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

약을 더 이상 쓸 수 없거나 아예 약을 쓸 단계를 넘어 선 환자, 혹은 장기간 약을 써도 몸만 상할 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요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자연의 혜택을 누리려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도 있고 맛도 있게 하겠다는 의도로 - 선택한 식치방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객관적인 논리 제시가 없는 채로 -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藥膳, Curative Food)이다. 필자가 십여 년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Planning of curative food)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한의학)

[경력]
- 현 한국약선연구원 원장
- 현 안문생한의원 원장
- SBS 중국약선여행 전문연사
- MBC 라디오 동의보감 전문연사
- 경원대학교 사회교육원 약선강좌 외래교수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약선학 석사과정 겸임교수
- 원광한의대, 경원한의대, 상지한의대, 동의한의대 외래교수 및 강사(10년)
- 약선설계 관련 앱 개발

[저서]
- 2012 『약선설계학』
- 2012 『약선설계본초』
- 2003 『안문생 약선기』
- 『식의기초연구』
- 약선재료사전(App)
- 이안평가(App)

안문생
안문생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와 맛을 둘 다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논리의 제시는 없었다. 필자가 십여 년간의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다.

프로필 바로가기

약상론의 객관화(3)

 

발설(發泄) : '발설'의 의미는 '배출'이다.

AMS05-01.jpg


이전의 [그림 3]과 같은 뜨거운 폭염기가 지나고 [그림 4]처럼 대기가 ⊖로 떨어지면 극도로 늘어났던 물체들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그곳을 채우고 있었던 부산물들이 열기와 함께 배출이 된다. 그러나 이때의 ⊖는 아직도 왕성한 E의 열에너지가 밀려와 곧 바로 온도를 올리기 때문에 실제로는 아직 완전한 ⊖가 되지 못하고 점점 식어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림 4]에서 P와 E와의 관계를 열역학적으로만 보면, [그림 3]의 경우와 동일하여, P보다 E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열에너지가 E에서 P로 옮겨가게 되어 있다. 그런데 P는 일정한 온도를 지켜야 하므로 지나치게 많아지는 열에너지를 방출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고, 결국 P 내부에 다음과 같은 욕구의 결과물을 조성할거라고 상상할 수 있다.

  

가. 밖으로 빠져 나가도록 발산하려는 욕구가 그 결과물을 조성할 것이다.

나. 입자간격을 넓혀 이완시키려는 욕구가 그 결과물을 조성할 것이다.

다. 내부로 들어오는 에너지로 하여금 다시 외부로 스며나가도록 하려는 욕구가 그 결과물을 조성할 것이다.


한의학 고전에서 맛에 관하여 동양적으로 표현한 구절들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해보면, '가'와 같은 경위로 조성된 물질은 사람의 혀에서 '매운 맛'을 느끼게 되고, '나'는 '단맛', '다'는 '싱거운 맛'을 느끼게 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P와 A의 관계는 매 장마다 설명하듯이 A가 고체가 아닌 기체라는 점, 그리고 이 기체가 끊임없이 P의 내부를 제집처럼 드나들어야 한다는 점, P의 구조가 "고체로 형성된 틀"과 그 사이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생명체의 기능 활동을 하는 "자유입자들의 활동 공간"으로 이루어 졌는데 A는 바로 이 공간에 머물면서 자유입자들과 하나처럼 존재한다는 점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이렇게 결정된 성질이 P의 틀 속에 생성된 물질의 맛과 하나처럼 얽힘으로써 그 본초의 상(象)이 떠오르게 된다.


[그림 4]에서 P의 자유입자들은 자신보다 온도가 낮은 공기 A - 량(凉) - 가 들어올 때 시원한 공기의 수렴하려는 욕구에 의한 모종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적 특성이 상기한 물질적 맛 - 매운 맛, 단맛, 싱거운 맛 - 을 지닌 틀과 하나로 어우러져 '발설'하는 상(象)을 지니게 된다는 것도 이동원 선생이 분류한 4가지 약상 중의 하나에 대한 설명이다.  


통계를 내어 살펴 본 결과 '발설'로 분류되는 식용본초의 19%가 보허(補虛), 15%가 청열(淸熱), 11.3%가 이수(利水)의 용도로 사용되었고, 나머지는 20가지의 각기 다른 효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소개한 4가지가 이동원 선생의 『동원시효방(東垣試效方)』에 기록된 약상 분류이다. 역사적으로 약의 상(象)에 대한 이론은 여러 다른 선인들에 의해서 거론 되었고, 근래도 한국이나 중국의 학자들 사이에 드물게 연구되고 있지만, 이동원 선생은 모든 본초를 맛과 성질의 음양으로 짝을 이룬 경우의 수인 4가지로 나누어 '약상(藥象)'이라고 뚜렷하게 표현함으로써 개념적인 광의의 상(象)보다는 계절의 순환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본체적인 특성을 규명하려 하였다.


현대인들이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스마트폰과 더불어 웃고 울듯이 과거의 선인들은 왼 종일 인터넷도 게임도 없는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 스마트폰과 살다 보니 필자 같이 젊지 않은 사람도 필요에 의해서 약선 앱을 개발했는데 젊은이들의 왕성한 두뇌에서야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럼 그런 왕성한 두뇌들이 과거의 선인들처럼 자연만 보고 자연과만 더불어 놀 때 어떤 욕구가 생기고 그 결과가 무엇이었을까를 상상하면 동양의학의 숨어 있는 의미들이 결코 뜻밖이지 않다. 그리고 느껴진다. 동원 선생의 약상론도 결코 그 분이 혼자 만든 것이 아니다. 그의 스승 장원소의 대를 이은 것이며, 장원소 역시 전을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이며, 이는 원래부터 자연 속에 있는 것을 좀 더 체계적으로 보고 분류하려는 노력에서 생긴 것이다.


만일 우주에 뒤틀림이 없고, 평행선은 영원히 만나지 못한다는 과거 수학 논리가 그대로 적용된다면 우주는 이미 분석되었고 더 이상 논할 가치는 없어졌을 것이다. 일찍이 노자(老子)가 이를 꿰뚫어 보고 알았다는 것을 그의 도덕경(道德經)의 첫마디인,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에서 인간이 정의한 자연현상에 대한 개념이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이처럼 자연에 존재하는 것들은 원래부터 방정식의 연속처럼 설명될 수는 없다. 그래서 한의학처럼 자연관에 기초를 둔 학문의 이론은 대부분 포괄적이고 우회적인 경우가 많다. 자연은 스스로 한시도 쉬지 않는 Feed-back System에 의해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독단의 존재가 아닌 관계에 의한 존재만 허용하기 때문이다. 게놈지도 만으로 인체의 모든 질병을 설명할 수 있게 된다면 독단적 존재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말이 거짓이겠지만 사실이 어떠한가?


동원선생의 약상론도 몇 줄의 포괄적이고 우회적인 표현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 속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풀어서 설명하면 이제까지 필자가 설명한 내용과 비슷하다. 그나마 이렇게라도 그 의미를 풀어서 설명할 수 있었던 것은, "관계에 의한 존재"의 즉, 온톨로지(ontology) 의미를 오랜 기간 되새긴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당시에 필자에게 이 이론은 너무나 반갑고 특별하였다. 만들고 싶었던 집이 있었고 그 집을 만들려면 그 누가 흔들어도 동요하지 않는 기본 논리가 주춧돌이 되어 버텨 주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2001년에 그 집을 설계하여 약상론을 주춧돌 삼아 지어서 9년 동안 수 천 가지의 약선들을 그 집에 넣어 놓고 살펴 보았다. 그리고 2012년에야 선생께서 감쪽같이 숨겨놓았던 기둥들을 보완하여 매우 그럴 듯한 집을 완성하였다.


누군가 어떤 식치방을 효과도 그대로 유지하면서 맛도 있는 약선으로 만들려 할 때, 그 식치방을 이 집안에 가지고 들어오면 조건에 합당한 첨가 재료들을 제시해준다. 그 재료들 중에서 조리사가 조리에 적합한 것들을 선택하여 Recipe를 만들면 그 결과물이 처음의 조건에 적합한지 수치로 나타내서 평가해주는 집이다. 필자는 2012년 11월에 이 집에 대한 것을 『약선설계학』과 『약선설계본초』라는 두 권의 책으로 썼는데, 다음 번 칼럼부터는 이 집의 구조를 설명하고 우리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소개하려 한다.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 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