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정보교류센터

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한의원 사용 설명서 양동훈, 박상민, 이민경 (지은이) 한국경제신문i | 2022-06-17 예전에 한의학은 진맥과 보약이라는 신비한 이미지로 포장되어 있었다. 하지만 현대 한의학은 근거 중심의 진료, 치료의학으로 새롭게 변모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그동안 저자들의 경험과 케이스를 모아, 실제로 한의원에서 병의 원인을 진단하고 치료되는 과정을 소개하고 한의원을...

  • 한눈에 보이는 경혈학 참고서 곽도원, 권지수 (지은이) 생각나눔(기획실크) | 2022-06-16 기본적으로 WHO 표준경혈자리에 대해 담고 있지만, 그 외에 참고할 만한 다른 내용도 넣었습니다. 1장 중에 의 내용을 덧붙인 것은, WHO의 혈자리가 과거 우리나라에서 쓰던 혈자리와 위치가 다른 곳이 있어 추가적인 정보를 드리기 위한 점도 있거니와, 간략하나마 에 없...

  • 현대과학적 논문 근거를 갖춘 골절 골다공증 비수술 한약 치료 이야기 황만기 (지은이) 미래터 | 2022-05-30 골절·골다공증 치료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 예비 한의사 및 임상 한의사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현대 과학적 논문 근거를 갖춘 한의학적 골절·골다공증 비수술 치료법 이야기를 담고 있다. 국내외 한의학 분야에서 최근에 발표된 다양한 학술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골절과 골다공...

  • 상한론, 쉽게 읽기 후시수, 풍세륜 (지은이), 김말숙, 박상영 (옮긴이) 수퍼노바(도서출판) | 2022-05-23 상한론의 모든 조문에 대한 주석을 다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애매한 구절이 거의 없도록 주석 처리를 한 것이 큰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본문 전체를 아우르도록 책 앞머리에 이론 부분을 두고 있어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경사증류대관본초 - 원본영인본 唐愼微 (지은이) 한국학자료원 | 2022-05-20 經史證類大觀本草. 이 본초서의 원서는 宋나라 唐愼微가 지은 것으로 1082년에 저술되었으나 곧바로 간행되지 못하고 있다가 1108년에야 비로소 芮省이 수정 增補하여 經史證類大觀本草 라고 이름 붙여 刊行하였다. 이 때 陳承의 別說을 추가하여 간행하였는데, 송나라 徽宗의 ...

  • 얼굴과 몸을 살펴 건강을 안다 - 옛 그림으로 본 동의보감 윤소정 (지은이) 페이퍼로드 | 2022-05-20 옛 그림과 동의보감으로 대표되는 한의학은 어떤 점에서 만나고 있을까? 한의학은 본디 의학이면서 철학이다. 해부학적 구조보다는 실제 우리 몸 안에서의 기능을 더 중시하는 측면이 있다. 동양화도 그림 기법보다는 철학적인 면을 중시하는 측면이 있다. 그리하여 겉모습의 치밀한...

  • 한약재관능검사해설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지은이) 진한엠앤비(진한M&B) | 2022-05-04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 (생약)규격집’에 수재된 한약재의 규정 중 성장, 이물 등의 규정에 따라 형태, 색, 맛, 냄새, 이물, 건조 및 포장 상태 등을 관할하여 그 적부를 판정하는 시험 방법을 수록한 해설서다. 가독성과 시인성 향상을 위해 판본 크기를...

  • 趙紹琴 내과학 자오샤오친 (지은이), 정규석 (옮긴이) 물고기숲 | 2022-04-30 호흡기 질환부터 대사성 질환, 만성 질환 등에 대한 변증, 처방, 치료 사례까지 조소금 선생의 사고 과정을 공부할 수 있는 책이다. 상한에서 다루지 못했던 온병과 습열의 치료 방법과 약재들, 처방, 내과 질환 등을 함께 공부하기 좋다. 변증을 상세하게 분류하였고 상황에...

  • 상한론(傷寒論) D.J.O 동양의철학 연구소 (지은이) 부크크(bookk) | 2022-04-17 기존에 발행된 모든 상한론은 장롱에 유물로 보관하라! 양자역학의 옷을 입은 환상적인 상한론을 보라! 언제까지 고리타분하면서 관념적이고 암호문 같은 상한론을 볼 것인가? 양자역학과 전자 생리학을 기반으로 한 상한론을 보자.

  • 경락학 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지은이) 정담 | 2022-04-11 수년간 전국 한의과대학과 한의전문대학원에서 강의를 담당해온 교수들의 강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고, 특히 경락학 영역에서는 고전 의서를 통한 경락 학설의 전통적 이해와 현대적 임상 응용의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비판적일 수 있는 보조 가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