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대전 장태산자연휴양림과 두부두루치기

 

JTG 0121-main.jpg



조금 늦은 게 아닐까, 걱정했다. 가을마다 가고 싶었던 숲이었지만 이미 겨울로 깊이 들어와 버린 시간대였다. 기회가 있을 때 가야 했으나 아쉬운 마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었다. 그렇게 대전의 외곽, 장태산으로 향했다.



가을을 추억하는 겨울의 숲


이미 한 달도 전에 단풍은 다 떨어지고 겨울 풍경이 깊이 자리하고만 계절이다. 또 늦었다는 생각이었지만, 그럼에도 기회가 있을 때 가자 마음먹었다. 방송 촬영 일정을 짜면서 대전의 여행지를 추천해 달라기에 장태산자연휴양림을 슬쩍 들이밀었다. 보통의 경우 계절감이 안 맞을 법하니 다른 곳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은데도 이번에는 작가진이 내 의견을 받아들여 줬다. 대전역 일대에서 필요한 촬영을 마치고 대전의 외곽에 자리한 장태산으로 향했다. 부슬부슬 겨울비가 내리고 있었고, 길가에 나지막이 솟은 산 사이로 물안개인지 구름인지 모를 것이 피어오르는 중이었다.


도심에서 40분 정도. 초입에 다다랐을 때 차에서 내리며 나를 비롯한 모두가 탄성을 내질렀다. 활엽수의 이파리가 떨어진 지 한참이 지난 후였음에도 이 숲은 아직 가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다. 침엽수인 메타세쿼이아 나무가 이 휴양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가능한 일이 아닐까 싶었다. 하늘 높이 찌를 듯 선 수많은 메타세쿼이아는 갈색 이파리를 가지마다 매달고 내리는 비와 부는 바람에 살랑살랑 손짓을 했다.


JTG 0121-img-01.jpg


메타세쿼이아 나무를 말하면 으레 담양을 떠올린다. 물론 담양의 명물이 된 이후 많은 지자체가 메타세쿼이아를 심었다. 그러나 담양도 그렇고 다른 대부분의 메타세쿼이아 숲은 가로수였다. 길 양쪽으로 높은 메타세쿼이아가 길게 늘어선 모습이었고, 그 광경은 대동소이하다. 그런데 이곳은 전혀 다르다. 1960년대부터 이 산에 숲이 조성됐다. 자연 상태의 잡목 숲이었는데, 그곳에 밤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같은 유실수를 심었다. 곳곳에 소나무와 두충 같은 것도 계획적으로 배열했다. 여기에 미국에서 들여온 메타세쿼이아, 독일의 가문비를 대량으로 식수했다. 이 많은 수종 중에서도 메타세쿼이아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JTG 0121-img-02.jpg


JTG 0121-img-03.jpg


이 모든 걸 직접 한 인물이 따로 있었다. 임창봉이라는 사람이었다. 그가 머릿속으로 그리던 그림은 무엇이었을까. 왜 메타세쿼이아를 이토록 많이 심은 걸까. 가을의 장태산자연휴양림은 마치 미국의 숲을 연상케 했다. 어느 영화에서 보았던 그런 풍광을 닮아 있었다. 그런 이국적인 풍경을 손수 만들고 싶었던 걸까. 임창봉 씨가 그렇게 1960년대부터 일군 숲은 1991년 5월 일반에 개방됐다. 최초의 민간자연휴양림이라는 설명도 보이지만 그것은 그대로 믿을 것은 못 된다. 생각보다 전국 곳곳에 민간자연휴양림이 많고, 각자의 주장이 다르다. 이 멋진 숲은 임창봉 씨의 타계 이후 2000년대부터 대전이 인수해서 운영 중이다. 그 뒤로 큰 변화도 있었다.


JTG 0121-img-04.jpg


JTG 0121-img-05.jpg



나무의 눈높이에서 바라보는 숲


장태산자연휴양림을 유명하게 만든 건 사실 숲 자체가 아니다. 숲속에 만들어진 스카이웨이와 스카이타워가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고, 다른 어디에서도 겪어보지 못한 경험을 가능하게 했다. 이 시설에는 ‘숲속 어드벤처’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나무 사이로 세워진 스카이타워는 지상에서부터 11미터 위에 서 있다. 사람이 가장 공포를 느낀다는 높이다. 그럼에도 생각보다 아주 안정적이다. 강철 프레임과 와이어로 들어 올린 것도 있지만, 바로 곁으로 나무들이 늘어서 있어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도 도전해 볼 만하다는 얘기다. 철과 나무가 공존하는 그 풍경은 의외로 이질감을 주지 않는다. 도리어 어디에서도 보지 못한 풍광을 자아내면서 젊은 세대에게 멋진 촬영 스폿이 되어 준다.


JTG 0121-img-06.jpg


JTG 0121-img-07.jpg


JTG 0121-img-08.jpg


물론 이 숲의 주인공은 스카이웨이나 스카이타워가 아니라 숲이다. 숲의 본질은 시설이 아니라 나무라는 의미다. 뾰족한 나무가 길게 뻗어서 하늘을 찌를 듯 솟아 있는 모습. 그 숲이 시야를 가릴 정도로 위엄이 넘친다. 그런 경치가 무려 축구장 83개 크기의 부지에 걸쳐 이어진다. 숲 사이로 산책길이 놓였고, 여러 개의 코스가 십수 킬로미터에 걸쳐 잘 닦여 있다. 시간을 충분히 두고 찾는다면 하루 종일 숲이 주는 청량감을 만끽하기에 아주 좋은 여건이다.


JTG 0121-img-09.jpg


JTG 0121-img-10.jpg


JTG 0121-img-11.jpg


숲의 한가운데로는 물길이 흐른다. 대전시를 가로지르는 갑천으로 이어진다. 숲이 있고 그사이에 물길이 있다는 건 많은 생명이 깃들어 산다는 뜻이기도 하다. 대전의 깃대종은 이끼도롱뇽, 하늘다람쥐, 감돌고기 3종이 꼽힌다. 2014년 시민의 의견을 모아서 지정했다. 깃대종이라는 개념은 UNEP (유엔환경계획)이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으로 제시한 것인데, 특히 대전에서 발견한 이끼도롱뇽은 특별하다. 원래 북미나 유럽 일부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2003년 장태산에서 국내 최초로 발견되면서 화제가 됐다. 특이 이 숲 안에 살고 있다는 건 이 숲이 대전이라는 도시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하나 더 부여하는 셈이 된다.


JTG 0121-img-12.jpg


스카이웨이를 오르는 입구 근처에는 이 숲에서 가장 키가 큰 메타세쿼이아 나무도 있으니 이 휴양림을 방문했다면 한 번쯤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 그 나무는 키가 34미터를 훌쩍 넘고 그 둘레는 어른 둘이 두 팔을 벌려 맞잡아도 간신히 안을 수 있을 만큼 크다. 3미터 가까운 길이다. 그냥 지나가면서 보았을 때는 그 존재를 전혀 알 수 없다. 해설사의 설명을 들어야만 그 존재를 비로소 인지하게 된다.


JTG 0121-img-13.jpg


JTG 0121-img-14.jpg


장태산자연휴양림에서 누릴 수 있는 또 하나의 즐거움은 진산성지를 향해 가는 순례길이다. 진산성지는 한국 최초의 천주교 순교자 윤지충 (바오로)과 권상연 (야고보)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다. 그 둘은 정조 당시 조상의 제사 문제로 1791년 12월 8일 전주풍남문에서 참수됐다. 그러고는 9일에 걸쳐 효시 되기까지 했다. 이른바 신해박해로 알려진 사건이다. 이 순례길은 장태산자연휴양림에서 시작해 성지순례유래비를 거쳐 금산군의 진산성지까지 이어진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꼭 걸어보길 권한다.



대전시민의 안주


장태산자연휴양림을 마주하면서부터 요즘 유행하는 ‘노잼도시’라는 대전의 타이틀을 부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토록 훌륭한 숲을 곁에 둔 도시가 흔하지 않아서다. 충분히 즐겁게 자연을 누릴 수 있는 곳인데 어떻게 ‘노잼도시’라고 부를 수 있을까. 여기에 더해 대전을 노잼이라고 부를 수 없는 이유를 하나 더 찾았다.


대전의 대흥동 번화가 한쪽에 자리한 유명한 술집이 있다. ‘진로집’이라는 간판을 달고 있는 노포다. 이 집은 1969년에 개업해 40년이 훌쩍 넘도록 대전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름부터 술 냄새 진하게 풍기는 만큼 이 집에서 내놓는 안주도 훌륭하다. 대전의 먹거리를 논하면 열이면 열 모두 성심당의 튀김 소보로를 먼저 이야기하지만, 사실 대전을 대표하는 건 국수, 그중에서도 가락국수라 부르던 칼국수와 두부두루치기라고 할 수 있다. 진로집의 대표 안주가 바로 두부두루치기다. 물론 오징어두루치기 같은 것도 취급하지만, 누가 뭐래도 진로집은 두부두루치기와 연결할 수밖에 없다.


잘 익힌 담백한 두부에 채소를 넣고 매콤한 양념을 더해서 익혀낸 두부두루치기는 모두가 아는 두부조림에 가깝다. 두루치기라는 음식이 매콤하게 볶아내는 것을 의미하는데, 볶는다고 하기에는 편편한 두부에 그리 어울리는 조리 방식은 아니다. 아마도 조리법보다는 그 모양에 맞춰 이름이 붙은 게 아닌가 싶다.


JTG 0121-img-15.jpg


워낙 찾는 이가 많은 탓에 진로집에서는 자리 잡는 것도 그리 쉽지 않다. 주문을 한 번 넣고 나면 다음 주문을 넣어서 음식을 새로 받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도 유념해야 한다. 그래서 첫 주문에 필요한 것을 넉넉하게 시키는 게 현명하다. 조리 시간도 적이 걸리는 편이다. 밀려 있는 것을 먼저 내보낸 후에 만들기 때문이다. 기다림의 시간이 지나고 나서 맛보는 두부두루치기는 그 인내가 아깝지 않을 정도로 맛이 좋다. 적당히 매콤하고 짭조름하다. 여기에 간이 잘 밴 두부는 마냥 술을 부른다. 촬영 후 다음 날 스케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각 한 병씩만 먹자고 다짐했지만, 채 한 시간이 지나기 전에 술병이 만리장성처럼 쌓였다. 무서울 만큼 술이 잘 들어가는 안주다. 그러니 나도 모르게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하길. 내 정신을 잘 챙겨서 나올 수 있다면, 진로집은 대전을 꿀잼도시로 만들기에 충분한 가게다.



JTG 0121-title.jpg


콩으로 만든 음식은 여러 차례 소개했다. 두부도 마찬가지다. 그만큼 우리가 일상에서 즐겨 먹는 식재료이자 그 자체로 훌륭한 음식이다. 콩으로 만들었기에 두부가 가진 최고의 영양분은 역시 단백질이다. 비타민 E와 비타민 B가 많아 노화 방지 효과가 있으며 식이섬유가 풍부해 포만감을 주기에 다이어트에도 좋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해 혈관 건강에도 이롭다. 더불어 불면증 완화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은 손쉽게 찾아 먹을 수 있지만, 과거에는 능(陵)이나 원소(園所)에 속하여 나라 제사에 쓰는 두부를 맡아 만들던 절을 조포소(造泡所)라 하였는데, 두부는 절에서 만들어 왕실에 진상할 만큼 귀한 음식이었다. 이 좋은 두부를 쉽게 먹을 수 있다는 건 이 시대의 행운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