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42. 삶과 임무

 

LGJ 0042-main.jpg




삶이란 공부(功扶)이다. 물론 세상을 향한 공부이겠지만 결국에는 나를 아는 일(知己)이다. 나를 아는 것으로부터 다른 개체를 향한 앎(知人)으로 나아갈 수 있다.


삶은 혼자서 가는 길(道)이다. 그래서 삶을 통해서 배우고 깨달은 것을 도(道)라고 한다. 모든 생명체는 각자의 길(道)이 있다. 삶이란 나의 도(道)를 세상에 남기는 일이며, 그런 것들이 모여서 역사를 이룬다. 생명체가 존재하는 이유이다.




삶은 도(道)이다. 그 길을 따라가면서 배운다. 어차피 삶은 혼자서 가는 길이니 내가 경험하여 쌓은 판단과 믿음, 개념을 남에게 강요할 수는 없다. 그에게는 그의 도(道)가 있다. 누구는 0을 믿고, 누구는 4를 5를 8을 16을 64를 주장한다. 삶에서 누가 정답을 지녔는지 결정할 판정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툴 필요도 없다.


남은 내가 나를 생각하는 것만큼 나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그도 자신에 대해 신경 쓰느라 나를 생각해 줄 여유가 없다. 그러니 남의 생각과 남의 반응에 휘둘리지 말고 내 생각대로 헤쳐 나가야 한다. 삶은 결국 혼자 걷는 길이다.



외길


삶은 외길 (Only One Path)이다. 이것이 삶의 핵심이다. 다른 길, 다른 선택, 다른 기회란 없다.


당신의 뒤를 돌아보라. 누구든지 밟고 지나온 길은 오로지 한 길이다. 그렇게 과거는 고정되어 있다. 어떤 날로 다시 돌아가서 다른 길 다른 선택을 할 수는 없다. 과거가 고정되어 있듯이 우리의 미래 또한 고정되어 있다. 그것이 운(運)이다. 당신이 살면서 통과해야 할 길이다. 그리고 그 끝에 죽음이 있다.


내가 오늘 선택하거나 결정하지 않아도 나의 내일은 온다. 오늘 정하지 못했다고 괜스레 마음 졸일 필요는 없다. 내일이 온다.


LGJ 0042-img-01.jpg



인연


모든 생명체는 저마다의 운(運)에 따라서 산다. 생명체의 운이 서로 만나면서 엮이는 것이 인연(因緣)이다. 인연이 모이면 역사가 된다.



생명의 근원


생명체는 자기의 근원에 대해서 알지 못한다. 혹 어떤 이가 “자신의 근원에 대해서 안다.”고 한다면 그건 짐작이요 추측일 뿐이다. 체질이란 것도 그렇다. 사람에게 체질이 생긴 원리는 사람이 스스로 알 수는 없다. 그저 상상만 할 뿐이다. 어느 누가 확실하게 안다고 우긴다면 그건 오만한 것이고 억지이다. 동무 공은 〈수세보원〉의 「사단론」에서 “천품으로 이미 정해진 것은 진실로 가히 논할 바가 없다(天稟之已定固無可論).”고 했다.



목숨과 불


목숨이란 고개를 쳐드는 힘이다. 동물은 숨을 더 편히 쉬기 위해서 고개를 가누게 되고, 식물은 태양을 향해서 떡잎을 일으켜 세우는 것이다.


체질론에서는 생명을 불이라고 했다. 불은 빛(光)과 뜨거움(熱)과 힘(力)의 3요소(火三現)를 모두 가지고 있고, 이것은 생명체가 나타내는 속성이기도 하다.



평등


아메바에서 인간까지 모든 생명이 있는 것들은 생명 자체로 평등하다. 저마다 유일하다는 평등이다. 그런데 아이러니 (irony) 하게도 삶은 죽음을 향해 가는 길이다. 이 세상에서 단정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한 가지는 모든 생명체는 정해진 수명이 있다는 사실이다.


동무 공은 “세상에 공평한 이치는 목숨(公道世間有壽命)”이라고 했다. 모든 생명체는 반드시 죽는다. 예수도 석가모니도 공자도 마호메드도 진시황도 나폴레옹도 칭기즈칸도 소크라테스도 다빈치도 스티브 잡스도 모두 죽었다. 모든 생명체는 죽음 앞에서 평등하다. 자연의 질서이다.



삶의 의미


생명체가 세상에 온 이유는 당연하지만, 자신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서이다. 첫째는 후손을 남기는 것이며, 다음은 자기의 목소리를 남기는 것이다. 후손을 남기는 것이 제1 임무이고, 자기의 목소리를 남기는 것이 제2 임무이다. 물론 생명체가 가진 이런 임무가 개별 생명체에게서 모두 온전히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제2의 임무가 무엇인지조차도 알지 못한 채 삶을 마치는 생명들이 대부분인 것 같기도 하다.



제1 임무


연어는 상류로 거슬러 올라와 알을 낳고 정액을 뿌리고 죽는다. 가시고기 수컷은 부화한 새끼를 위해 제 살점을 먹인다. 사마귀 수컷은 교미 후에 암컷에게 먹힌다. 수벌은 여왕벌과의 결혼비행에서 생식기가 끊어져 죽는다. 매미는 땅속에서 오랜 애벌레 기간을 견디고 나무 위로 올라와 몇 주간 짝짓기를 하고 죽는다.


인류를 제외하고 생물은 종족 보전이라는 본능에 따라 살아가고, 천적에 먹히거나 사고를 당하거나 굶어 죽지 않는다면 본능으로 정해진 제1의 임무를 다하고 죽는다.


인간에게는 본능에 더하여 자유의지가 있는데, 식욕이나 색욕 등 본능과 연장된 쾌락에 몰두하는 사람은, 인간으로서 삶의 의미를 고민하고 궁리할 여유도 필요도 없을 것이다. 본능을 넘어설 수 있는 사람에게만 또 다른 삶의 의미가 뚜렷하게 다가온다.



제2 임무


제1 임무에 더하여 사람에게는 제2 임무가 더 있다. 나는 무엇을 하러 태어났는가. 자기의 목소리를 세상에 남기기 위해서이다.


내가 체질론을 공부하면서 얻은 깨달음의 핵심은 “사람은 자기가 가장 잘하는 바를 하면서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을 통해서 그 만의 도(道)가 생기고, 말과 글과 몸짓을 통해서 그것을 외침으로써 그의 목소리를 세상에 남기는 것이다.


음악가는 연주를, 화가는 그림을, 작가는 글을, 기술자는 기계를, 법률가는 판단을, 발명가는 창의를, 회계사는 수지를, 사업가는 경영을, 몽상가는 상상을, 철학자는 인생을, 탐험가는 도전을, 경기인은 나이스 플레이를, 학자는 연구를, 방송인은 오락을, 요리사는 맛을, 마술사는 빠른 손을, 종교인은 반성을, 활동가는 정성을, 교섭가는 침착을.


자기의 재능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일과 분야에 몰두하는 것이 삶의 제2 임무이다. 그런 재능은 체질로부터 나온다. 체질 속에 삶의 제2 임무에 대한 단서가 들어 있는 것이다. 그의 재능과 그의 일이 제대로 맞았을 때 당사자에게는 성과와 보람, 희열이 있고 그와 인연을 맺은 다른 사람에게는 편의와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설혹 당대에 대중이 알아보거나 알아주지 못할 수는 있다. 빈센트 반 고흐처럼 말이다.



아이러니


생명체는 다른 생명체에게 이 세계의 다양함을 보여주기 위해서 존재하는 듯하다. 태어나자마자 죽는 아이도, 요절하는 사람도, 스스로 생명을 끊는 사람도, 철면피를 가진 지독한 악인도, 큰 죄를 짓고도 떵떵거리고 잘 사는 사람도, 깊은 아픔을 오래도록 품고 버티는 사람도, 고통 속에서 언제나 그저 허허 웃는 사람도 있다. 세상을 움직이는 유일한 법칙은 아이러니인지도 모르겠다.



악인과 성자


왜 지독한 악인이 세상에 존재하는가. 그것은 악인의 존재가 故 이태석 신부 같은 이의 삶을 더 도드라져 보이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그렇다. 그는 동시대에 내가 아는 유일한 성자(聖者)이다.



삶의 미션


사람이 할 일을 어쩌면 평균적인 사람보다 더 잘 수행하는 챗GPT 같은 AI가 등장했고, 첨단 물류센터에서는 로봇이 물품을 찾고 나른다. 이런 시대에, 문명과 단절된 삶을 유지하는 아마존 정글 원시 부족의 일원으로 태어나는 사람이 있다. 과연 그의 삶의 미션 (mission)은 무엇일까? 세상을 향해 삶의 다양성에 대해 증명해 주는 것일까?


체질이 다르고 동일한 체질 내에서도 다양성이 존재하듯이 사람은 저마다 다른 삶의 미션을 가지고 태어난다. 그런데 자기의 미션을 알거나 깨닫지 못하고 삶을 마치는 사람들도 아주 많을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삶을 통해서 자신의 미션을 깨닫고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은 아주 드물다는 뜻이다. 희소성(稀少性)이란 이런 의미로 쓸 때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동무 이제마 공은 삶의 미션을, 몸을 통해서 얻는 자업(資業)과 마음을 통해서 깨닫는 혜각(慧覺)으로 나누었다. 자업은 도(道)이고 혜각은 덕(德)인데 혜각은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다고 했다. 동호 권도원 선생은 체질을 아는 것으로부터 천명을 알 수 있다(知體質而知天命)고 했다.



일회성


애석한 판단이지만 생명은 재활용되지 않는다. 생명이 끝나면 마음과 몸이 지녔던 나 (ego)란 아이덴티티 (identity)는 소멸한다. 모든 생물에게서 생명이란 일회성이다. 그래서 나는 사후의 천국도 내세도 환생도 윤회도 믿지 않는다. 내 운(運)이 종료된 이후의 일을 어쩔 것인가?


이것은 믿음의 문제이다. 종교인은 자신이 속한 종교의 교리를 믿을 것이다. 나는 ‘내가 받은 지금 이 생명’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생명 이후’는 알 수 없다. 권도원 선생은 기독교적인 창조론과 종말론을 바탕에 두고 논문 「화리(火理)」를 집필했다. 이 ‘불(火)의 이론’이 8체질론의 기본 원리이다. 그런데 오히려 나는 체질론을 공부하다가 ‘생명이란 일회성’이란 생각과 믿음이 더 확고해졌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