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32. 동무東武와 동호東湖

 

LGJ 0032-main.jpg



다름


체질(體質)이란 다름이다. 태음인(太陰人)은 오랜 시간을 두고 기초부터 차근차근 지식을 쌓고 경험을 축적하고, 그런 후에 자신의 몸 안에서 녹여내는 과정을 거쳐야 어느 날 문득 깨달음의 순간이 온다. 그리고 또 그런 깨달음들이 쌓여서 이른바 대가(大家)가 된다 [1]. 그런데 태양인(太陽人)은 그렇지 않다. 순간적인 아이디어나 계기로부터 엄청난 깨달음을 이룬다 [2]. 비교적 어린 나이인데도 스승의 위치에 오르는 사람들이 그렇다.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안다.”는 말은 바로 이런 태양인에 어울리는 말이다. 태양인이 가지고 있는 직관(直觀)과 통찰(洞察)의 능력이 발휘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태음인은 하나에서 둘 둘에서 셋으로 그리고 차례대로 아홉까지 단계를 밟아야 비로소 열에 이를 수 있다. 중간에 있는 것을 빼먹으면 안 된다. 그러니 대기만성(大器晩成)이라는 말은 태음인에 어울린다. 여기에서 대기란 진흙으로 만드는 큰 항아리를 말한다. 바닥 판을 먼저 만들고, 그 가장자리로 돌아가면서 흙가래를 쌓아서 몸통 부분을 다듬고, 마지막으로 목 부분을 만들고 손잡이를 붙인다. 그런 후에 가마에서 굽는다. 이처럼 큰 항아리를 만들려면 그 공정에 일일이 손길이 필요하니 더디고 오래 걸린다. 그리고 중간에 어느 부분이든지 조금이라도 빼버리면 항아리로 구실 할 수가 없다.


[1] 선가(禪家)에서는 점오(漸悟) 또는 점수(漸修)라고 한다. 차례와 위계를 거쳐서 수행하여 득도하고, 점점 깊이 깨닫는 것을 이른다.


[2] 선가(禪家)에서는 돈오(頓悟) 또는 돈수(頓修)라고 한다. 오랜 수련 기간이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일시에 깨달음에 이르거나, 갑자기 깨닫는 것을 이른다.



핵심


글도 그렇다. 태음인은 연유(緣由)와 참고와 궁리를 거치는 모든 내용을 서술한 다음에 끝에 결론을 쓴다. 결론만 간단하고 명쾌하게 툭 던지지 않는다. 그건 자상한 방식도 아니고, 그가 어떻게 공(功)을 들이고 어떤 과정을 거쳐서 결론에 이르렀는지 남들이 알지 못하니, 그렇게 하면 영 서운하다. 하지만 태양인은 핵심적인 결론만 간결하게 툭 던져 놓는다. 그런 다음에 시작한다. 태양인의 가르침도 그렇다. 1960년대 말에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체질의학 전공으로, 지도 교수였던 권도원 (東湖 權度杬 1921~2022) 선생의 가르침을 받았던 염태환 (廉泰煥 1933~) 선생의 증언이다. “선생님 체질맥진하는 방법 좀 알려 주십시오.”하고 요청했다. 그랬더니 동호 선생의 반응, “논문에서 읽었지? 자, 잡아봐.”였다고 한다.


LGJ 0032-img-01.jpg


동무 이제마 (東武 李濟馬 1837~1900) 공이 지은 『동의수세보원』에서 권지일(卷之一)로 묶이는 네 논편 「性命論」 「四端論」 「擴充論」 「臟腑論」은 동일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편의 첫 부분에서 규정이나 정의로 출발하는 것이다. 「성명론」은 천기(天機)와 인사(人事)를 규정하고, 「사단론」은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과 비박탐나인(鄙薄貪懦人)을 정의한다. 「확충론」에서는 애노희락(哀怒喜樂)의 성(性)과 정(情)을 정의하고, 「장부론」에서는 사초(四焦)의 부위를 규정한다.


한 편 더, 〈수세보원〉에서 제일 마지막에 나오는 「사상인변증론」도 그렇다. 서두에서 태소음양인의 분포 비율을 제시했다. 그렇게 규정하고 정의한 이후에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전혀 없다. 이것은 태양인인 동무 공의 글쓰기 특징이기도 한데, 〈수세보원〉에서 규정되고 정의되었다는 것은 그 배경 원리에 대해서는 구구하게 따지지 말라는 선언과도 같은 것이다. 권지일 부분이 쉽게 접하기 어렵고 이해가 수월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태양인


태음인 특히 목양체질 (木陽體質 Hepatonia)은 과묵하고 음험하여 속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그러니 그가 일부러 무엇을 감추려고 들면 알아내기가 참 어렵다. 태양인 중에서 금양체질 (金陽體質 Pulmotonia)은 목양체질과 정반대인 체질이니 그의 태도는 기본적으로 솔직하다. 하지만 단순하고 명쾌한 것을 추구해서 [3], 핵심적인 것만 툭 던지고 말지 구구절절이 자상하게 늘어놓지는 않는다 [4]. 그리고 정말 중요하다 싶은 정보는 조금 비튼다든가 약간 돌려서 표현되기도 한다. 어떤 때에는 원안자(原案者)를 의도적으로 감추는 경우 [5]도 있다.


[3] 이것은 애플 (Apple) 제품의 디자인 원칙이기도 한데, 그것은 디자이너 조너선 아이브 (Jonathan Paul Ive 1967~ )의 철학이 반영된 것이다. 그래서 조너선 아이브의 체질을 금양체질로 추정하고 있다. 스티브 잡스 (Steve Jobs 1955~2011) 또한 같은 체질이라고 짐작한다.


[4] 태양인은 핵심만 표현하고, 태음인은 과정을 중시하고, 소양인은 잡다하게 늘어놓고, 소음인은 장황하여 헷갈린다.


[5] 그 원안이 자기에 의해 더 중요하게 부각되었다고 판단할 때 그러는 것 같다.



<영추(靈樞)>


동무 공은 50대 후반인 1894년에 일차적 [6]으로 완성한 〈수세보원〉의 「사상인변증론」 말미에, 자신이 사상인(四象人)의 아이디어를 얻은 ‘영추서(靈樞書)’를 적어두었다.


“<영추>라는 책에 태소음양 오행인론 [7]이 있는데, 사상인의 외형에 관해서는 그것에서 약간 얻은 바가 있지만 장리(臟理)는 얻은 바가 없다. 대개 태소음양인에 대하여 예전 사람들도 일찍이 그 다른 점을 보았던 것인데, 거기에 미진한 부분을 내가 정밀하게 탐구하였다 [8].”


사상인의 아이디어는 <영추> 「통천」에 있었다. 이 논편을 서술한 사람은 태음지인, 소음지인, 태양지인, 소양지인의 특징을 아주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글을 읽으면 사람이 그렇게 다른 부류로서 구분되어 존재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크게 미진하긴 하지만 장기대소(臟器大小)에 대한 단서도 있었다 [9]. 동무 공은 장리는 얻지 못했다(未得臟理)고 썼지만 그건 사실이 아닐 것이다. 「통천」의 서술자보다는 자신이 더 돋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6] 〈甲午舊本〉


[7] 이것은 《靈樞》의 「通天」과 「陰陽二十五人」, 그리고 《鍼灸甲乙經》의 「陰陽二十五人形性血氣不同」에 나오는 ‘太陰之人 少陰之人 太陽之人 少陽之人 陰陽和平之人’의 五態人論과 ‘木形之人 火形之人 土形之人 金形之人 水形之人의 五形之人을 각각 宮商角徵羽로 나눈’ 二十五人論을 말한다.


[8] 〈壽世保元〉 「四象人辨證論」 靈樞書中有太少陰陽五行人論 而畧得外形未得臟理 盖太少陰陽人早有古昔之見 而未盡精究也


[9] 태음지인을 통해서 간대폐소의 아이디어가 나왔다. 소음지인에는 위소장대(胃小腸大)가 있다. 이때 장(腸)은 대장이 아니라 소장이다.



고대인 (The ancient)


동호 권도원 선생은 1962년 9월 7일에 탈고한 「62 논문」에, 자신이 화(火) [10]에 관한 아이디어를 얻은 ‘고대인의 인화(人火)와 군화(君火), 그리고 용화(龍火)와 상화(相火)’에 대해 적어두었다 [11].


LGJ 0032-img-02.jpg

「The Constitutional Acupuncture」 군화 인화/상화 용화


“심장부 (심/소장)와 심포장부 (심포/삼초)는 길항적 위치에 있다. 그래서 약한 심장부를 가지는 소음인과 태양인은 강한 심포장부를 가지며, 강한 심장부를 가지는 소양인과 태음인은 약한 심포장부를 갖는다. ~중략~ 고대인은 심장부를 군화, 인화라고 하고, 심포장부를 상화, 용화라고 하였다 [12].”


여기에서 고대인과 관련한 부분은 『동의보감』의 「잡병편」 〈화문〉에 나오는 내용 [13]이다. 화에 관하여 논의한 세 의가 東垣, 丹溪, 河間의 중요한 논점이었다. 동원은, 화에는 두 가지 성질이 있는데 군화는 인화요 상화는 천화라고 했다. 하간은, 사람의 몸에 두 가지 화가 있는데 군화는 인화요 상화는 용화라고 했다. 단계는, 군화는 심과 소장의 기로 상화는 심포와 삼초의 기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여기에 등장한 고대인 (the ancient)은 한의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만한 유명 인물이었다.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 중 세 명이 아닌가. 하지만 권도원 선생은 출전인 『동의보감』을 밝히지도 않았고, 그리고 중요한 의가 세 명을 고대인이라고 단수(單數)로 압축해 버렸던 것이다. 자신이 세 의가의 논점을 참고하기는 했지만,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그것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정립했기 때문일 것이다.


[10] 8체질론에서 불(火)은 생명의 상징이다.


[11] 심장부 (心臟腑 심/소장)와 심포장부 (心包臟腑 심포/삼초)가 길항적 위치에 있다는 것과, 8체질을 부교감신경 긴장형과 교감신경 긴장형으로 양분(兩分)하면서 부교감신경 긴장형은 심장부가 강하고 [심포장부가 약하고], 교감신경 긴장형은 심장부가 약하다 [심포장부가 강하다]고 규정한 것은 8체질의학의 중요한 기본 원리가 되었다.


[12] 이것은 번역문이다. 영문 원문은 아래와 같다.

(3) As seen above, the heart viscera corresponds with all the other. However, the Sin-Pao viscera corresponds with the heart one, and both of them stand one another to antagonistic positions. For this reason, both So-Yang and Tae-Um Figures, whose heart viscera are strong, have weak Sin-Pao one; both So-Um and Tae-Yang Figures, whose heart viscera weak, have strong Sin-Pao one. The saying of the ancient that the heart viscera is the emperor fire(君火) or the man fire (人火), being the Sin-Pao one the mutual fire (相火) or the dragon fire(龍火), implies such a meaning.


[13] 〈火有君相之二〉 五行各一其性 惟火有二 曰君火人火也 曰相火天火也 〈東垣〉, 君火者 乃眞心小腸之氣所爲也 相火者 乃心包絡三焦之氣所爲也 〈丹心〉; 〈火爲元氣之賊〉 人身有二火 曰君火猶人火也 曰相火猶龍火也 〈河間〉



여구


권도원 선생은 글로 적어 두지는 않았지만, 자신이 38세쯤에 앓은 눈병을 여구(蠡溝)에 침을 놓아 스스로 고쳤다고 측근들에게 70살 무렵에 밝혔었다. 이것은 권도원 선생이 체질침을 창안한 계기가 되는 아주 중요한 일화이다. 하지만 이야기에 공개된 의학적인 정보는 ‘눈병과 여구’가 거의 전부이다.


나는 2009년부터 2010년 사이에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자료를 뒤지다가 백암 유석형 (白岩 劉碩炯 1908~?) 선생 [14]이 남긴 책을 많이 만났다. 그중에 혼마 쇼하쿠 (本間祥白 1904~1962)가 지은 『침구보사요혈지도 설명서』와 『침구경락치료강화』가 있다. 전자는 1941년에 후자는 1949년에 초판이 나왔다. 여기에 혼마는 그의 스승인 이노우에 케이리 (井上惠理 1903~1967)가 가르쳐 준 침 처방의 취혈표를 실어두었다. 나는 이 취혈표에서 여구를 발견했다. 여구가 들어간 침 처방은 ‘간경허증(肝經虛證)’에 해당하는 처방이다. 간이 허한 태양인인 권도원 선생이 이 처방을 스스로 놓아 자신의 눈병을 고쳤던 것으로 추정한다.


LGJ 0032-img-03.jpg

『鍼灸補瀉要穴之圖 說明書』와 『鍼灸經絡治療講話』


권도원 선생은 아마도 일본 침구 고전파의 성과물로 남은 일본 책들을 참고했다는 것을 감추고 싶었던 것 같다.


LGJ 0032-img-04.jpg

이노우에 케이리(井上惠理) 취혈표 여구


LGJ 0032-img-05.jpg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p.31 여구


[14] 백암 선생의 별세와 관련한 자료를 찾지 못했다. 1989년에 국립중앙도서관에 백암문고가 설치된 것으로 미루어 보면 아마도 그 무렵에 돌아가신 것 같다.



장부혈


권도원 선생의 체질침 논문을 보면 밑줄이 있는 (underlined) 용어가 있다. 이 용어들은 ‘권도원 선생에 의해 새로 고안된 전문용어 (terminology)’라고 「1차 논문」에서 밝히고 있다 [15]. 제일 중요한 용어는 역시 체질침 (體質鍼, Constitution-Acupuncture) [16]이다. 그리고 권도원 선생은 「62 논문」을 통해서 기존에 오수혈(五兪穴)이라고 불리던 장부경락의 오행혈(五行穴)을 장부혈 (臟腑穴, the Visceral Points)이라고 명명하였다. 그 외에는 새로 만들어진 용어로 송혈 (送穴, Transmissive point)과 수혈 (受穴, Receiving points)도 있다.


LGJ 0032-img-06.jpg

「體質鍼 Constitution - Acupuncture」 장부혈


그런데 혼마 쇼하쿠가 지은 『난경의 연구』 [17]를 보다가 ‘장부혈’을 발견했다. 혼마 쇼하쿠는 이 책에서 ‘참고’ 부분에 『난경본의(難經本義)』 [18]와 『난경고의(難經古義)』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었다.


『난경』 64난은 정형수경합(井滎兪經合)의 음양오행적 속성에 관하여 언급한 챕터이다. 장경(臟經)의 오수혈은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차례로 배속하였고, 부경(腑經)은 금수목화토(金水木火土)로 배속하였다. 그런데 이것은 규정만 있을 뿐 유래(由來)나 배속 원리에 대한 분명한 설명은 없다. 그래서 이후에 난경을 주해(註解)한 의가(醫家)들 사이에서도 중요한 논쟁거리가 되었다.


64난 부분에 인용된 『난경본의』의 내용에 눈에 익은 한자 용어가 보였다.


LGJ 0032-img-07.jpg

『난경본의(難經本義)』 64난 장부혈(藏府穴)


혼마 쇼하쿠는 1962년 8월 5일에 별세하였다. 그리고 『난경의 연구』는 그의 사후인 1965년에 초판이 출간되었다. 권도원 선생은 1965년 5월에 『대한한의학회보』 16호를 통해 발표한 「체질침」에서 장부혈(臟腑穴)이라는 용어를 분명하게 썼다. 그리고 「62 논문」에서는 이를 ‘the Viscera Points’라고 같은 의미로 표현했다. 권도원 선생이 당시에 『난경본의』의 내용을 알고 있었는지 확인할 수는 없다. 다만 장부혈이란 명칭은 이미 그보다 600년 전에 활수(滑壽)라는 선구(先驅)가 있었던 것이다.


태양인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은 ‘사태의 핵심만 말하면 된다.’는 태도이다. 그리고 정보가 어떻게 표현되는가 보다는, 어떤 정보를 얼마만큼 담느냐를 중시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신의 이룬 업적이나 성과가 돋보여야 한다. 그것의 방해가 된다면 정보의 진위나 출처 자체가 왜곡되기도 하는 것이다.


[15] The words, underlined in the present thesis, are the terminologies newly designated by the present writer. 「A Study of Constitution-Acupuncture」 1965. 10. p.3


[16] 더욱이 이 치료 처방으로 필자가 연구한 체질 진단법을 써서 그 처방이 제각기 적용될 수 있는 병형 (病型 morbidity)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침술 이론체계를 필자는 체질침이라 명명하였다.


[17] 本間祥白, 『難経の研究』 醫道の日本社 1965.


[18] 원대(元代)의 활수(滑壽)는 그 시대까지의 난경에 대한 각 의가의 해석을 집대성하여 1366년에 『난경본의』를 펴냈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