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정보교류센터

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금침, 10년이 젊어진다 김동원, 조창인, 심시현, 한봉희, 강수만, 계수명, 김천종, 이범한, 하리경 (지은이) 솔트앤씨드 | 2021-03-12 금침이란, 순도 99.99%의 금으로 만들어진 가는 금실을 인체 내에 자입해 지속적인 침 자극을 유도하는 치료다. 금침(금실 매선)은 한의학에서는 퇴행성 관절염, 안구건조증, 치매 등 만성 질환과 안면 리프팅에서 효과를 발휘해 왔다. 2010년대에 들어서 머리카락보다 ...

  • 셰인 박사의 영양 혁명 셰인 엘리슨 (지은이), 안진환 (옮긴이) 동도원 | 2021-03-12 미국의 국민 화학자이자 자연 요법 권위자 셰인 엘리슨 박사가 전 세계 의과학적 실험을 거쳐 입증된 사실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강을 지키고 더 나아가 질병을 예방·치료하는 영양소 섭취의 전략과 방법을 이 책 한 권에 담았다. 미국에서 출간된 이후 아마존 건강 분야의 스...

  • 의사가 들려주고픈 병원의 진짜 이야기 이치하라 신 (지은이), 정나영, 정준양, 이지민 (옮긴이) 군자출판사(교재) | 2021-03-10 의사가 해주는 의료 이야기를 아주 솔직하게 담아내고 있는 의료 에세이다. 같은 내용으로 의료세계에 대하여 사람들이 궁금해했던 것들을 인간적이고 솔직하게 얘기해줌으로써 병원에 갈 때마다 왠지 모르게 불안함을 느꼈던 사람들이 읽고 안심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진료실에서 못다 한 이야기 정선욱 (지은이) 건교출판사 | 2021-03-10 학교와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정형외과 원장이 의료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는 현실에서 빚어지는 부작용을 보며 안타까운 마음으로 쓴 의학 에세이다. 질병은 환자와 의사 간의 충분한 대화가 이루어져야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원활한 진료 일정을 소화해내야 ...

  • 질병으로 알기 쉽게 풀어 쓴 본초학 동의보감 약초사랑 (지은이) 꿈이있는집플러스 | 2021-03-10 약초는 자연에서 얻어지는 식물약재, 동물약재, 광물약재 등을 말하며, 이중 식물약재가 가장 많이 쓰이므로 예부터‘약재는 초草가 본本이다’라는 뜻으로 본초本草라고 하였다. 신농본초경, 본초강목 등의 고서에서 볼 수 있는 본초라는 말은 이미 고대어가 되었고 현재는 한약, ...

  • 코로나19 백신 김현수, 김대중, 허중연 (지은이) 덴스토리(Denstory) | 2021-03-10 코로나19 예방 접종이 드디어 시작됐다. 그러나 백신의 도움 없이는 결코 과거의 일상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된 지금, 여러 가짜 뉴스와 음모론이 사람들을 현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백신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중에서 어떤 것을 취할지는 결국 예방 접종을 받는 본인이 선...

  • 동의보감 한방약초 박종철 (지은이) 푸른행복 | 2021-03-05 우리나라의 의약품 공정서[《대한민국약전》,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록된 약재 중에서 《동의보감》 탕액편에 조선시대에 한글 이름으로 기록된 약재를 찾아 선보이는 책이다. 현재의 약재 이름과 《동의보감》 발간 당시인 조선시대의 한글 약재명이 같은 경우는, ...

  • 바쁜 사람은 단순하게 운동합니다 박정은 (지은이) 웨일북 | 2021-03-05 자기 관리의 목적으로 운동을 하지만, 사실 우리는 생존을 위해 운동해야 한다. 모든 사람이 자기 인생을 적극적으로 살아가길 원하는 박정은 작가는 늘 몸에 관해 공부하고 운동의 중요성을 피력한다. ‘운동을 고민하는 사람’에서 ‘운동하는 사람’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숨은...

  • 더 알고 싶은 의학상식 박창범 (지은이) Mid(엠아이디) | 2021-03-02 은 오랜 기간 대학병원 전문의로 근무하며, 의사로서의 두터운 실무 경험과 연구 경력을 쌓아온 의학 전문가의 내공이 담긴 책이다. 이 책은 언론과 광고, 심지어 동종업계의 의료인들을 통해서도 잘못된 의학정보가 유통되는 현실에 문제를 제기한다. 세간에 퍼져있는 의료 상식을...

  • 한의원의 인류학 김태우 (지은이) 돌베개 | 2021-02-26 이 책은 의료 현장의 생생한 모습과 대화를 교차시키면서, 한의학과 서양의학이 어떻게 몸을 알고 병에 이름 붙이고 아픔을 치유하는지 진단과 의학 용어, 치료 과정을 따라가며 보여준다. 또한 두 의료가 어떻게 존재와 세계를 다르게 이해하는지, 몸과 말과 앎의 연결성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