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17. [특별편] 책방의 노부인

 

LGJ 0017-main.jpg



종로 5가 청계천 쪽으로 씨앗 상점들이 늘어서 있던 거리에 행림서원이 있었다. 그곳은 일견 책방이라기보다는 한방용품 종합상점 같은 곳이었다. 나는 1982년 한의과대학에 들어가서 선배들이 일러주는 대로, 예과 때 그곳에서 『논어집주』, 『맹자집주』, 『문답식역학원리강좌』를 샀다. 책방을 지키고 있던 노부인께서 한의대 학생은 할인해 주셨다. 본과생이 되어 침구학을 배우던 때에는 호침 등 각종 침 종류와 휴대용 침통을 샀다. 당시에는 일회용 멸균침이 보급되기 전이다. 임상 과목을 배울 때는 맹화섭 선생의 『방약지침』과 포켓판 『방약합편』을 샀다.


학기 초에 단체로 구입하는 교과서가 아니라면 한의대 학생들은 필요한 책이 있으면 행림서원에 갔다. 학교 앞에서 타면 종로통을 통과해서 가는 134번 버스가 있기도 해서 말이다. 최용태ㆍ이수호 교수의 『정해침구학』과 송병기 교수의 『한방부인과학』, 김상효 교수의 『동의신경정신과학』이 행림서원과 행림출판사에서 펴낸 교과서였다.


그렇게 대학을 졸업하고 한의사 생활을 하면서, ‘내가 전공과 관련된 책을 낸다면 행림서원에서 내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을 품기도 했다. 시인이 되고픈 꿈을 접기 전에는 시집은 민음사였다. 그런데 인생이 참 묘하다. 2009년에 책 출판 일로 행림서원 이갑섭 사장을 알게 된 후에, 그의 소개로 민음사 박맹호 회장을 치료했던 적이 있다. 물론 나는 시인이 되고자 했던 꿈은 벌써 접은 후였지만 그분께 시 한 편을 보여드리기는 했다. 구차한 거지만 약식으로 꿈을 이뤘다고 혼자 위로했다.



미키 사카에


미키 사카에(三木榮 1903~1992) 선생은 일본의 의사학자로서 1928년 6월부터 1944년 4월까지 한반도에 머무는 동안 한반도의 의학과 질병을 연구했다. 그의 탁월한 연구 성과를 정리한 저작이 제1부 『조선의서지』 (1956)와 제2부 『조선의사연표』 (1985) 그리고 제3부 『조선의학사급질병사』 (1955)이다. 미키 선생은 이 3부작을 〈조선의지 朝鮮醫誌〉라고 명명했다. 그는 『조선의학사급질병사』의 권두에서 연구에 도움을 준 인물들에 대하여 감사를 표시하였다.


LGJ 0017-img-01.jpg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1963년 판에서 해당 부분 사진 촬영


“〈조선의지〉의 완성을 고하기에 앞서 이 일을 해왔던 20년간은 긴 시간인 것 같으면서도 한순간의 꿈과 같기도 하다. 태평하던 초기 쇼와시대를 거쳐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이 터지게 되었다. 이어서 대동아전쟁에 돌입하여 결국에는 패배하게 되어 일본도 조선도 근본에서부터 큰 변혁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 사이 나의 연구에 깊은 지지와 후원 혹은 간곡한 지도와 가르침을 주신 여러 선생님과 선배님들은 이제 다른 나라에서 살거나 혹은 사는 곳은 물론이거니와 생사조차 알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미 작고하셔서 오늘날의 이 성과를 보여드릴 수 없는 분도 적지 않다. 사뭇 서글픈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여기에 존함을 남겨서 추억의 실마리로 남김과 동시에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감사의 뜻을 표하고자 한다.”


* 위 번역은 진해에 있는 박병희 원장이 하였다. 경인교대 김호 교수가 2005년 12월에 『의사학』 제27호에 실은 「의사학자 삼목영의 생애와 조선의학사급질병사」에 의하면, 미키 사카에 선생은 소화 23년 (1948년) 3월 3일에 이 책의 원고를 완성했다. 그리고 초판은 1955년에 공판(孔版)으로 100부를, 재판은 1963년에 활판(活版)으로 500부를 고향인 오사카에서 찍었다. 처음 책을 찍을 때 출판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자신이 수집했던 고서의 상당수를 팔았다고 한다.


여기에 나열된 52명의 인물 중에 ‘이태호 형(李 泰浩兄)’이 있다. 그리고 『조선의학사급질병사』의 379페이지에, 동무 이제마의 사상의설(四象醫說)을 설명하는 항목의 말미에 이렇게 썼다.


“행림서원 주인 외우 이태호 씨가 저술했던 『동의사상진료의전』은, 이제마의 원저작인 『동의수세보원』을 여러 각도로 해석하여 현대인이라도 이해하기 쉽도록 편찬된 것이다. 일독을 권한다.”


사실 1941년에 행림서원에서 나온 『동의사상진료의전』은 원지상이 1929년에 펴낸 『동의사상신편』을 바탕으로 해서 타약수해례(他藥受害例), 편송결(便誦訣) 등을 추가하여 재편집한 것이다. 이 사실을 모를 리가 없을 미키 선생이 자신의 책에 특별히 『동의사상진료의전』을 언급한 것은 두 사람의 사이가 각별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자성당 서점에서 행림서원으로


행파 이태호 선생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경영하던 서점에서 일을 배운다. 자성당 서점(自省堂書店)이다. 이곳은 출판서적상이었다. 차차 능력을 인정받아 주무(主務)를 맡게 되었고 그러다가 주인이 된다. 1927년 12월 25일 자 동아일보 자성당 서점 광고에서 왼쪽 아래에 ‘自省堂書店 主 李泰浩’가 보인다. (참고: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신문에 실은 자성당의 광고 자료를 통해서 보면, 자성당은 경운동 91번지 (1925. 12. 5. / 1926. 3. 19.), 광화문통 38번지 (1927. 7. 25. / 1929. 5. 4.)에 있었고, 1931년 10월 28일에 행림서원의 주소로 관훈동 112번지가 보인다. 그러다가 기존에 행림서원의 소재지로 알려져 있던 안국동 157번지로 이전했다. 1930년대에 행림서원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다. 행림서원으로 개명한 것은 한방 서적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겠다는 뜻이었던 것 같다.


행림서원에서는 『선한약물학』 같이 한약종상 시험과 관련한 책들로 시작했다. 그러면서 『향약집성방』이나 『침구경험방』 같은 전통적인 한의서를 펴냈고, <비장고판조선의서 秘藏古版朝鮮醫書> 시리즈를 간행하고자 기획하는 등 한의서 전문 출판사로서 입지를 키워나갔다.


일제강점기 말기에 행림서원에서 발행한 의서 선전용 팸플릿인 「의서총목록」에는 40여 종의 의서가 수록되어 있다.


* 행파(杏坡) 이태호(李泰浩) (1897. 4. 20.~1963. 12. 11.)

행파 선생의 생몰은 지금까지 잘못 알려져 있었다. 행파 선생의 손녀인 평민사 이정옥 대표가 제적등본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로잡는다.


LGJ 0017-img-04.jpg

『향약집성방』 (1942) 표지

출처: 국립중앙도서관



자성당


일본에 자성당이란 출판사가 있었다. 1800년대 후반에 출발해서 『歸三寶之說』를 1895년에 출판하였는데 당시 발행인은 나카지마 만키치(中島萬吉)였다. 1905년까지는 발행인이 그대로 유지되다가 1912년에는 아들로 추정되는 나카지마 사부로(中島三郞)가 발행인이 되었다. 그 후로는 출판한 자료가 보이지 않는다. 이후로는 인쇄업으로 업종을 변경한 것으로 나온다.


일제강점기에 경성(京城)에 있었던 자성당 서점이 일본의 자성당과 어떤 연계가 있었는지는 모르겠다. 행파 선생은 일본 자성당의 존재를 알았던 것 같고, 그것이 행림서원으로 개명하게 된 이유 중 하나일 거라고 짐작한다.


LGJ 0017-img-05.jpg

左: 발행인 나카지마 만키치(中島萬吉) / 右: 발행인 나카지마 사부로(中島三郞)



삼방촬요


한국한의학연구원의 안상우 박사는 행림서원의 「의서총목록」에서 발간 예정 도서에 <삼방촬요>가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래서 경희한의대 의사학교실의 김남일 교수와 함께 행림서원 이갑섭 사장을 찾아간다. 2007년 8월 경이다. 7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지만, 혹시라도 <삼방촬요>가 고서 창고 안에 남아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LGJ 0017-img-06.jpg

「의서총목록」 표지와 비장의서간행계획

출처: 안상우, 「삼방촬요의 편찬과 전존 내력」 『한국의사학회지』 2018.


조선 효종의 명을 받은 송시열이 팔도의 명의들을 소집하여 각자 경험한 침, 구, 약방을 강론하게 하고, 그것을 모아 편찬하여 ‘삼방(三方)’이라고 불렀고, <삼방촬요 三方撮要>는 그 요점을 모은 것이다. ‘삼방’과 관련해서는 어떤 역사 문헌에도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서 역사학계는 물론 한의학계에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었다.


LGJ 0017-img-07.jpg

조선총독부 검열본 <삼방촬요>

출처: 안상우, 「삼방촬요의 편찬과 전존 내력」 『한국의사학회지』 2018.


원고 더미 속에서 이갑섭 사장이 찾아낸 것은 <삼방촬요>의 출판 허가를 받기 위해서 조선총독부에 제출했던 검열본이었다. 일제강점기 당시에 모든 출판물은 「출판법」에 따라 총독부 경무국의 사전 검열을 통과해야만 했다. 출판 허가를 받은 날짜인 소화 18년 (1943년) 1월 13일 허가 인장이 속표지에 선명하게 찍혀 있었다.


그런데 ‘삼방’을 처음 언급했던 사람은 바로 미키 사카에 선생이다. 그가 『조선의서지』를 통해서 〈삼방〉, 〈삼방촬요〉, 〈간삼신편〉에 대한 내력을 소개했다. 미키 선생은 책에서 자신이 이 중 〈간삼신편〉을 소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행파 선생이 〈삼방촬요〉 필사본의 저본을 얻는 것은 최소한 1943년 1월 이전이다. 그리고 미키 선생이 한반도를 떠난 때는 1944년 4월이다. 미키 선생이 공개된 팸플릿을 몰랐을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그가 『조선의서지』에서 행파 선생의 소장 사실을 공개하지 않은 이유는, 검열도 끝났던 그 원고가 출판으로까지 이어지지 않은 것에 대한 아쉬움과 행파 선생을 배려한 것이 아니었을까 짐작만 할 뿐이다.


LGJ 0017-img-08.jpg

『효종명찬 삼방촬요』 (전 3권)

사진 출처: 행림서원 1923 네이버 블로그


〈삼방촬요〉의 발굴자인 안상우 박사는 마침 동의보감 400주년 기념사업을 전개하고 있을 때라 다른 일을 벌일 여유가 없었다. 그리고 이미 몰락한 행림서원의 사세로 거질의 책을 출시하기에는 출판계 현황이 너무 어려웠기 때문에 차일피일 시간이 흘러갔다. 2013년에 이갑섭 사장이 “이제는 나이도 들고 또 앞일을 기약하기 어려우니 서둘러 일을 추진해야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후에 안상우 박사의 연구와 번역을 통해서 2017년 1월 20일에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효종명찬 삼방촬요』란 제목으로 3권짜리로 발간했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