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정보교류센터

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노화 곡선과 운동 - 노인을 위한 종합 운동 지침서 Joseph F. Signorile (지은이) | 박채희 | 장경태 | 정연수 | 이정숙 (옮긴이) 대한미디어 | 2015-02-13 [목차] I부 노화 곡선의 이해와 노인의 트레이닝 1장 노화 곡선 나이의 개념 / 다이아몬드 비유 / 노화 곡선들 / 노화 곡선을 펴기 위한 운동 이용 / 노쇠와 신체적 허약함 / 예방 또는 재활 / 목표를 가진 중재로서의 운동 / 요약 2장 검사...

  • 약술 발효효소 식초로 100세 건강 만들기 김성만 (지은이) 좋은땅 | 2015-02-12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시각으로 발효의 원리를 서술하여, 발효라는 큰 틀 안에서 다양한 식품들을 만들고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약술 만들기, 발효효소 만들기, 식초 만들기에서는 그동안 축적해온 저자만의 노하우를 소개한다. 또한 이렇게 만든 발효식품에 함께 ...

  • 임파서블 큐어 에이미 랜스키 (지은이) | 김정곤 (옮긴이) 지식공감 | 2015-02-12 2003년 이래 11년간 아마존닷컴 베스트셀러, 2011년 이래 올해까지 4년 연속 올해의 책으로 선정된 책. 이 책은 호메오퍼시의 객관적인 특징과 가능성을 설명하며 원인을 모르거나 난치병이라 치료하지 못했던 모든 병들에 관한 희망을 준다.

  • 담배 끊을 용기 - 정신과 전문의가 찾아낸 기적의 금연 치유력 전지석 (지은이) 스토리3.0 | 2015-02-11 흡연자들이 갖고 있는 담배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180도 뒤바꾸어줌으로써 ‘흡연 욕구’를 ‘금연 욕구’로 전환시켜준다. 예를 들어 흔히 우리가 ‘금단증상’은 담배를 피우지 않아서 나타나는 몸의 신호라 여기는데, 실은 우리가 ‘담배를 피우기 때문에’ 금단증상이 존재한다는...

  • 명리학과 한의학의 만남 - 적천수(滴天髓)의 명의동원사상(命醫同源思想) 연구 白炅 김민재 (지은이) 밥북 | 2015-02-11 명리학의 고전인 『적천수』에 나타난 질병론을 한의학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그 이론적 상관성을 밝히려는 책이다. 아울러 이들 양자의 병리이론을 접목시켜 질병 진단과 치료가 현대 의학적으로 보완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토하여, 명리학과 한의학의 융합을 시도하는 ...

  • 100세 건강법칙 - 88하게 99세까지 김동국 (지은이) 한비CO | 2015-02-10 [목차] 01. 목욕법과 100세 건강 -모든 병의 원인은 과식과 냉기- -목욕을 하면 건강해진다- -식후 목욕은 1시간 후에- -목욕법의 종류와 효과- 1)전신욕 2)미온욕 3)고온욕 4)사우나욕 5)좌욕 6)냉온교대욕 7)족욕과 수...

  • 건강과 운동처방 김남익 (지은이) 의학서원 | 2015-02-10 현대인의 질병 양상은 전문적인 용어로 ‘복합성 질환’이라고 부른다. 과거에는 세균성 또는 전염성 질환과는 달리 질병발생에 관여하는 원인이 단일 요인이라기보다는 여러 가지이며 이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발병한다. 이전에는 ‘성인병’ 또는 ‘만성퇴행성 질환’ 등으로 ...

  • 약초 민간요법 : 조제편 권혁세 (지은이) 글로북스 | 2015-02-10 이 책에서 조제라 함은 여러 가지 약재를 적절히 조합하여 한가지 약제를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여러 가지 약재를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 조제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비방을 공개한다. 제1장 단방주침요법에서는 약술의 약재로 쓸 수 있는 약용 식물를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여...

  • 인지재활훈련 - 치매 및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김영범 | 오태형 (지은이) 학지사 | 2015-02-10 [목차] 인사말 책을 펴내며 평가 1-1 이 책의 특징은? 평가 1-2 ·1일차 훈련 ·2일차 훈련 뇌혈관 질환에 관한 짧고 전문적인 지식 [1] ·3일차 훈련 ·4일차 훈련 ·5일차 훈련 모범답안(1∼5일차) 뇌혈관 질환에 관한 짧고 전...

  • 자세 교정 억지로 하지 마라 고이케 요시타카 (지은이) | 황미숙 (옮긴이) 삼호미디어 | 2015-02-10 우리는 대부분 허리를 펴고 등을 쭉 늘린 자세를 바른 자세라고 배워왔고, 그렇게 믿으며 살아왔다. 그래서 억지로 등을 꼿꼿이 세우려고 노력하지만 그것도 그때뿐이고, 의식하지 않으면 금세 원래대로 돌아와 버린다. 과연 근본적인 자세교정은 가능한 것일까? 이 책의 저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