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정보교류센터

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우리 몸에 좋은 버섯작은사전 솔뫼 (지은이) 그린홈(Green Home) | 2015-06-15 기존에 나와 있는 『우리 몸에 좋은 버섯대사전』에서 핵심 정보와 주요 사진만 모아서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채취 현장에서 곧바로 생태 정보와 사진을 참고하여 버섯을 빠르고 쉽게 대조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우리 ...

  • 알비니즘 장순화 (지은이) 책과나무 | 2015-06-12 알비니즘인이 쓴 것으로, 우리가 알비니즘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상식을 바로잡아 주고, 1960~1970년대를 살아온 사람으로서 알비니즘인의 어제와 오늘을 알려 주어 알비니즘인 가족들과 주변 사람들이 어떻게 배려하고 행동하는 것이 좋은지 상세히 설명해 준다. 더불어 저...

  • 내 몸의 슈퍼닥터를 만나자 이재철 (지은이) 메디마크 | 2015-06-11 기능의학이 국내에 소개된 초창기부터 관심을 갖고 공부하면서 치료 환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능의학’에 대해 쉽게 풀어쓴 이재철 원장의 ‘기능의학 개론서’이다. ‘기능의학’에서 주목하는 것은 내 몸의 ‘내적 치유력’이다

  • 당신의 눈, 다시 젊어질 수 있다- 이종호 박사의 그 노안 완전 밝히더라! 이종호 (지은이) 느낌이있는책 | 2015-06-10 이 책은 노안에 대한 자가진단법부터 치료법까지 모든 정보를 총망라하며 40대, 50대, 60대 각 연령에 맞는 노안 건강법과 4·5·6 맞춤형 노안교정술을 소개한다. 대한민국 라식라섹 수술 도입1세대이자 노안교정술의 선두주자인 서울밝은세상안과 이종호 대표원장이 눈 건강...

  • 자연치유력을 키워라- 건강수명을 늘리는 자연치유 정체 강길전 | 홍달수 (지은이) 엔자임하우스(B&F엔자임하우스) | 2015-06-10 ‘마음’에 초점을 두고 현대의학의 대안을 모색하는 책이다. 저자인 강길전 박사와 홍달수 교수는 약력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두 명 모두 현대의학을 전공한 의사이다. 무엇보다 물질만능의 시대에 ‘마음의 존재를 알자’ 는 취지로 이 책을 썼다.

  •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에 대한 오해풀기- 콜레스테롤과 동물성 포화지방 이제는 두려워말자 정윤섭 (지은이) 라온북 | 2015-06-10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에 대한 잘못된 오해를 바로잡아 사람들이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에 관한 올바른 견해를 갖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 쿨하게 화내기- 제2판 로버트 네이 (지은이) | 박의순 (옮긴이) 시그마프레스 | 2015-06-10 이 책에서는 다양한 분노 표현들을 분노의 다섯 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제시했다. 분노의 형태, 발생과정, 각 과정에서의 대처 방법, 나아가 이론에 근거한 실천 훈련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분노를 이해하고 다스려 자신을 바람직한 방법으로 쿨하게 순화시키는 법을 안내하여 준다.

  • 왜 챔피언들은 경기 전에 껌을 씹을까?- 몸과 정신을 깨어나게 하는 껌의 비밀 이시가미 게이이치 (지은이) | 이준현 (옮긴이) | 김치원 | 이한주 (감수) | NHK 교육방송 액티브 카무카무 워킹 사무국 클라우드나인 | 2015-06-05 도쿄치과대학 스포츠치의학연구실 주임교수인 이시가미 게이이치의 책. 누구나 한 번쯤은 껌을 씹어보았을 것이다. 껌을 씹는 이유는 100가지도 넘겠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뜻밖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책은 아주 쉽고 만만해 보이는 껌과 껌 씹기에 얼마나 놀라운 효능이...

  • 천기누설 11 : 척추, 관절, 비뇨기과 질환- 척추, 간절, 비뇨기과 질환을 약초로 극복한 사람들 MBN 천기누설 제작팀 (지은이) | 김달래 | 서재걸 | 이광연 (감수) 다온북스컴퍼니 | 2015-06-05 현대의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자연의 신비한 힘으로 각종 암, 당뇨, 고혈압 등을 치유한 사람들의 비밀을 집요하게 추적하고 있는 이 책은 평균수명 100세 시대에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건강에 관한 풍성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한다. 누구나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

  • 한국여성의 우울증과 만성통증에 대한 심층분석 질병관리본부 (지은이) 휴먼컬처아리랑 | 2015-06-05 여자는 남자에 비해 수명은 긴 반면, 불건강한 생존 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기 때문에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더 깊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WHO(2009)에서는 여성의 건강은 여성 자신뿐 아니라 아동의 건강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여성 건강에 대한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