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 방성혜의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

두 아들을 둔 엄마 한의사 방성혜입니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무척 귀한 일이지만 또한 매우 힘든 일이기도 하지요. <동의보감> 속에는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들을 위한 양육의 지혜가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칼럼을 통해서 그 양육의 지혜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학력]
-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석사, 박사학위 취득 (의사학)

[경력]
- 현 인사랑한의원 원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원 의사학교실 겸임교수
- MBC 창사특별기획드라마 <마의> 한의학 자문

[저서]
- 2017 『조선왕조 건강실록』
- 2016 『아토피, 반드시 나을 수 있다』
- 2015 『용포 속의 비밀, 미치도록 가렵도다』
- 2014 『동의보감 디톡스』
- 2013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
- 2012 『마흔에 읽는 동의보감』
- 2012 『조선, 종기와 사투를 벌이다』
- 2012 『조선 최고의 외과의사 백광현뎐 1, 2』

방성혜
방성혜

두 아들을 둔 엄마 한의사 방성혜입니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무척 귀한 일이지만 또한 매우 힘든 일이기도 하지요. <동의보감> 속에는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들을 위한 양육의 지혜가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칼럼을 통해서 그 양육의 지혜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성격이 곧 재능이다

 
talent.jpg

 

다른 성격이 곧 다른 재능이다


아이들은 다른 성격과 다른 기질을 지닌 채 태어난다. 아이들마다 성격이 다 다르기에 재능도 다 다르다. 성격이 다르기에 창조성도 다르다. 이 다른 성격이 곧 그 아이의 타고난 재능이다. 만약 예민한 성격의 아이라면 뛰어난 감각과 풍부한 감성으로 인해 남다른 것을 창조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 화를 잘 내는 아이라면 그 열기와 에너지로 인해 변화를 이끌어낼 능력을 가지고 있다. 겁이 많은 아이라면 그 신중함과 따뜻함으로 인해 사회의 지혜가 될 수 있다. 산만한 아이라면 그 활동력과 호기심으로 인해 새로운 것을 찾아낼 수 있다. 자신감이 없는 아이라면 겸손함과 욕심으로 인해 자신을 발전시킬 동력을 가지고 있다. 내성적인 아이라면 신중함과 사고력을 통해 남들이 해내지 못한 깊은 통찰을 할 수 있다. 질투심이 많은 아이라면 더 높은 곳을 향한 그 갈증으로 인해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다. 그러니 다른 성격은 다른 창조성을 가지며, 이 모든 성격들이 이 사회에 다 필요하다.


문제는 아이마다 타고난 기질이 다른데 이것을 엄마가 혹은 어른들이 규격화시키려고 한다는 것이다. 다른 성격을 아이 고유의 개성이나 재능의 씨앗으로 보지 않고 획일화시키려고 한다. 유별난 것을 문제 삼거나 혹은 키우기 쉬운 아이로 만들려고 한다. 어른의 잣대로 아이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 아이 역시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이다.


사람이 가진 뇌세포의 능력은 무한하다. 그런데 사람이 죽을 때까지 실제로 사용하는 능력은 뇌세포의 20% 정도뿐이라고 한다. 결국 한 사람이 발휘할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가진 뇌세포의 50%, 아니 30%만 활용하여도 지금 세상이 달라져 있을 수도 있다.


혹시 우리 아이들의 재능도 이런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가 든다. 아이들이 가진 능력과 창조성은 무궁무진할 텐데 혹시나 어른들의 잣대에 갇혀서 그 능력을, 그 재능을, 그 창조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이건 나쁜 성격이니까 고쳐, 이건 안 좋은 성격이니까 바꿔, 이런 꾸지람을 듣고서 자란다면 아이가 가진 창조성의 날개는 분명 처참하게 꺾여 버리고 말 것이다.


누구나 주인공이 될 자격이 있다


어른들이 아이들의 성격을 획일화시키려고 하는 이유는 아마도 사회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성격은 딱 한 가지뿐이라고 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차분하고 온순해서 키우기 편하고, 암기 능력이 뛰어나 높은 시험 성적을 낼 수 있는 성격의 아이만이 사회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인 것 같다. 그래서 아이의 각기 다른 성격을 인정하지 못하고 어른이 원하는 성격으로 만들고 싶어 하는 것 같다.


그런데 사회의 주인공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모두가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다. 다만, 그 성격과 재능에 맞는 자리에 앉아야 훌륭한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질병을 치료할 때를 예로 들어보자. 어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처방을 투여할 때에는 단 한 가지 약재를 쓰기 보다는 여러 가지의 약재를 함께 어우러지게 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이 여러 약재들을 모두 동일한 용량과 비중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주인공이 되는 약재와 보조해 주는 약재를 구분하여 쓴다. 이렇게 주인공이 되는 약재를 임금 군(君) 자를 써서 군약(君藥)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보조해 주는 약재를 신하 신(臣) 자와 심부름 사(使) 자를 써서 신약(臣藥)과 사약(使藥)이라고 부른다. “병을 주로 치료하는 약이 군약이고, 군약을 보좌하는 약이 신약이며, 신약에 복종하는 약이 사약이다. 모두 서로 도와야 좋은 처방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 군약이 되는 약재는 획일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 질병에 따라 처방이 달라지고 처방에 따라 군약이 달라진다. 맞서 싸워야 할 질병에 따라 주인공 약재가 달라지는 것이다. “가령 풍(風)으로 인한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방풍이란 약을 군약으로 하고, 습(濕)으로 인한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방기란 약을 군약으로 하며, 한(寒)으로 인한 병을 치료할 때에는 부자라는 약을 군약으로 한다.” 이렇게 맞서 싸워야 할 질병에 따라 주인공 약재는 달라진다.


그러니 방풍이란 약재는 풍(風)을 치료하는 처방에 앉게 되면 주인공이 되어 가장 중요한 일을 해낼 수 있다. 하지만 한(寒)을 치료하는 처방에 앉게 되면 주인공이 될 수는 없다. 그러니 방풍이 뛰어난 주인공이 되고 싶다면 풍(風)을 치료하는 처방에 앉아서 가장 방풍다운 성질을 마음껏 발휘하면 된다. 방풍이 한(寒)을 치료하는 처방에 억지로 끼어들어 아무리 부자라는 약재를 닮으려고 해봤자 뛰어난 주인공이 될 수는 없다.


우리 아이들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이 사회는 섬세한 성격이 필요한 자리가 있고 온화한 성격이 필요한 자리가 있다. 외향적인 사람이라야 그 일을 잘 해낼 수 있는 자리가 있고 내성적인 사람이라야 그 일을 뛰어나게 처리할 수 있는 자리가 있다. 만약 방풍의 성질을 갖춘 아이를, 부모가 원한다고 하여 한(寒)을 치료하는 처방에 억지로 앉힌 후에 주인공을 하라고 재촉한다면, 그 방풍은 주인공은커녕 시름시름 병들어 버리고 말 것이다. 하지만 아이의 다른 성격을 인정하고 그에 맞는 자리를 찾아준다면, 아이는 세상 누구보다 더 훌륭하게 주인공의 일을 잘 해낼 것이다. 이런 사람이 바로 이 사회의 진짜 주인공이다.


 

Bang10-02.jpg

 


병이 될까, 별이 될까?


아이들의 ‘다른’ 성격을 ‘틀린’ 것이라 규정하고 아이를 야단치고 억압하고 단시간에 바꾸려고 한다면 여러 부작용이 생긴다. 우선 아이의 재능이 발휘될 기회를 놓쳐 버릴 수 있다. 아이는 무한한 창조성과 잠재성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런데 어른의 시각으로 야단치고 눌러 버리면 그 창조성과 잠재적인 능력 역시 억눌러져 버릴 것이다. 또한 아이에게 병이 생길 수도 있다. 성격이 극단에 있다는 것은 그 남다른 능력 또한 극단에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성격이 옆집 아이와 너무나 다르다고 하여 틀린 것이라 야단치고 억눌러 버리면 아이는 그만 몸과 마음의 병이 생겨 버릴 수도 있다.


엄마가 해 줄 일은 그 다른 성격을 뿌리째 바꿔버리는 것이 아니다. 그 남다른 성격 때문에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갈 때에 혹시라도 문제가 생기지 않을 정도로만 잡아주면 된다. 어린 나무가 자라날 때에 혹시라도 옆의 나무를 찔러 피해를 입히지는 않도록 가지만 살짝 쳐주면 되는 것이다. 나무의 뿌리를 뽑거나 기둥을 휘게 만들지는 말아야 한다.


남다른 성격이 남다른 능력이 되도록 잘 가꿔 준다면 그 아이는 자신의 창조성의 날개를 훨훨 펼칠 것이다. 내가 첫 임신 중에 태교를 위해서 온갖 위인전기를 섭렵했던 적이 있었다. 그때 느낀 하나의 공통점이 있었다. 위인 스스로가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피나는 노력을 한 것도 물론 있었지만, 그 남다른 능력이 묻히지 않고 발휘될 수 있도록 도와준 조력자가 반드시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조력자는 대부분 엄마였다. 아빠나 친척이 조력자의 역할을 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엄마가 남다르고 별난 아이를 이해하고 이끌어줬던 것이다. 세상을 바꾼 위인이 되어 죽은 후에도 그 이름이 반짝반짝 빛나는 별이 되도록 만든 사람은 대부분 그 엄마였다는 것이다. 세계 위인전기에 이름을 남길 정도의 인물이라면 어렸을 적에는 얼마나 남다르고 유별났을까? 그런 아이를 잘 키워서 위인의 반열에 올린 엄마가 나는 위인보다도 더욱 위대하다고 본다.



© 한의사 방성혜의 엄마가 읽는 동의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