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정보교류센터

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의사가 권하는 노년기 건강관리 (큰글자책) - 개정판 일본개업 의사회 (지은이), 김명호 (옮긴이) 산수야 | 2019-12-20 건강한 노년기를 즐기려는 사람들을 위한 지침서이다. 본문의 글자를 크게 하여 책을 편안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한 맞춤형 도서로, 건강하고 유쾌한 노년기를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해 출간하였다. 노인의 특징, 노인병과 그 대책, 여가활동과 복지시설, 성 문제, 노인간호, 의학...

  • 장수유전자 생존전략 - 당신 안의 장수유전자를 단련하라 쓰보타 가즈오 (지은이), 윤혜림 (옮긴이), 오창규 (감수) 전나무숲 | 2019-12-20 저자 쓰보다 가즈오 박사는 ‘항노화 의학’ 연구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관련 자료들을 독파, 그러던 중 마모설, 세포 내 독소 축적설, 산화적 손상설, 노화유전자설 등 노화와 관련된 다양한 가설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 중에서 눈여겨봐야 할 이론은 ‘노화유전자설’이다....

  • 브레인 푸드 - 당신의 뇌가 원하는 음식은 따로 있다 (원제 : Brain Food: The Surprising Science of Eating for Cognitive Power, 2018년) 리사 모스코니 (지은이), 조윤경 (옮긴이) 홍익출판사 | 2019-12-19 이 책은 우리가 섭취하거나 피해야 할 음식의 구체적인 리스트와, 그 음식의 영양소가 뇌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식습관을 통해 뇌 건강 상태를 가늠할 수 있는 테스트를 소개하고 있으며 최신 신경영양학 연구에 따라 설계된 24가지 레시피를 수록했다. 기억력...

  • 실전! 시력복귀 훈련 - 시력 2.0 도전 양순철, 이광진, 이범수 (지은이) 좋은땅 | 2019-12-19 비수술 시력복귀가 가능한 이유를 1장에서부터 간결하게 설명한다. 이어 다양한 시력저하의 원인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2장에서는 시력복귀에 꼭 필요한 눈과 안경에 대한 기본적 지식에 대해서 소개하고 3장에서는 시력에 관련된 잘못된 지식들에 대해서 알아보며 보는 방법을 알고...

  • 자율신경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 개정판 이세복 (지은이) 성안당 | 2019-12-18 자율신경이란 무엇인지, 자율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어떤 질환이 생기게 되며, 또 그러한 질환을 이겨내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즉 우리 몸을 조절해 주는 자율신경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은 무엇이며, 또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에...

  • 질 좋은 책 -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은 ‘진짜’ 성교육 정수연 (지은이), 정선화 (감수) 위즈덤하우스 | 2019-12-18 학교에서는 못 배웠고, 인터넷 정보는 불안하고, 병원에 묻자니 눈치 보일 때, 여성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이야기에 이 솔직하고 건강하게 답한다. 질염, 생리통 등 어떤 여성이나 궁금해할 법한 건강 문제부터 최근 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HPV 바이러스 감염과 성병, 섹스...

  • 암과 면역치료 - 이제 면역치료의 시대다! 기평석 (지은이) 한국암재활협회(KCRS) | 2019-12-17

  • 암의 일생 - 면역체계에서 본 암의 일생 홍기웅 (지은이) 행림서원 | 2019-12-16 면역세포 치료제를 개발하고 암환자들을 돌보는 과정 중 암환자들과 그리고 그들의 가족들과의 대화로 내가 알게 된 것은 암세포들과 면역체계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잘못 이해하고 있어 허망한 행동을 하는 환자들이 많다는 것이었다. 그런 분들에게 면역체계의 전체의 그림을, 나무가...

  • 뜻하지 않게 오래 살게 된 요즘 사람들에게 - 동네 한의사의 달고도 쓴소리 김형찬 (지은이) 숨쉬는책공장 | 2019-12-09 저자는 제대로 건강을 다지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가 조상 대대로 이어져온 몸으로 달라진 현대 사회에 살고 있다는 점을 우선 인지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흔히 유전적 요인이라 불리는 요소나 운에 내 몸과 건강을 맡기기보다 좋은 선택을 하며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 암 극복을 위한 미네랄 이야기 박용우 (지은이) 한국암재활협회(KCRS) | 2019-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