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넘어 만난 한의학

일찍이 지방의 여고를 졸업하고 보무도 당당하게 서울 유학 생활을 시작한 이후, 멋지고 훌륭한 한의사가 되겠다며 인생의 한 폭 그림을 다부지게 그려 나가던 시절이 있었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나름 국제적 감각을 익힌다며, 과 동기들과 함께 회기동 63번 버스로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눈물로 그들을 포옹하는 가족 친지들의 모습을 보며, 미래 한의학을 향한 어떤 마음을 다지며 돌아오곤 했었다.
좁은 울안에서 대롱으로 보던 세상을 넘어 더 멀리 더 높이 나는 새가 되고 싶었던 젊은 시절의 꿈은 내 인생 최고의 전환점을 만들어 주었다. 그 단편 단편들에서 만났던 한의학 언저리 평생의 인연들은 아름다운 구슬로 엮어져, 오늘날 나의 삶에 든든한 지침돌이 되어있음을 감사히 여기며, 퇴직한 여교수의 한의학 인생 에피소드 몇 대목을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학력]
198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한의학사)
1982 대만중국의약대학 대학원 졸업 (중의학석사)
1986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졸업 (한의학박사)

[경력]
1987-2020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2005-2014 과학기술부 우수연구센터(SRC)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2014-2017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2006-현재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현재 대만중국의약대학 객원교수
2020-현재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정년연장)

[저서]
<흐름의 철학 경락> 및 침구경락경혈학 관련 서적 다수

이혜정
이혜정

1980년 경희대학교 졸업 직후, 한의계 최초로 해외 유학을 시도하였고, 귀국 후 모교 교수로 30여 년간 연구와 강의에 종사하였음. 과기부 우수연구센터(SRC)인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소장 및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면서 경희대학교 고황명예교수로 근무 중임.

프로필 바로가기

#10. 위기와 기회 속에서

 

LHJ 0010-main.jpg



나의 삶은 어쩌면 하얀 가운을 입고 불철주야 실험실에 앉아있는 착실한 연구자의 모습보다는, 한의학 기초연구 초창기에 홀로 불도저를 밀고 다니며 거친 길을 닦아야 했던 연구경영자의 모습 속에 더 많이 투영되고 있다. 롤러코스터를 탄 듯 주변 학문들 속에 머리를 디밀며 협력 또는 경쟁하는 속에 결국은 좋은 결실을 따와야 하는 삶의 연속이었기에 말이다.


이번 편에서는 우선, 카이스트 팀과의 공동 연구 결과로 PNAS에 게재되어 세계적으로 많은 반향을 일으켰던 ‘침 자극 & f-MRI 연구 논문’이 매우 긴 시간이 지난 후 설득력 있는 학문적 논리도 없이 철회를 당하고야 말았던 내용부터 얘기해 보고자 한다.


사실 당시에 세간의 관심을 집중시켰던 우리 연구 결과는 원위 취혈 침 자극이 뇌의 해당 부위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를 보았던, 즉 ‘경락·경혈 자극 효과의 brain mapping 가능성’을 보여줌에 목표를 두고 결과를 냈던 것이었다. 그런데 게재 후 8년이나 지난 해에 갑자기 ‘비특이적 자극이 통증에 미치는 연구’를 한 것처럼 주제가 변질된 채, “후속 연구에서 통증 조절에 경혈의 특이적 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며, “고백합니다!”라는 식의 연구 윤리까지 들먹인 채 교신 및 제1저자인 조장희 박사에 의해 해당 논문이 철회된 것이다.


당시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정직성 문제로 갑론을박이 있었던 바로 그 시기에, 우리 논문으로 갑자기 연구 윤리 문제를 드러냈던 그 일에 대해 여전히 고개가 갸우뚱거려지는 게 솔직한 심정이다. 나를 포함한 공동연구진들의 철회에 동의하지 않는 학술적 의견이 PNAS에 함께 실리는 ‘조건부 논문 철회’ 사건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었으나, 여전히 관심 있는 학자들은 이 분야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맞서 대내외 매스컴에 공개되었던, 논문 철회 반박문 일부를 잠깐 소개해 본다.

  

LHJ 0010-title-01_30.jpg

경혈 특이성 논란과 논문 철회 및 최근 일간지의 보도에 대하여 (요약문)


2006년 7월 5일 자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는 논문 철회의 글이 하나 실렸다. 바로 동 저널 1998년 3월 자에 실렸던 「New finding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cupoints and corresponding brain cortices using functional MRI」 논문이 제1저자이며 교신저자인 조장희 박사에 의해 철회된 것이다.


이 논문은 경혈 특이성 (point specificity)을 영상의학적으로 규명한 최초의 연구로 당시 침구경락학계와 일반 과학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철회의 이유는 후속 연구 결과, 경혈 특이성이 적어도 통증 조절에 있어서는 인정될 수 없었다는 점 때문이었다.


또한 조 박사는 경혈 특이성을 인정하지 않는 대신, 경혈 부위이든 아니든 단순히 침자 행위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통증 억제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며, 이때 신경면역계의 염증 억제 작용이 나타난다는 이론으로 ‘broad sense HPA axis’라는 새로운 가설을 제안했다.


보통 침으로 자극을 줄 때는 경혈 특이적인 효능과 비특이적인 효능이 함께 유발된다. 조장희 박사가 제안한 모델은 비특이적 효능을 설명하는 데에 적절한 모델로 볼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혈이 아닌 부위의 비특이적 작용이 존재한다고 해서 보다 더 상위 개념인 경혈 특이적인 효능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다양한 종류의 질환에 대한 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오히려 경혈 특이적인 효능의 기전을 규명하고 최대한 활용할 방법론을 찾아야 하는 필요성이 지금 우리 연구자들에게 과제로 다가와 있는 것이다.


조 박사는 “특정 침점 (경혈)에 놓아야만 효과를 내기보다는 침의 강도와 주기, 빈도 등에 의해 효과가 결정되는 측면이 강한 것으로 추측된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자극의 특성이나 강도가 같다고 해서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자극을 가하는 여러 경혈 조합으로 실험해 보았을 때 파킨슨병을 완화하는 효능이 특정 경혈 조합에서는 우수하지만 다른 경혈 조합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바도 있고, 또한 발목 염좌 동물 모델에서의 진통 효과 실험에서도 혈위에 따른 효과 차이가 보고된 바 있다.


또한 1998년 논문과 비슷한 내용으로 ‘지음’혈과 대뇌 시각피질과의 특이적 관련성을 재확인한 논문들이 2002년과 2003년에도 보고된 바 있고, 특정 경혈에 침을 놓는 자극이 경혈이 아닌 곳에 침을 놓는 자극보다 효과가 우수하다는 사실이 상완골 외상과 염증의 통증 억제와 관절 기능 개선 효과 측면에서, 그리고 암 환자의 통증 억제 효과 측면에서 보고된 바도 있다.

LHJ 0020-title-02_30.jpg


더듬어 보면, 1970년대 이후부터 더욱 활발하게 신경과학적, 면역학적, 약리학적 연구와 임상연구 등 다양한 방법론들에 의해, 진통 작용을 포함하여 침의 효과 기전 및 경혈 특이성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가 쌓이며 학자들의 관심이 증폭되자, 1996년에 미국 FDA는 침에 붙어 있던 ‘시험적 (experimental)’ 의료 도구라는 수식어를 공식적으로 삭제했다. 또한, 예전의 단순 플라시보 효과 혹은 최면 효과의 측면으로 치부해 버리던 견해를 뛰어넘어, 1998년의 미국의학협회지 (JAMA)에는 “침 치료의 가치를 인정할 만한 충분한 증거 (특정 경혈의 효과)가 있으므로 침을 기존 의료 체계에 확대 적용 시켜야 할 것이다.”라는 내용의 논문도 게재되었다.


이처럼 명확한 학술적 증거들을 바탕으로 특정 경혈을 대상으로 한 침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인식과 신뢰가 세계적 추세로 번져감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당했던 논문 철회 사건은 참으로 시대착오적인 일이었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한편, 우수연구센터 (SRC) 운영이 후반부로 접어들던 어느 날, 또 하나의 이슈가 터져 연구실 전화는 바쁘게 울리고 있었다. 침구경락 연구책임자의 학술적 입장을 밝히라는 학계의 여러 다그침 속에 써 보냈던 아래 관련 기사 (요약문)만 보아도 상황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LHJ 0010-title-01_30.jpg

경락의 구조적 실체, 일명 프리모관의 진실에 대한 의견 (기고문 요약)


중앙일보 2011년 10월 10일 자, "암 전이의 중요 통로 경락, 실체 드러났다"라는 기사에서는 ‘림프관 등에서 발견된 또 다른 관을 연구자들은 프리모관이라 부르면서 이를 “경락의 실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들 경락 연구자들은 오는 13일 한국한의학연구원 개원 기념 심포지엄에서 인간 태반에서 경락 관찰법, 경락에만 작용하는 특이 항체, 경락 세포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는 요지의 내용을 매우 상세히 다루었다.


프리모관 연구는 새로운 구조에 대한 학문적 진실성과 과학적 합리성만 인정된다면 인체 해부조직학적 견지에서만 보아도 서양의학계에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더 나아가 암을 치료하는 새로운 통로라 인정받게 된다면 더욱 대단한 일이다.


그러나, 아무리 새롭고 신기한 구조가 발견되었다고 쳐도 서양의학계에서조차 아직 공인되지도 않은 그 구조에 재빨리 경락이라는 이름을 갖다 대면 그것이 바로 경락의 실체로 선점이 되는 것일까?


본 세미나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수세미 이론이었다. 수세미처럼 인체 전체를 그물로 매우 촘촘히 얽어맨 그림이 장차 프리모의 미래 모형이라 한다. 그런데 묘한 일은 그 수세미 속에는 옛 선현들이 대대로 경험하고 정리해낸 12경락도 361개의 정경혈도 없었다. 이른바 경락 시스템과 그 연계 기관들이 통째로 수세미 속에 녹아 없어져 버릴 예정이다. 그렇다. 아이러니하게도 프리모의 미래 모형은 바야흐로 경락 학설에 대한 회의론적 사고로 곧 원시적 아시혈의 모형으로 되돌아가는 것이었다.


또 다른 연구에서도 연구자들은 여러 종류의 염색과 조직 검사 결과 기존 서양의 조직학 지식과 차별된다고 여겨지는 것은 무조건 다 프리모 조직이고 경락이라 발표하고 있었다.


비록 과학적 연구 방법론이나 해석의 객관성 또는 용어의 표현에 있어서 서양의학적 방법론에 비해 다소 뒤떨어지는 취약점이 있다 치더라도, 오히려 경락의 구조를 논하는 사이에 경락의 넓은 응용 가치나 범주가 박제화되어 벽에 갇혀버릴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필자 혼자만의 기우인가?


흡사 바람몰이라도 하는 분위기 속에 기존의 경락경혈 학설의 가치관과 뿌리가 흔들리고 있는 지금, 적어도 한의학 핵심 이론으로 활용되고 있는 경락·경혈에 대한 인식과 응용에 역사적·학문적 오류를 범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발전을 위한 하나의 토론 주제로 문이 열리기를 바란다.

LHJ 0020-title-02_30.jpg


정부 출연기관인 한국한의학연구원의 기획 세미나에서, 국제적 영문명 ‘프리모’와 ‘경락의 실체’라는 이름으로 발표되는 총 7편의 내용들이 한의학, 침구학, 경락·경혈학을 대변해 주지도 않았고, 발표자 중에는 침을 시술해 본 임상 경험이 있거나 연구에 주체적으로 관여한 한의사가 단 한 명도 없었던 상황에서 “경락의 실체, 구조를 발견했다”기에 벌어진 일이었다.


한의학의 중요한 이론 바탕, 경락에 대한 예민하고도 중요한 주제였지만, 이 기고문을 끝으로 더 이상의 학술적 토론도 없이 유야무야된 일이 상당히 아쉬웠다. 더불어 본 세미나를 기획했고 운영했던 기관의 학문적 입장, 즉 세미나 결과에 대한 분석도 참 궁금했었는데 말이다. 역사적 아이러니는 그 후 몇 년 뒤 내가 이곳의 원장으로 부임할 줄을 어찌 짐작이라도 할 수 있었던가! 최근의 소식에 의하면 향후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도 침구경락 이론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전문 센터를 만들 예정이라 하니 늦었지만 참으로 반가운 일이다.


2014년 10월 15일 드디어 우수연구센터 종료를 기념하는 홈커밍 파티가 열렸다. 본 센터를 거쳐 간 많은 연구자를 초청하여 성실함과 책임감으로 좋은 성과를 창출해 준 일에 대해 위로하고 감사하는 파티였다. 홈커밍을 준비하던 그 당시, 이상하게도 연구원들이나 교수들을 찾으면 다들 일이 있어 어디론가 가 있다는 통에 참으로 만나기가 힘들었던 일이 생각난다. 그에 대한 해답은 바로 그날 드러났다.


교수, 연구원, 학생들이 혼연일체가 되어 동대문 시장에서 사 온 이상한 ‘빤딱이’ 복장들을 차려입고 유쾌한 음악에 맞추어 얼마나 일사불란하게 흔들어댔던지... 부족한 연습을 때우려 새벽 기차를 타고 왔다는 부산 김승태 교수의 어눌한 배불뚝이 춤까지 더하니 홀 안에 가득했던 그 함성과 웃음소리, 게다가 미처 참석하지 못한 미국의 박종배 교수, 김승남 포닥 연구원의 영상메시지는 말 그대로 화룡점정이었다.


LHJ 0010-img-01.jpg


세월이 많이 흘러 이른바 ‘뉴노멀 시대’라 불리는 지금, 여전히 연구실의 불은 환히 밝혀져 있고, 해를 거듭하며 새로운 얼굴들이 그 자리를 채워가고 있음에 그저 흐뭇하고 감사할 뿐이다. 꽃 같고 태양 같았던 젊음의 아름다운 추억과 열망은 일찍이 낡은 역사의 일기장에 스며든 채 무심한 세월 속에 묻혀가고 있고, 이제 몇 발짝 뒤로 물러나 ‘뉴노멀’의 현장을 바라보는 나는 그새 어쩔 수 없이 “은발의 할머니”가 되어버렸다!



© 이혜정 교수의 담 넘어 만난 한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