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 방성혜의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

두 아들을 둔 엄마 한의사 방성혜입니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무척 귀한 일이지만 또한 매우 힘든 일이기도 하지요. <동의보감> 속에는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들을 위한 양육의 지혜가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칼럼을 통해서 그 양육의 지혜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학력]
-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 박사학위 취득 (의사학)

[경력]
- 현 인사랑한의원 원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원 의사학교실 겸임교수
- MBC 창사특별기획드라마 <마의> 한의학 자문

[저서]
- 2017 『조선왕조 건강실록』
- 2016 『아토피, 반드시 나을 수 있다』
- 2015 『용포 속의 비밀, 미치도록 가렵도다』
- 2014 『동의보감 디톡스』
- 2013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
- 2012 『마흔에 읽는 동의보감』
- 2012 『조선, 종기와 사투를 벌이다』
- 2012 『조선 최고의 외과의사 백광현뎐 1, 2』

방성혜
방성혜

두 아들을 둔 엄마 한의사 방성혜입니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무척 귀한 일이지만 또한 매우 힘든 일이기도 하지요. <동의보감> 속에는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들을 위한 양육의 지혜가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칼럼을 통해서 그 양육의 지혜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산만한 아이는 어떻게 키워야 할까?

 
Bang09-01.jpg



얼굴이 화끈거렸던 둘째의 공개 수업


한 번은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작은 아들의 공개 수업에 참석한 적이 있었다. 어엿한 초등학생이 된 아들의 의젓한 모습을 기대하면서 공개 수업에 참석했는데, 웬걸 한 시간 가량 진행된 수업을 지켜보면서 나는 그만 얼굴이 화끈거리는 것을 참을 수가 없는 지경이 되었다.

선생님이 수업 도중 질문을 던지면 아이들은 너도나도 손을 들고 선생님의 선택을 기다린다. 그런데 둘째 녀석은 선생님의 질문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손을 번쩍 들고 “저요, 저요!”를 간절하게 외치는 것이다. 선생님이 뭘 물어보던지 간에 단 한 번도 빼먹지 않고 손을 번쩍 들어 올려 천장을 뚫을 기세로 “저요, 저요!”를 외쳤다. 막상 선생님이 지목을 해서 대답을 할 기회를 주니 “잘 모르겠는데요.”라면서 씩 웃는 것이 아닌가. 교실은 웃음이 빵 터졌고 내 얼굴은 민망함을 이기지 못해 홍당무가 되었다. 그런데도 이 녀석은 전혀 기가 죽지 않고서 수업이 끝날 때까지 계속해서 “저요, 저요!”를 외쳤다. 아무리 간절하게 외친들 선생님이 또 선택해 줄 리는 만무해 보였다. 도대체 선생님의 질문이 뭔지 제대로 듣기나 하고서 손을 드는지 의문스러울 정도였다. 아들 녀석이 어찌 저리 산만한지 심란하기 짝이 없는 마음으로 귀가를 했었던 기억이 있다.

시간이 지나자 작은 아들의 이 정도 산만함은 심각한 편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성격이 좀 산만하구나 싶은 정도라 아니라, 병적으로 과잉의 행동을 보여 치료가 필요한 아이들이 상당수 있었다. 한의원에 자주 다니는 한 엄마가 자신의 아들에 대해 한탄 섞인 하소연을 한 적이 있었다.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자신의 아들이 요즘 흔히들 말하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즉 ADHD 진단을 받았다고 한다. 그 아들은 밤에 게임을 하느라 잠을 늦게 자는데, 못 하게 하면 그렇게 짜증을 내고 심지어는 엄마를 향해 욕을 하거나 때리기도 한다는 것이다. 새벽에야 겨우 잠이 드니 아침에는 늦게 일어나기 일쑤였다. 단 음식과 인스턴트 음식을 너무 좋아하고 식사를 할 때에는 물을 서너 잔씩 벌컥벌컥 마신다고 한다. 성격은 쾌활한 편이나 워낙 짜증이 많아서 자기 뜻대로 안되면 갑자기 큰 소리를 지르거나 집안의 물건을 발로 차거나 집어 던지기도 한다고 한다. 엄마는 자신의 아들을 어떻게 고칠 방법이 없겠냐며 간절한 눈빛으로 물어 보았다.


왕성한 활동력, 넘치는 호기심, 그러나 부족한 참을성


아이들은 기본적으로 양기가 넘친다. 그래서 여기저기 막 뛰어다니는 것이 보통의 건강한 아이들의 정상적인 모습이다. 그런데 이 양기가 지나쳐서 산만함이 극에 달하면 병적으로 뛰어다니는 경우들이 있다. 한 곳에 가만히 앉아있지를 못하고 한 가지에 오래 집중하지를 못한다. 심지어는 수업 시간에 교실을 막 돌아다니기도 한다. 요즘 흔히들 말하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가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예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산만함이 나쁘기만 한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이런 아이들에게도 분명 장점이 있다. 우선 활동력이 아주 왕성하다. 보통의 아이들이 보여주는 활동력보다 더 왕성하다. 이건 분명 장점이다. 비록 지금은 엄마를 정신없게 하지만, 어른이 되었을 때에는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또한 궁금한 것도 많고 호기심도 넘친다. 호기심이 넘치다 보니 한 가지를 보다가도 금세 또 다른 것으로 관심이 옮겨가는 것이다. 하나를 미처 다 알기도 전에 새로운 것으로 호기심이 쏠린다. 그래서 한 자리에 가만히 앉아 있지를 못하고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듣고 있지를 못한다.

활동력이 왕성하고 호기심이 넘치는 것은 전혀 나무랄 일이 아니다. 오히려 좋은 장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참을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팔다리에 양기는 넘치고 이것저것 궁금한 것은 많은데 참을성이 받쳐주지 못하니 여기저기 쑤시고 다니기만 할 뿐 결실을 맺지 못한다. 그러다보니 중고등학생이 되면 학습 장애가 생기기도 한다. 마음은 열심히 공부하고 싶은데 십 분만 책을 들여다보면 막 가슴에서 열이 끓어오르는 것이다. “우리 애가 머리는 정말 똑똑한데, 공부를 하기만 하면 될 텐데, 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를 못해요.” 엄마가 이렇게 호소하는 아이들이 바로 왕성한 활동력, 넘치는 호기심, 그러나 부족한 참을성을 가진 아이들이다.


폭절시키면 난결하여 선노한다


그저 산만한 성격의 아이라면 그건 그냥 성격일 뿐이다. 하지만 툭하면 화를 내거나, 욕을 하거나, 잠을 자지 않거나, 이상 행동을 보이거나, 단체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이는 치료가 필요한 범주에 속하게 된다. 왜 이렇게 아이에게 과잉 행동 장애와 같은 것이 생기는 것일까? 동의보감의 한 구절을 살펴보자. “황제가 묻기를 ‘병이 들어 화를 잘 내고 마치 미친 것처럼 되는 것은 어째서 생기는 것인가?’ 하였다. 기백이 대답하기를 ‘양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하였다. 황제가 묻기를 ‘양기가 어째서 사람을 미친 것처럼 만드는가?’ 하였다. 기백이 대답하기를 ‘양기가 사납게 꺾이는 것(暴折, 폭절)으로 인하여 마음대로 터지기 어려워져(難決, 난결) 화를 잘 내게(善怒, 선노) 된다.’ 하였다.”

여기서 양기가 사납게 꺾이면 마음대로 터지지 못한다는 말이 중요하다. 양기란 아이들의 본성이다. 뛰어 다니고 돌아다니고 깔깔 웃어대고 마구잡이로 떼를 쓰는 것은 아이들의 거스를 수 없는 본성이다. 그런데 이 양기가 꺾이면, 그것도 사납게 꺾이면 이 양기를 해소시킬 수가 없게 된다. 양기를 발산하는 것이 억압되면 마음대로 터지지 못해 결국 화를 잘 내게 된다는 것이다.

아이들의 자연스런 본성인 이 양기를 ‘폭절(暴折)’시키면 아이가 ‘난결(難決)’하게 된다. 아이의 자연스런 양기가 꺾이면 억눌리게 된다. 억눌린 본성은 분노의 얼굴로 변한다. 그래서 결국 ‘선노(善怒)’의 상태가 된다. 이것이 결국에는 ADHD까지 생기게 되는 이유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 아이의 ADHD를 치료할 때에는 엄마의 양육 방식도 함께 바꾸어야 한다. 이 양기를 사납게 꺾어버리는 사람이 엄마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 십 세의 여자아이가 ADHD로 진단을 받았는데, 어려서부터 유난히 성장과 발육이 느려 엄마가 무척이나 애를 태웠다고 한다. 그러다보니 또래보다 뒤처질까 싶어서 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옆집 아이보다 배로 공부를 시켰다는 것이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로도 성적에 대한 압박을 아이에게 많이 가했다고 한다. 결국 엄마에 의해 사납게 꺾여버린 아이의 양기는 해소될 수가 없어 ADHD라는 기형적인 형태를 만들고 말았다.
동의보감에서는 통제되지 않을 정도의 과잉 행동을 보이는 경우에 지나친 양기를 식혀주기 위한 처방의 한 예로 백호탕(白虎湯)을 제시한다. 이 백호탕의 주된 약재가 석고(石膏)라는 것으로 양기를 식혀주는 효능이 있다. 석고의 색깔이 하얀 색이라 마치 흰색 호랑이와 같다고 하여 백호탕이라고 부른다. 호랑이가 한 번 으르렁대면 미친 듯이 까불던 여우가 깨갱하며 조용해지듯이, 이 흰색의 석고가 몸에서 미친 듯이 끓어오르는 양기를 조용하게 식혀주는 것이다. 앞서 말한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 모두 이 백호탕을 기본으로 한 처방을 투여하였다.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당장은 아니었지만 아이는 조금씩 차분함을 찾아갔다.


음적이되 양적인 활동으로


그렇다면 엄마는 이 요란하고 산만한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 할까? 양기가 지나친 아이이니 반대로 음적인 활동을 시켜서 참을성과 집중력에 대한 훈련을 시켜줘야 할 것이다. 그래서 책을 읽히거나, 조용한 음악을 듣게 하거나, 가만히 앉아 있게 하는 등의 음적인 활동을 시켜주고 싶다. 하지만 아이가 곧바로 잘 따라줄까? 그러지 않을 확률이 더 높다. 그래서 이럴 때에는 ‘음적이지만 양적인 활동’을 시켜주는 것이 좋다.

책을 읽게 하는데 잔잔한 내용의 책이 아니라 코믹한 내용의 책을 읽게 하는 것이다. 책을 읽는 것은 음적이지만 웃긴 내용을 보고 깔깔대며 웃는 것은 양적이다. TV의 만화영화를 보게 하는데 그저 멍하니 보기만 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들을 보면서 아이도 막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보게 한다. 뭔가를 눈으로 보는 것은 음적이지만 따라서 움직이는 것은 양적이다. 이렇게 음적인 것과 양적인 것이 함께 섞여 있는 활동을 시켜주는 것이 좋다.

중요한 것은 중간에 다른 것으로 관심이 옮겨가지 않도록 짧게 끝나게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책도 되도록 짧은 책을 읽게 해서 끝까지 다 읽었다는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그 짧은 책 한 권도 채 읽지 못하면 엄마와 함께 한 바닥씩 교대로 읽어도 된다.
성장 주기가 빠른 애완동물을 길러볼 수도 있다. 곤충을 키워서 알을 낳고 조금씩 자라는 것을 지켜보게 되면 관찰력과 인내심이 길러질 수 있다. 음식 만들기를 같이 해보아도 된다. 재료를 씻고 자르고 익혀서 완성하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요리를 만들어내는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어떤 활동을 하던지 짧게 끝내되, 그 과정에 아이를 참여시켜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그러면서 차츰 집중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렇게 엄마가 노력해도 아이는 엄마의 애타는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여전히 한시도 가만있지 않고 정신없이 뛰어다닐 수 있다. 이럴 때 야단치면 오히려 역효과이다. “제발 가만히 좀 있어!” 이렇게 소리를 버럭 질러도 안 된다. 그랬다가는 아이는 엄마를 막 때릴 수 있다. “너 엄마한테 혼나 볼래?” 이렇게 또 소리를 버럭 지르면 아이 역시 성질을 못 이겨 엄마를 욕할 수도 있다. 자식이 욕을 하니 엄마도 화가 난다. 그렇다 할지라도 아이를 야단치면 안 된다. 양기는 꺾으면 꺾을수록 억압되기에 나중에는 더 심하게 튀어 오르기 때문이다. 아이 자신도 엄마를 때리고 욕하는 것이 잘못된 것인 줄 다 안다. 다만 아직 어리기에 순간적으로 감정 조절이 안 될 뿐이다. 그러니 아이가 흥분해 있을 시점에는 야단쳐서 꺾으려 하지 말고, 차라리 그냥 내버려 두어라.
하지만 엄마도 사람인데 뜻대로 되지 않는 아이를 키우다보면 홧병이 생길 것 같은 때가 있다. 이럴 때 답답한 엄마의 마음을 달래줄 수 있는 노래를 한곡 추천하겠다. 바로 비틀즈의 ‘Let it be.’란 노래이다. 뜻은 ‘그냥 그대로 두어라.’이다.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Let it be.
Whisper words of wisdom. (폭절시키면 난결하여 선노한다.)
Let it be. Let it be.



© 한의사 방성혜의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