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시흥 에코센터와 보리굴비 정식

 

JTG 0096-main.jpg



몇 년 동안 여행을 다니면서 가장 좋았던 도시가 어디냐고 묻는다면 빼놓지 않고 이야기하는 곳이 경기도 시흥이다. 과거의 선입견에 사로잡혀 지금의 모습을 잘 모르는 곳. 시흥은 갈 때마다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시다.



환경문제에 진심인 도시


아직도 편견이 가득하다. 처음 경기도 시흥을 취재했을 때, 이 도시가 우리의 생각과 다르다는 걸 충분히 알았고 이런 면을 알리고자 했다. 그럼에도 아직 사람들은 이 도시를 모른다. 과거 공업도시의 이미지가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 시흥 곳곳을 여행하다 보면 녹색이 어울리는 도시로 변모했다는 걸 알 수 있다. 시흥의 에코센터도 그런 이미지를 잘 보여주는 공간이다.


시흥에코센터의 정식 이름은 ‘시흥에코센터 초록배곧’이다. 정왕동의 배곧신도시에 자리하고 있다. 2016년 6월 설립해 ‘생명도시 시흥’을 실천하는 중심지 역할을 한다. 처음 찾아가면 길이 헷갈릴 수도 있으니 유의할 것. 경기과학기술대학교와 이웃하고 있어서 학교 건물 중 하나로 오인하기 딱 좋다. 지어진 지 아직 6년밖에 되지 않은 만큼 외관은 꽤 트렌디하다. 보는 순간 기분이 좋아지는 느낌이 밀려온다.


JTG 0096-img-01.jpg


내부도 환하다. 이 공간을 찾아오길 원하는 대상을 구분하는 게 의미가 있을까 싶지만, 그럼에도 어른보다는 우리의 미래를 만들어갈 아이들에 맞춰져 있다는 걸 쉽게 눈치챌 수 있다. 그만큼 아기자기하다. 1층과 2층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일반 관람객이 갈 곳은 주로 1층이다. 2층은 주로 토의나 회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이어서다. 반면에 1층은 주로 전시실로 구성돼 있다.


JTG 0096-img-02.jpg


JTG 0096-img-03.jpg


문을 열고 들어가는데 맞은 편 긴 테이블에 앉은 어른들이 체험 교육에 한창이다. 이런 교육의 경우 수시로 열리기 때문에 아무래도 시흥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일부러 곁을 오가며 대화에 귀를 쫑긋 세워본다. 주된 화제는 ‘이래도 괜찮은가?’에 맞춰져 있다. 페트병 분리수거를 어떻게 하라고 하는데, 그게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분리수거는 어떻게 하는 게 맞는 것인가, 우리가 분리수거하는 재활용품은 정말 온전히 재활용되고 있는가 등등. 이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시흥의 주민들이 얼마나 환경에 진심인지가 엿보인다.


JTG 0096-img-04.jpg



지금 우리 삶을 바꿔야 하는 이유


한 가지 의문이었던 건 내부가 너무나 시원하다는 점. 물론, 이건 전적으로 장마로 인해 푹푹 찌는 날씨 탓이 크다. 이동하는 동안 내리다 말기를 반복하는 요상한 날씨가 사람을 찜통에 넣고 저온으로 익히는 것만 같았다. 그러던 중에 들어간 에코센터는 무척 시원하고 쾌적했다. 다만 머리 한쪽의 이성이 정신을 차리며 의문을 품었을 뿐. 이렇게 시원한 건 에어컨 덕인가? 이렇게 시원해도 될까? 이 공간을 돌아다니는 동안 이 질문을 해결해 줄 관계자를 만나지 못해서 의문을 시원하게 털어내지는 못했다. 여기서 사용하는 전기가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얻어졌거나 우리가 알지 못하는 방법으로 건물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거라고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그래, 에코센터가 우리를 실망하게 할 일은 없다. 우리가 할 일은 이곳이 무엇을 준비해서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하는지를 살펴보는 거다. 이곳의 1층은 상설전시관, 체험전시실, 기획전시실로 이루어져 있다. 체험전시실은 다시 유아를 위한 체험놀이 공간과 여러 가지 체험활동으로 지구를 구할 여러 가지 상식을 배우는 공간으로 나뉜다. 이곳 역시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정도 눈높이로 맞추어져 있지만, 어른에게도 꽤 재미있는 게 많다. 이를테면 전기를 발생시키는 자전거의 경우 나의 체형에는 작았지만, 그게 생각지도 못했던 재미를 안겼다.


JTG 0096-img-05.jpg


JTG 0096-img-06.jpg


푸드마일에 대한 정보는 아직 이쪽에 익숙하지 않은 이에게는 색다른 깨달음을 전한다. 푸드마일은 우리의 먹을 것이 생산자의 손을 떠나 우리의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이동 거리를 의미한다. 푸드마일이 길면 길수록 식품의 신선도는 떨어지고 그만큼 안전성도 저하되기 마련. 그리고 그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도 늘 수밖에 없다. 이것은 편리함을 담보하지만, 과연 지구에 바람직한가를 생각한다면 자못 심각한 문제다. 올바른 분리수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의 교육도 눈여겨볼 만한 체험 거리다. 아이들을 대상으로 구성해 놓았기에 어른이 이해하기에도 쉽다. 한번 해보고 나면 분리수거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단박에 알게 된다.


JTG 0096-img-07.jpg


이보다 더 중요한 공간은 제로웨이스트존이다. 일상에서 사용하고 나온 쓰레기는 과연 어디로 갈까? 당연히 청소부 아저씨들이 처리해 줄 거로 생각하지만, 실상은 늘 내 마음과 다르다는 것. 그 쓰레기는 결국 지구의 어딘가로 흘러가고, 미디어에서 보았던 그 쓰레기 더미가 만들어진다. 최대한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최선이다. 어떻게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할지도 함께 고민할 수 있어서 모두가 꼭 들러보았으면 한다. 시흥에코센터의 존재 의미는 제로웨이스트존이 대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JTG 0096-img-08.jpg


JTG 0096-img-09.jpg


JTG 0096-img-10.jpg



시흥에선 굴비를


시흥이 녹색도시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공간이 에코센터였다면, 정말 그런 공간으로 가꾸어가고 있다는 생각이 물씬 드는 여행지는 역시 갯골생태공원이다. 이외에도 자연을 벗 삼아 여행할 곳이 참 많다. 오이도나 관곡지도 시흥의 여러 얼굴을 보여준다. 그중 한곳이 물왕저수지다. 물왕저수지는 그 자체로도 매혹적인데, 주변에 맛있기로 유명한 식당이 줄지어 있다. ‘보리굴비마을’은 여행지의 식당이 다 거기서 거기라는 편견을 깨주는 가게다.


JTG 0096-img-11.jpg


식당의 외관만 보면 20년 전쯤 카페로 사용하던 곳이 아닐까 싶다. 중세 그리스를 연상케 하는 모습. 내부도 그렇다. 그런데 여기서 파는 건 보리굴비라니. 아이러니하다. 그렇다고 이 집의 보리굴비가 적당한 씨알의 부세를 구워 파는 곳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이 집의 사장님은 영광 법성포에 직원 두 명을 따로 구해서 매일 경매에 나오는 굵은 씨알의 부세를 매입한다. 그렇게 얻은 부세는 건조 창고에서 보리굴비의 맛을 최대한 끌어내는 과정을 거친다.


JTG 0096-img-12.jpg


원래 보리굴비는 보리 항아리에 박아서 건조와 숙성을 시킨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과정을 거치기 어려우니 다른 방식을 쓴다. 건조 창고에 특정한 조건을 만들어서 건조하는 게 그 노하우. 이렇게 말린 굴비는 식탁에 오르기 전 잘 쪄서 낸다. 일련의 과정을 듣고 나니 박수가 절로 나올 지경이다. 시흥의 가게가 보리굴비를 팔기 위해 이렇게까지 공을 들일 거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JTG 0096-img-13.jpg


예전에는 영광에서부터 지금의 부안 위도 인근까지가 참조기 어장이었다. 엄청나게 많은 조기가 잡혔고, 질도 좋았다. 그러다 위도 일대가 부안으로 편입되고 중국 어선의 분별없는 어획이 이어졌고, 국내에서도 씨알을 가리지 않고 참조기를 남획한 탓에 이제는 참조기를 만나기가 무척 어려워졌다. 지금은 참조기의 사촌인 부세도 비교적 고가에 거래된다.


여행을 다니면서 자의로든 타의로든 보리굴비를 적잖게 먹어봤다. 경험상 ‘좋다’라는 생각이 든 보리굴비는 극히 드물었다. 그런데 이 집은 달랐다. 꾸덕꾸덕한 굴비의 살점이 너무 마르지 않아 씹는 맛이 일품이다. 건조 과정의 관리도 잘 되어서 비린내도 없다. 굴비 특유의 고소함이 입안을 즐겁게 할 뿐이다. 이쯤 되면 밥도둑이라는 수식어를 붙여도 손색이 없다. 이제는 너도나도 그렇게 하듯 차가운 녹차에 말아 먹는 ‘오차즈케’도 먹을 수 있는데, 차의 농도를 제법 짙게 해서 굴비와 밥알의 고소함을 더했다. 우려했던 녹차의 쓴맛은 거의 없다. 20년 가까이 보리굴비 전문점을 운영하면서 익힌 노하우가 곳곳에서 보인다.


JTG 0096-img-14.jpg


이쯤이면 1인 2만 5천 원의 가격을 절대 비싸다고 하기 어렵다. 이 집의 또 다른 시그너처 메뉴인 더덕구이까지 함께한다면 금상첨화다. 크게 기대하지 않았던 음식이 기대 이상일 때 만족감은 배가되는 법. 이 집은 시흥 여행에서 꼭 가 볼 만한 식당 리스트에 반드시 넣어야 할 가게다.



JTG 0096-title.jpg


참조기나 부세를 소금에 절여 말린 굴비는 의외로 자양강장의 효과가 있다. 타우린 (taur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원기회복에 도움을 준다. 철분과 칼슘, 단백질이 풍부해서 아이의 성장에 필요한 골격 형성에도 좋다. 굴비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이어서 다이어트를 하는 이에게 추천할 만하다. 잘 말린 굴비는 살이 연하고 소화가 잘되므로 체중 관리 시 고려할 만한 식품이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