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34. 사촌이 산 땅

 

LGJ 0034-main.jpg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사촌’ 항목에서 보면, ‘남이 잘되는 것을 기뻐해 주지는 않고 오히려 질투하고 시기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해설되어 있다. 그러니 이 속담의 키워드는 질투와 시기이다.


LGJ 0034-img-01.jpg


사촌은 그 부모가 친형제 자매 사이니, 사촌이라면 아주 가까운 친척이다. 삼촌이거나 할아버지가 아니라 사촌인 것은 ‘배가 아픈 당사자’와 같은 항렬로 연배가 비슷하다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즉 사회적으로 서로 비슷한 조건일 가능성이 있는 가까운 친척이다. 그런데 그가 나는 못 가진 땅을 샀다는 것이다. 그래서 배가 아파서 견디지를 못하겠다는 것이다.


사촌이 땅을 샀는데 축하해 주어야지, 왜 그러는 것일까? 그래서 사람들은 이 속담을 파고들었다.



한반도 유일설


이런 의미를 가진 속담은 다른 나라에는 없고 한민족에게 유일하다는 것이다. 그러니 한민족은 본디 서로 질투하고 헐뜯기 좋아하는 민족이라는 것인데, 이런 시기심을 유별난 교육열과 경쟁심으로 연결하기도 했다. 한국의 놀라운 경제발전에 기여한 면도 있다는 해석이다.



인분 공여설


이 속담은 질투나 시기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는 주장이다. “죽는 건 객지에서 죽어도 볼일은 집에 와서 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사람의 똥은 중요한 쓰임이 있었다. 즉 옛날에 최고의 비료는 바로 인분이었다. 사촌이 땅을 샀으니 무언가 축하를 해 주어야 하는데 내 삶이 그리 풍요롭지 못하다. 사촌이 산 땅에 거름으로 쓰라고 똥이라도 보태주어야겠다. 그러니 똥이 나오려면 배가 아파져야 하는 것이다.



일제 왜곡설


우리나라에서 역사적 왜곡이란 분석에서는 ‘일제’가 단골손님이다. 인분 공여설에서 나왔던 해석이 원래 이 속담이 가졌던 아름다운 의미인데, 일제가 우리 민족을 이간질하려고 나쁜 뜻으로 왜곡시켰다는 것이다.



국립국어원


사실 이 속담은 어디에서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누군가 인터넷에 떠도는 왜곡설에 대해서 국립국어원에 정식으로 질문을 했다. 국립국어원은 아래와 같이 답변했다. “『한국의 속담 대사전』 (정종진), 『우리말 속담 사전』 (조평환, 이종호), 『속담 풀이 사전』 (한국고전신서편찬회), 『우리말 속담 큰사전』 (송재선) 등과 같은 속담 사전에서도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상의 정보는 찾을 수가 없어서, 질문한 의미 변화에 대한 근거는 확인할 수가 없었다.”고 했다. 왜곡되었다고 볼 근거로 삼을 문헌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리고 질투와 시기에 대해서 역사 속에 유명한 사람들이 남긴 명언들을 보자.


LGJ 0034-img-02.jpg



「통천」


동무 이제마 공의 사상인론에서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 사상인(四象人)의 명칭은 《영추(靈樞)》 「통천(通天)」에 있는 오태인(五態人)에서 나왔다. 오태인은 태음지인(太陰之人), 소음지인(少陰之人), 태양지인(太陽之人), 소양지인(少陽之人), 음양화평지인(陰陽和平之人)이다. 동무 공은 여기에서 음양화평지인을 덜어내고 각각 태음인, 소음인, 태양인, 소양인으로 한 것이다.


LGJ 0034-img-03.jpg


「통천」에 있는 태음지인, 소음지인, 태양지인, 소양지인의 특징에 대한 설명은, 마치 2천 년 전으로 시간 여행을 간 것처럼 아주 생동감 있고 실제적이다. 이 중에 소음지인 부분이 오늘의 주제와 관련하여 눈길을 끈다.


“소음의 사람은 탐욕은 적은데 다른 사람을 해치고 싶은 마음이 있다. 다른 사람이 망하는 것을 보면 항상 무엇을 얻은 것처럼 좋아하고, 다른 사람의 마음에 상처를 입히고 해코지하는 것을 좋아한다. 다른 사람이 잘 되는 것을 보면 이에 오히려 성질을 내고, 질투하는 마음이 있으면서 인정이 없다.”



날 것


야생마는 길들이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사람이 타고 부릴 수가 없다. 그리고 사람을 가르치는 가정이나 사회의 교육도, ‘날 것’인 사람을 사회에 어울리도록 길들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통천」에 묘사된 사람들을 보면 훈육되지 않은 날 것 그대로의 사람이 보이는 것 같다. 그러니 더 생생하다.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는’ 사람은 수양체질이다. 아주 오래전에 실제로 그런 행동을 했던 수양체질 한 사람에게서 이 속담은 유래했을 것이다. 이처럼 ‘다른 사람이 잘 되는 것을 보면 이에 오히려 성질을 내고 질투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 바로 소음지인이고 사상인으로는 소음인이다. 소음인은 8체질에서 수양체질(水陽體質)과 수음체질(水陰體質)로 나뉜다. 두 체질을 구분하는 요소 중에 하나로 너그러움(寬)이 있다. 두 체질을 비교한다면 수음체질이 상대적으로 너그러울 수 있으니, ‘사촌의 땅 소식에 배가 아파지는 사람’은 수양체질에 가장 가까울 것이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