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15. 독점병

 

LGJ 0015-main.jpg



『빛과 소금』은 두란노서원에서 펴내는 기독교 계통 월간 잡지인데, 사실은 용산구 이촌동에 있는 온누리교회의 기관지이다. 권도원 선생은 이 교회의 장로로서 잡지 편집진의 요청을 받아, 1994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총 27회에 걸쳐 8체질론과 관련한 글을 연재하였다. 독자층이 기독교인으로 한정되어 있는 셈이었지만 권도원 선생이 대중을 위해 직접 쓴 글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그리고 이후에 『8체질건강법』 등 8체질론과 관련한 저작들 다수는 이 기고문의 내용을 원용하였다.


LGJ 0015-img-01.jpg

* 1999년에는 잡지의 제호가 『소금과 빛』이었다.



체질을 알려주는 병들


1995년 7월에 나온 『빛과 소금』 124호에 「체질을 알려주는 병들」이 실렸다. 권도원 선생은 이렇게 썼다. “8체질은 드물게 한 체질만이 독점하는 병이 있어 그것을 보고 그 체질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다.” 한 체질만이 독점하는 병이라니 너무 강렬하지 않은가. 그렇게 쓴 후에 금양체질로 시작하여 각 체질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그 첫째가 피부병 중에 불치병으로 알려진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이라고 하는 것으로 다른 체질에는 없고 다만 금양체질 (Pulmotonia)에만 있는 병이다. 금양체질도 누구나가 다 걸리는 것이 아니고 어려서부터 육식을 좋아하는 사람만이 걸리는 병이다. 따라서 그 병을 고치는 방법은 현재로는 없으며 (물론 8체질론적으로는 치료법이 연구되었다) 다만 육식을 완전히 끊음으로만 고쳐진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는 사람은 자기가 금양체질이라는 자가 판별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사람은 체질맥진을 통해서 체질감별을 받을 필요도 없이 금양체질이라는 것이다. 아이고 이거 뭐 8체질 감별 너무 쉽지 않은가. 체질맥진은 필요도 없고 병만 보면 되는 게 아닌가. 이어서 다른 체질에도 독점병이 있다고 설명했다.


육식을 과하게 했거나 녹용이 든 한약을 먹었거나 갑작스럽고 심하게 화를 낸 금음체질 (Colonotonia)에서는 진행성 근위축증 (progressive muscular atrophy)의 한 형(型)이 생기고, 종종 위가 늘어져서 방광의 위치에까지 내려와 있는 위하수 (Gastroptosis)는 수음체질 (Vesicotonia)에서 볼 수 있다고 했다. 결혼 후 3년이 지나도록 별다른 이상은 없는데 임신이 안 되는 불임증 (sterility)을 종종 보는데 이것은 토양체질 (Pancreotonia)의 경우에 해당된다면서, 토양체질은 누구나 다 그렇다는 것이 아니며 불임자를 볼 때 그 대부분이 토양체질이라는 것이다. 또 백납 (Vitiligo Vulgaris)도 다른 체질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고 했다. 이어서 페니실린 중독 (Penicillin shock)은 토음체질 (Gastrotonia)의 경우라는 것이다.


목양체질 (Hepatonia)은 대개가 본태성 고혈압의 소유자인데, 채식과 생선을 먹고 육식을 멀리할 때 피곤증과 함께 환청에다 피해망상과 과대망상을 겸한 환각증 (hallucinosis)이 나타나게 된다고 경고하였다. 목음체질 (Cholecystonia)은 소화에 큰 지장은 없으면서 하루에 몇 번씩 배변을 해야 하고 항상 배꼽 주위가 아프다고 호소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육식 위주의 식생활을 하면 불편감이 해소된다고 하였다. 위에 열거한 일곱 체질의 경우는 질병이고 불편함이다.


수양체질 (Renotonia)의 경우는 좀 다르다. 이 체질은 오랜 기간 대변을 보지 않아도 별다른 불편이 없는 상습성 변비 (habitual constipation)가 있다고 했다. 이것은 질병은 아니고 수양체질에게는 지극히 정상적인 상태라고 했다.



독점병에 의한 오해


8체질의 독점병 개념은 대중에게도 8체질의학 입문자에게도 필요 없는 오해를 유발했다. 결론적으로 말한다. 어떤 한 체질에게만 고정되는 질병이란 없다. 권도원 선생이 밝힌 독점병이란 개념은 해당하는 체질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는 정도로만 이해하는 것이 옳다. 그러니 체질맥진에 의한 감별 없이 어떤 특정한 질병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그 체질이라고 믿는 것 또한 옳지 못한 행동이다.


백납은 각 체질의 내장 구조에서 신장이 약한 쪽에 있는 체질, 즉 토양체질 토음체질 금양체질 목음체질에서 다 발생할 수 있다. 아주 심각한 아토피성 피부염이 금음체질에도 토음체질에서도 발견된다. 그리고 피해망상과 과대망상 환각증은 조현병 (schizophrenia)의 대표적인 증상들이기도 하다.


권도원 선생의 기고문을 보고, 자신은 하루에도 몇 번씩 대변을 본다면서 일방적으로 목음체질이라고 믿어버린 금음체질 환자가 있었다. 특히 금음체질은 건강하다면 수양체질처럼 대변을 자주 볼 이유가 없는데, 육식을 하거나 밀가루 음식, 유제품을 많이 먹으면 배에 가스가 많이 차면서 통증이 생기고 묽은 변을 자주 보게 된다. 또 목음체질이 해산물과 잎채소를 즐겨 먹으면 비슷한 증상이 생긴다. 증상만으로는 두 체질의 상황을 잘 구별할 수가 없다. 다만 목음체질은 평소에도 배에 불편감을 자주 느껴왔으므로, 상대적으로 금음체질보다는 대변이 불편한 증상을 그다지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다.



변비


나는 『빛과 소금』 124호 기고문에서 중요한 대목은, 질병이 아니고 오히려 수양체질의 변비를 말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변비라는 용어는 생리적인 현상을 표현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다. 여기서는 다만 ‘오랜 기간 대변을 보지 않아도 전혀 불편하지 않다.’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그런데 진료실에서 건강한 수양체질을 만나는 것은 흔하지 않다. 그러니 수양체질에 대해서 이런 내용을 알고 있다고 해도, 의사 자신이 건강한 상태의 수양체질이 아닌 이상, 실지로 그런 사람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기회가 별로 없다는 것이다.


박찬욱 감독이 만든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에 이런 장면이 나온다. 배우 이병헌이 분한 이수혁 병장은 비무장지대를 수색하던 중에 갑자기 변의를 느꼈고, 갈대숲에서 대변을 해결하려고 앉았는데 지뢰를 밟고 만다. 이 상황에 대해서 나중에, 배우 김태우가 분한 남성식 일병이 이렇게 표현한다. 소식이 왔을 때 참지 않는 것이 참된 변비 환자의 자세라고 이수혁 병장이 평소에 말했다는 것이다.


이것이 건강한 수양체질의 배변 활동이다. 3일이 되건 5일이 되건 1주일이 되더라도 소식이 없다면 대변을 볼 필요가 없다. 다만 소식이 왔을 때 참지 않고 바로 해결하면 된다. 대변을 정기적으로 언제 보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개념이 필요가 없는 것이다. 건강한 수양체질에게는.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