGJ 0001-img-01.jpg


인터넷은 이제 전쟁터가 되었다. 자본이 침투하지 않은 구석은 별로 없다. 그렇다고 지금까지도 오래도록 순수함을 유지하는 블로그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예전처럼 쉽게 드러나지는 않고 특별하게 찾아봐야 알 수가 있다.


LGJ 0001-img-02.jpg


블로그를 접은 지 오래되었지만 내가 「8체질 가이드」라는 자각은 여전하다. 그때로부터 20년 가까이 흐르고 보니 요즘 인터넷에 8체질에 관한 정보는 넘치고 넘친다. 아는 것이 적으면 적을수록 당연히 분별력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리고 지식의 뿌리가 얕을수록 헛된 유혹과 꼬임에 쉽게 흔들리고 끌리게 된다. 일반인이 8체질 관련 카페를 만들어 왕처럼 행세하면서 자신이 의사들보다 낫다고 떠벌리거나, 거대 조직을 꾸려서 유사 의료업자가 된 일도 있다. 사진만 보내주면 쉽게 체질을 알려준다. 의사 만날 필요 없다. 사주 보면 다 나온다. 이런 건 늪으로 유인하는 미끼다. 위험한 유혹이다.


오늘 이곳 KMCRIC에 칼럼을 처음 올린다. 필진이 되어 달라는 제안을 받고, 어떻게 써야 할지 게시판을 둘러보다가 필진에 김종우 교수가 있는 것을 알았다. 내가 오래전에 눈발이 날리는 경희대학교 대운동장에서 만났던 바로 그 후배다. 그날의 아쉬움도 덮을 겸 글을 쓸 때마다 그를 생각하면서 써보려고 한다.


2001년에 8체질 전문 커뮤니티인 Onestep8.com을 열기도 했고, 8체질론과 관련한 전문서도 썼고 대중서도 냈다. 그리고 다른 매체에서 4년 가까이 격주로 칼럼을 쓰고 있기도 하다. 글은 특정한 대상이 있으면 쓰기가 쉽다. 그래서 사실 열린 공간에서 대중을 향해 쓰는 일이 난도가 가장 높은 글쓰기가 될지도 모르겠다. 어렵지 않게 써야 하니 더 그렇다.


칼럼 전체의 제목을 「8체질 가이드」라고 정한 것은 독자와 함께 8체질 여행을 떠난다는 의미를 함께 담았다. dr877이라는 아이디를 근래에는 통 쓰지 않았는데, 그래도 늘 정이 가는 이 아이디로 첫 글의 제목으로 삼고 싶었다.


대학 다닐 때 보통 첫 강의 날에는, 교수님이 교재 소개하고 ‘꼭 사!’하며 덧붙이고 끝내곤 하지 않았던가. 첫날부터 공부가 너무 하고 싶은 열심 학생들은 툴툴거리기도 했겠지만 말이다. 나는 조금 더 쓰고 끝내겠다.

       

시중에는 많은 체질론이 있다. 그런데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해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 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기실 체질이란 주제를 삶의 최우선 가치로 두고서 사는 체질론 골수분자들은 의료전문가든 대중이든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보통의 사람들이 체질에 대해 갖는 관심은 대개는 액세서리에 대한 관심과 비슷하다. 생명이 걸린 아주 절박한 지경에 빠진 사람들이나 간혹 절실함을 보여준다. 이러하니 체질이 넷인가, 여덟인가, 혹은 64가지인가 하는 의문은 대중에게 그리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단지 체질이란 구분에 관심을 둘 뿐이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나는 「8체질 가이드」 dr877이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