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09. 체질식

 

LGJ 0009-main.jpg



3,000배


가야산 호랑이라 불린 성철(性徹, 1912~1993) 스님이 입적하기 전 해인사 백련암에 계실 때, 스님을 만나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먼저 절돈 3,000원을 내고 오라.”고 했단다. 해인사 대웅전에서 3,000배를 올리고 오라는 뜻이었다. 이 이야기를 듣고서 108배도 어려운데 3,000배라니 과연 어떤 의미일까 혼자 생각해 보았다.


먼저, 그 정도로 정성을 쏟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아주 절박한 고민이 있을 것이다. 그러니 만나준다. 다음으로, 그 정도로 정성을 쏟는 사람이라면 우선 자신을 낮추는 자세가 되어 있다. 그러니 만나준다. 또 하나, 몸과 마음을 집중해서 3,000배를 하다 보면 자신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스스로 찾게 된다. 큰스님 뵐 필요가 없다.


8체질의학에서 체질식이란 성철 스님의 3,000배 권고와 비슷하다. 먼저, 질병의 고통에서 탈출하고 싶은 절실한 마음을 품은 사람에게 우선으로 필요하다. 다음, 욕심을 버리고 정성을 기울여서 절제하는 삶으로 자신의 생활 태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그렇게 충실하게 열심히 체질식에 전념하면 어느 순간 자기 몸이 건강한 상태로 변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의사를 만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체질섭생


섭생이란 건강관리를 잘하여 병에 걸리지 않고 오래 살기를 꾀하는 일이다. 체질식은 체질별로 분류된 유익한 음식과 해로운 음식에 따라 해로운 음식은 가리고 유익한 방향으로 식생활을 하는 것이다. 체질섭생이란 체질식이라 불리는 체질영양법에 생활과 환경 속에서 주의하거나 실천해야 할 사항들을 추가한 것이다. 음식뿐만 아니라 사람의 삶에 있어서 취미, 운동, 주거환경, 약물, 직업, 배우자, 자녀 등의 요인들도 서로 맞거나 맞지 않는 것이 있다. 이런 모든 관계 속에서 맞지 않고 해로운 인자는 우리 몸에 과도한 불균형을 유발하게 되고 질병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8체질론에 따라 진료하는 곳에서는 환자의 체질을 감별한 후에 체질섭생표를 준다. 각 체질의 체질섭생표에는 기본적으로 먹어서 해가 되는 음식과 먹어서 유익한 음식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리고 추가로 실천해야 할 권장 사항들이 들어 있다.



먹기 천국


양파가 풍년이 들면 양파즙이 유행한다. 밭을 통째로 갈아엎으려니 너무 화나고 슬프고 아까워서 탕제원의 솥에 집어넣는다. 양파 재배 농민의 지인들이 영업 요원이 된다. 방송 프로그램에 나오는 패널들도 가세한다. 그렇게 유행이 한차례 지나간다. 우리 한반도에서는 이렇게 먹을 것과 관련한 유행이 잦다. 장사치들의 상술도 한몫 거든다. 쇳가루가 섞였든지 어쨌든지 비싼 놈은 비싼 대로 싼 것은 싼 맛에 사람들의 목구멍으로 들어간다. 음식도 그렇고 약도 그렇고 보양식, 건강식품, 정력제도 줄기차게 먹어댄다. 한반도는 단연 먹기 천국이다.


체질이 궁금해서 찾아오는 사람들도 그렇다. 자기의 체질을 안 후에 무엇을 더 먹고살아야 하는지가 궁금하지, 먹지 말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예 관심이 없거나 짐짓 무시하려고 든다. 체질식의 근본원리는 자기 절제이다. 즉 권장보다는 금지(禁止)가 기본이다. 우리 한민족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람들이 음식에 대한 절제력이 몹시 약하다. 먹고 싶은 욕구가 강해서, 반대로 먹지 말아야 할 것을 실천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것이 체질의학 임상의가 진료실에서 매일 부딪히는 현실이다.



「62 논문」


해로운 음식과 이로운 음식을 나누고 거기에 해당하는 체질에게 생활 속에서 주의해야 할 섭생법을 지정해서 환자들에게 알려준 것은, 권도원 선생이 세계에서 최초라고 학계에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권도원 선생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적극적으로 그렇게 주장하였다. 반면에 사상의학의 출발에서는 그런 자료가 없었다는 것이다.


권도원 선생이 1962년 9월 7일에 탈고한 체질침 논문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온다.


1_case 1.JPG

2_case 5.JPG

「The Constitutional Acupuncture」 1962년


아쉽게도 이 논문이 작성되던 시기에 환자에게 음식 지도를 한 실제 자료는 남아있지 않다. 그러다가 염태환 선생이 1967년에 펴낸 『동의사상처방집(東醫四象處方集)』에 권도원 선생의 자료를 실어놓은 것이 인쇄된 자료로는 가장 앞선 것이다. 이 중에 Saturna Ⅱ 부분을 보자.


LGJ 0009-img-02.jpg

염태환 『동의사상처방집』 1967년 p.13


당신의 조급한 성품은 건강에 크게 영향합니다. 만사에 한발 후퇴하여 한번 생각하여 보고 행동하는 여유 있는 성품이 요구됩니다. 술은 당신에게 해가 많습니다.


· 먹으면 해가 되는 음식: 찹쌀, 차조, 닭고기, 노루고기, 개고기, 양젖, 감자, 조기(굴비), 파, 미역, 참깨, 참기름, 겨자, 벌꿀, 사과, 복숭아, 귤, 술


· 먹어서 유익한 음식: 쌀, 보리, 팥, 녹두, 배추, 양배추, 오이, 돼지고기, 쇠고기, 계란, 생굴, 청어, 새우, 오징어, 참외, 감, 배



최린


기미년 독립선언서에 민족대표 33인으로 영광스럽게 이름을 올렸지만 이후 변절하였다는 낙인이 찍혀 반민특위의 포승에 묶이기까지 했던 최린(崔麟)이 있다. 그는 1878년 1월 25일에 함흥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최덕언(崔德彦)이다. 최린은 일제강점기에 보성학교 교장, 천도교 도령, 중추원 참의, 매일신보사 사장 등을 지냈다. 한국전쟁 중에 납북되어 1958년 12월에 평안북도 선천에서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동무 이제마 공은 〈수세보원〉을 고쳐 쓰던 시기에 1898년 함흥에서 동향인 스물한 살의 청년 최린을 만난다. 그리고 병으로 고생하는 최린에게 약 처방을 알려주면서 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섭생법도 함께 일러준다.


LGJ 0009-img-01.jpg

향부자팔물탕 처방전


이것이 함께 적혀 있는 종이에는 향부자팔물탕(香付子八物湯)이라는 제목이 선명하게 눈에 띄는데, 약 처방보다는 약소하지만, 나는 처방의 다음에 적은 두 문장의 내용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금기와 챙겨서 먹어야 할 음식을 알려준 것이다.


LGJ 0009-title-01.jpg

禁忌 喜樂之心 猪 麵 生冷

所喜 鴈 鴙 狗肉 蜜 糖 甘熟之物


금기할 것은 희락지심과 돼지고기, 메밀면, 날 것

즐겨할 것은 기러기고기, 꿩고기, 개고기, 꿀, 단 음식, 익힌 것

                                                                                    Lgj 0009-title-02.jpg


권도원 선생의 섭생법은 자료 자체가 비교적 체계가 있고 꼼꼼하다. 반면에 동무 공이 최린에게 알려준 방법은 비록 소략하지만, 동무 공이 임상에서 식이법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실례로서 치료와 섭생에서 식이법을 중시했다는 증거로는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한다. 시기적으로도 권도원 선생보다 60년이 앞선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권도원 선생의 식이법이 공중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사상인식물류


북한에 남은 〈동무유고, 東武遺稿〉를 량병무와 차광석이 번역하여 보건성에서 펴냈다. 여기에 사상인식물류(四象人食物類)가 있다. 한두정(韓斗正) 선생은 1941년에 『상교현토 동의수세보원』을 발간하면서 보유(補遺)에 이와 거의 같은 자료를 넣은 바 있다. 이 자료들을 중심으로 동무 공 관련 저술에 나오는 음식물을 종합하여 분류한 표가 있다. (정용재 원장의 2011년 논문인 「사상인식이법이 8체질식이법의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을 참고했다.)


동무 이제마의 사상인식이법

LGJ 0009-img-03.jpg


표로 정리하니 종류가 꽤 많다. 이처럼 사상인식물류는 동무 이제마 공에 의해 직접 연구 정리된 사상인식이법으로, 사상인식이법이 동무 공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위에 염태환 선생이 책에 실은 권도원 선생의 자료에 나열된 음식들이 상당 부분 사상인식물류에서 유래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물론 약간, 이로운 것과 해로운 것, 혹은 다른 체질 사이로 출입이 있긴 하지만 말이다.


여기까지의 이어온 글의 진행으로 보면 ‘권도원 선생의 세계 최초’ 주장은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금양체질이 지닌 유아독존 경향과 자과벽(自誇癖) 때문이다. 다만, 권도원 선생은 육식동물과 초식동물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동물계의 법칙에 주목했다. 그래서 태양인인 금양체질과 금음체질은 육식을 일절 금지하고, 태음인인 목양체질과 목음체질에게는 해산물을 제한하는 원칙을 세웠다. 그런 원칙 아래에서 동무 공의 자료를 자신의 판단에 따라 재배치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체질섭생표는 조금씩 변화를 겪었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