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정보교류센터

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내 아이의 눈이 위험하다 오이시 히로토, NHK스페셜 취재팀 (지은이), 장수현 (옮긴이) 시크릿하우스 | 2022-03-23 근시를 예방하는 눈 생활습관 개선법부터 아이 눈에 맞는 안경과 렌즈를 고르는 법, 최신 근시 치료법까지 세계적인 안과 전문의들의 연구와 개선 사례를 통해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책에는 TV 방송분에서는 미처 담지 못했던 해설과 취재 결과를 대폭 추가하였으며, 최신의 연...

  • 8초 만에 통증 리셋 문교훈(문쌤) (지은이) 다산라이프 | 2022-03-21 통증은 분명 그 시작점이 존재한다. 굳은 어깨 근육은 가슴 근육과 맞닿아있다. 어깨가 아닌 가슴 근육의 뭉침을 풀어야 어깨의 결림을 없앨 수 있다. 거북목 증후군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다. 심한 경우 어깨와 등까지 통증이 번지는데 이 역시 마찬가지다. 목 뒤쪽 근육이 ...

  • 우리 산 우리 산나물 오현식 (지은이) 소동 | 2022-03-18 몸과 정신 건강에 좋고 우리 산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산나물 60가지’를 현장의 사진과 함께 이야기한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발로 걸으며 땀으로 쓴 글과 사진이다. 저자는 그 산에서 산나물을 찾게 된 과정을 생생하게 이야기하며 자신의 경...

  • 한국의 산약초 300 - 질병별로 분류한 우리나라 산약초 도감 제갈영, 손정호 (지은이) 이비락 | 2022-03-16 질병별 효능으로 분류한 우리나라 산약초 도감.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거나 자라는 산약초 300여 종을 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사진을 포함하여 특성을 정리하였다. 특히 일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들을 선별하여 그에 대응한 대표적 효능과 부가 효능을 나열하였고 우리나...

  • 바이러스를 이기는 영양과 음식 김경철, 김해영 (지은이) 사람의집 | 2022-03-15 코로나19 발생 초기에 집필한 전문의가 처방하는 바이러스를 이기는 영양제를 증보하여, 그사이에 나온 코로나19와 관련하여 검증된 영양제와 그 연구를 소개하고 독자들에게 더욱 안전한 면역 강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근거 중심의 영양 치료에 앞장서는 가정의학 전문의들이 ...

  • 커피와 건강에 관한 모든 것 강희남 (지은이) 부크크(bookk) | 2022-03-15 다이어트, 운동과 같은 일상적인 커피 관련 질문에서부터 우울증, 고혈압, 갑상선 등 다소 전문적인 질문, 그리고 반려동물 인구 1천만 시대의 변화된 생활 모습이 반영된 해프닝 성 질문도 심심찮게 올라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질문에 대한 대안과 그 ...

  • 우리, 아프지는 말고 출근합시다 청든남(청진기 든 남자들) (지은이) 미래의창 | 2022-03-14 많은 직장인들이 출근해서 하루 종일 바쁘게 일을 하다 보면 두통부터 손목과 허리 통증, 속 쓰림 등 다양한 증상을 경험한다. 하지만 아플 때마다 병원을 갈 여유도 없고, 늘 피로에 시달리니 제대로 된 정보를 찾기도, 이를 실천하기도 어렵다. 이런 직장인들을 위해 내과,...

  • 소울 러닝 - 길 위의 자유를 달리다 테사 워들리 (지은이), 솝희 (옮긴이) 한문화 | 2022-03-10 짧은 거리를 잠시 뛰려고 집을 나서는 순간에도, 달리다가 너무 지쳐서 모든 것을 포기하고 싶을 때도, 부상의 통증을 무시한 채 달리려 할 때도, 하루의 달리기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차분한 시간에도 내면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다.

  • 모두를 위한 허리 교과서 안병택 (지은이) 블루무스 | 2022-03-07 13년 차 재활 전문 물리치료사의 풍부한 임상 경험과 최신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허리 통증에 관한 근본적인 치료와 관리법을 담았다. 허리 통증의 원인을 분석하고 신체 부위별 기능을 살펴보면서 허리 통증에 적합한 치료법과 재활운동법을 제시한다. 건강 관리의 시작은 몸을 ...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 지식 박상길 (지은이), 정진호 (그림) 반니 | 2022-03-04 인공지능이란 도구가 주어진 시대에, 다양한 사람이 인공지능을 이해하고 자신의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게 돕기 위해 쓰였다. 관련 공부를 해본 적 없는 사람들, 과학•수학이 낯선 문과생까지도 인공지능 기술의 역사와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교양 수준으로 쉽게 풀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