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20. [특별편] 한 방

 

LGJ 0020-main.jpg



중앙청에서 근무하기도 했던 행림서원 2대 이성모(李成模 1924~1973) 사장은, 말년에 중풍이 도져 십여 년 누워 지내는 부친의 “월급 받아선 6남매를 못 키우니 이 사업을 해야 한다.”는 간곡한 충고를 따라 가업을 이어받았다. 이성모 사장은 책방과 집 밖에 몰랐고, 가정적이었다. 그는 부친이 사 둔 땅에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일제강점기에 학교를 다녔으므로 일본 책을 직접 번역해서 출판하기도 했다. 그는 50세인 1973년에 일찍 세상을 떴다. 은행에 들어가고 싶어 대학도 경영학과를 택했던 이갑섭 사장은 부친이 갑자기 별세하자 공부도 중단하고 마음에 별 준비도 없이 잠시 경영을 맡았던 모친으로부터 경영권을 이어받았다.



인간시장


1976년에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후 단편집을 낸 적은 있으나 무명이었던 작가 김홍신은, 김종찬이 창립한 평민사에서 주간을 맡고 있었다. 소설 『인간시장』은 1980년 12월에 「주간한국」을 통해서 〈22살의 자서전〉이란 제목으로 연재를 시작했다. 통상적으로 1년이 관례이던 연재가 5년이나 갔다. 『인간시장』보다 「주간한국」이 먼저 베스트셀러가 된 것이다.


행림출판 이갑섭 사장은 연재가 진행되는 도중에 김홍신 작가에게 출판 제의를 한다. 단행본 『인간시장』은 1981년 9월부터 행림출판에서 나왔는데 2년 뒤에는 ‘밀리언셀러’라는 말을 유행시켰다. 『인간시장』은 정비석의 『자유부인』과 함께 20세기 최고의 베스트셀러라는 평가를 받는다.


LGJ 0020-img-01.jpg

김홍신, 『인간시장』 1권



출판은 한 방


행림출판 이갑섭 사장의 금고로 돈이 붕붕붕 들어가고 있었다. 그는 30대 초반의 나이였다. 마포에 사옥을 짓고, 평민사를 인수하고, 「마드모아젤」, 「월간주니어」, 「비디오패밀리」 등의 잡지를 잇달아 발간했다.


나는 2009년 4월에 이갑섭 사장을 종로 5가에서 처음 만났다. 행림서원은 이미 오래전에 몰락한 상태였지만 나는 그때 그 사실을 몰랐다. 그는 80년대의 영광 속에 머문 것처럼 보였다. ‘인생은 한 방’이라고 하는데 사실 ‘출판도 한 방’이다. 이갑섭 사장은 그런 한 방이 다시 그에게 오리라고 믿고 있었다.


* 이갑섭 사장과 나는 『학습 8체질의학』 (2009. 11.), 『학습 8체질의학 Ⅱ』 (2013. 10.), 『체질맥진』 (2017. 4.), 『개념 8체질』 (2017. 12.), 『체질침의 새로운 처방 ZBPset』 (2017. 12.), 『임상 8체질의학 Ⅲ』 (2018. 3.)을 함께 만들었다.


LGJ 0020-img-02.jpg

『체질맥진』 출판기념회 2017년 4월 16일, 저자 특별강연을 듣는 이갑섭 사장


그는 10년간 8체질론을 공부하는 나의 특별한 동지였다. 그와 나는 8체질과 관련한 책을 여섯 권 만들었다. 이갑섭 사장이 큰 기대를 걸었던 일곱 번째 책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은 그가 2019년 6월 5일에 별세한 후 10월 20일에 출간되었고, 행림서원에서 나온 『암의 일생』과 함께 2020년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선정되었다.


LGJ 0020-img-03.jpg

「한의신문」 2272호 2020년 8월 3일


이갑섭 사장은 김홍신의 『인간시장』, 박양호의 『흔들릴 때마다 한잔』, 박범신의 『물의 나라』, 『불의 나라』 등 대중문학 소설을 히트시켰고, 1992년에는 구자경 럭키금성 회장의 자서전 『오직 이길밖에 없다』를 베스트셀러로 만들었다. 그리고 『한국의 구전설화』 시리즈, 『한국의 탈과 탈춤』, 『한국인의 놀이와 제의』, 『한국전쟁사』 시리즈, 『한국의 역대 전쟁』 시리즈 등 의미 깊은 출판물도 많다.



사암도인침구요결


김달호 교수는 사암도인에 의해서 사암침법이 성립된 시기를 1644년에서 1742년 사이로 추정했다. 성립 이후에 여러 갈래의 필사본으로 전승되었는데 절집을 통한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한의대 학생들을 위한 사암침법 현장교육과 무의촌봉사에 모든 삶을 바쳤던 금오 김홍경(1950~2021) 선생은 청년기에 순천 송광사에 입산하였을 때 사암침 필사본을 접했다고 하고, 부산 동래 범어사에 전해진 의학 교재인 청낭결에는 정오행침도(正五行鍼道)가 들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모종의 필사본이 일본으로 전해져서 일본 침구계를 주도하던 야나기야 소레이(柳谷素靈)를 놀라게 한다. 그는 즉시 〈난경〉을 연구하기 위해서 고전연구회를 조직한다.


행파 선생도 사암침법 필사본을 입수한다. 필사본이란 원본이나 필사의 대상이 되는 저본을 보고 베낀 것이다. 대상이 전문적이고 어려운 내용일수록 그것을 베끼는 사람의 수준에 따라 착오와 누락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오랜 기간 수준이 다른 여러 사람으로 계속 이어지면서 필사가 진행되었다면, 과연 그사이에 원본의 내용이 얼마나 훼손되었는지 가늠하기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 1959년에 행림서원에서 발간한 『사암도인침구요결 舍岩道人鍼灸要訣』을 볼 때 우선 이런 우려를 떨칠 수가 없다. 사암침법에 관한 책 중에서 가장 최초로 활자화되고 역주를 달아 출판되었다는 찬사를 받고 1959년 이래로 오래 명성을 날리기는 했다.


이것을 번역한 행파 선생이 서언(緖言)에서 ‘1953년 6월에 중풍 마비로 누워서 지내며 고통을 받았다.’고 표현한 것이 눈에 띈다. 무의벽촌에 있었다는 것이다. 그 뒤에 이어지는 내용은 책을 광고하기 위한 과장된 표현이었다고 생각한다.


* 김달호, 「사암침법의 저작시기 및 형성배경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1993.

   김달호, 「사암침법의 형성배경.교정변형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1998.


LGJ 0020-img-04.jpg

『사암도인침구요결』 행림서원 1959년



100주년 기념


행림서원이 2023년이면 창립 100주년을 맞는다. 행림서원이 예전의 영광을 그대로 이어서 지금까지 번창해 있었다면 초라한 처지인 내가 나설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내게는 100주년을 기념할 거창한 학술대회나 전시회를 치러낼 만한 기반이나 역량은 없다. 다만 고 이갑섭 사장 그리고 이정옥 대표 두 분과 맺은 감사한 인연에 보답할 수 있는 나만의 방도를 찾아야만 했다. 그래서 경희대학교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의 신지영 박사와 상의해서 이것을 기획했다. 게재를 허락해 준 이향숙 센터장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6남매를 키우면서 행림서원의 3대를 묵묵히 지켜본 분이 있다. 행림서원 창립 100주년을 미리 기념하는 이 글에 그분의 성함을 꼭 기록하고 싶다. 송영산(宋榮山 1928. 12. 5.~2003. 7. 20.) 여사이다.



덧붙임


행림서원 100주년 특집 시리즈를 기획하고 자료를 찾고 정리하고 네 편을 썼다. 그리고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로 원고를 발송했다. 2022년 7월 23일이다. 7월 27일에 자성당 서점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발견했다. 자성당 서점은 행파 선생이 처음 출발한 책방의 이름이었다. 『민족의학신문』 1341호에 실릴 ‘책으로 따라가 보는 행림서원 100년 (1)’은 7월 28일 자 종이신문 발행을 위한 편집작업이 7월 26일에 이미 끝난 상태였다. 부끄럽다. 늦었음을 알았지만, 더 늦지 않으려면 빨리 고쳐야 한다. 아직 발송되지 않고 남아 있는 ‘책으로 따라가 보는 행림서원 100년 (2)’를 수정했다. 그리고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원고 네 편도 수정해야 할 곳을 찾아서 고쳤다. 그리고 별도로 ‘자성당 서점’에 대한 글을 써서 자초지종을 자세히 밝히려고 한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