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30. 온고지신 溫故知新

 

LGJ 0030-main.jpg



창의 創意


창의란 글자 그대로 새로운 생각이다. 8체질 중에서 창의와 가장 어울리는 체질은 바로 금양체질이다. 나는 금양체질이 가진 창의를 ‘그 이전에는 없던 전혀 새로운 생각’이라고 좀 거창하게 이해했던 것 같다. 그리고 금양체질이 창의를 잘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 자신을 외부 세계에 노출하지 말고, 마치 골방에 틀어박히듯이 은둔하면서 자신만의 생각에 몰두해야 한다고 받아들였다. 그래서 금양체질을 규정하는 단어로 ‘창의와 은둔’을 선택했고, 8체질 특징 표를 만들면서 아래와 같이 썼다.


LGJ 0030-img-01.jpg


8체질론의 창시자인 권도원 선생이 기고를 통해서, 금양체질의 성향이 “비현실적이며 비노출적이고 비사교적”이라고 했으니 그럴 거라고 짐작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제 보니 이것은 금양체질에 ‘사교적인 직업은 적당하지 않다.’는 것이 핵심이었다. 비사교적이고 비노출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는 있으나 세상과 교섭하지 않고 일부러 은둔할 필요는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내 글을 읽은 사람들이 금양체질은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한다.’고 오해할 여지도 있었다.


LGJ 0030-img-02.jpg

권도원, 체질과 직업 『빛과 소금』 〈132호〉 두란노서원 1996. 3.



온고지신 溫故知新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이 있다. 이 구절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나는 ‘지금 새로운 깨달음의 바탕에는 반드시 옛것이 있다.’로 새기고 싶다. 이 말은 불변의 진리이다. 그러니 온고지신과 연관하여 금양체질의 창의를 다시 고쳐 생각한다면 그건 ‘새로운 아이디어’이거나 ‘새로운 깨달음’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반드시 옛것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것이다.


성경 전도서 (Ecclesiastes) 1장은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로 시작한다. 널리 알려진 글이다. 그리고 9절에 “하늘 (해)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라는 유명한 문장이 나온다. 이 문장에 앞서서 “이미 있던 것이 후에 다시 있겠고, 이미 한 일을 후에 다시 할지라.”라고 했다.


LGJ 0030-img-03.jpg

전도서 1장 2절, 9절



모방과 표절 Imitate and Plagiarize


19세기 영국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윌리엄 헨리 데이븐포트 애덤스 (William Henry Davenport Adams, 1828~1891)가 쓴 ‘Imitators and Plagiarists’라는 제목의 기사는, 1892년에 나온 「The Gentleman's Magazine」 272권에 실렸다.


* 「The Gentleman's Magazine」은 1731년 1월 Edward Cave가 영국 런던에서 창간한 월간 잡지이다. 1922년까지 거의 200년 동안 중단 없이 발행되었다.


LGJ 0030-img-04.jpg

「The Gentleman's Magazine」 1892년


애덤스는 영국 시인 알프레드 테니슨 (Alfred Tennyson, 1809~1892)을 예로 들면서 “위대한 시인은 모방하고 개선한다. 반면에 별 볼 일 없는 시인들은 훔쳐서 망가뜨린다.”라고 썼다고 한다. 그는 훌륭한 시인을 모방자 (imitators)로, 저급한 시인들을 표절자 (plagiarists)로 보았다는 것이다.


LGJ 0030-img-05.jpg



성숙과 미성숙 Mature and Immature


영국 시인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Thomas Stearns Eliot, 1888~1965)은 1920년에 출판된 그의 에세이 모음집인 『The Sacred Wood』에서 이렇게 썼다고 한다.


LGJ 0030-title-01.jpg

Immature poets imitate; mature poets steal.

미숙한 시인들은 그저 모방하지만, 성숙한 시인들은 훔친다.

Lgj 0030-title-02.jpg


엘리엇에 따르면 “어떤 시인이 훌륭한 시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확실한 기준은 그가 어떤 방식으로 다른 시인의 생각을 빌려오는가이다.”라고 했다. “미숙한 시인들은 그저 모방하지만, 성숙한 시인들은 훔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저급한 시인들은 그들이 훔친 것을 망가뜨리지만, 훌륭한 시인들은 그것을 뭔가 더 나은, 적어도 뭔가 다른 것으로 변화시킨다.”면서,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자기만의 색깔을 가진 온전한 감정 속으로 결합시킨다.”는 것이다.


LGJ 0030-img-06.jpg



혁신


흔히 모방과 표절을 비교한 이런 말과 생각은, 이후에도 많은 사람들을 거치면서 변형을 거듭하며 회자되었다. 사실 이런 말과 생각의 원주인이 정말 누구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스티브 잡스 (Steve Jobs, 1955~2011)도 생전에 피카소 (Pablo Picasso, 1881~1973)의 말이라면서, 그가 밝혀서 더 유명해진 한 문장을 전했다. 바로 이것이다.


LGJ 0030-title-01.jpg

Good artists copy; great artists steal.

훌륭한 예술가는 베끼고, 위대한 예술가는 훔친다.

Lgj 0030-title-02.jpg


사실 이것은 문맥으로 짐작하건대 피카소 자신의 고백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스티브 잡스가 이 말을 인용한 이유도 그가 제록스 (Xerox)에서 아이디어를 훔쳤음을 고백한 대목이었다. IBM에서 일하기도 했던 로버트 크린즐리 (Robert X. Cringely)가, 컴퓨터 혁명을 주제로 1996년에 만든 PBS의 다큐멘터리인 「괴짜들의 승리」에서 그날에 얻은 깨달음에 대해서 말했다.


애플 PC는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고 있었다. 하지만 경쟁은 치열했고 애플은 여전히 작은 기업이었다. 스티브 잡스는 제록스의 팔로알토연구소 (PARC)가 여러 기업에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제록스 측에 100만 달러를 투자할 기회를 주겠다고 제안했다. 1~2년 후 애플이 주식을 상장하면 그 투자금이 상당한 이익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제록스는 긍정적으로 대답했고 잡스와 그의 프로그래밍 팀이 PARC를 견학할 수 있는 특별한 가이드 투어 기회를 주었다. 1979년 12월에, 컴퓨터의 역사를 바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 대한 섬광 같은 통찰력을 잡스는 거기에서 얻었다고 했다.


“혁신이란 그동안 인간이 이루었던 최고의 업적들에 스스로를 노출시키고, 그것들을 자신이 하고 싶은 작업 속으로 가져오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고 하면서 말이다.



Moonwalk


한때 전 세계의 꼬마들이 따라 해 보려고 열광적으로 몰두하게 만들었던 문워크가 있다.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 (Michael Joseph Jackson, 1958~2009)이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미국 뉴욕 출신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스윙 재즈 싱어이자 밴드 리더였던 캡 캘러웨이 (Cab Calloway, 1907~1994)가 1932년에 남긴 영상을 보면, 그가 버즈 (the Buzz)라고 이름 붙인 춤 동작이 있다. 문워크의 특징은 무릎을 번갈아 굽히면서 후진하는 스텝인데, 캘러웨이는 그것을 그대로 보여준다. 하지만 그가 그 동작의 최초 고안자인지 확실하지는 않다.


LGJ 0030-img-07.jpg

Cab Calloway / Michael Jackson


[참고 자료]

ybnormal님의 네이버 블로그의 글, ‘68. Good artists copy; great artists steal.’에서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