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보기 학술정보센터 (3)건 |
연구자 인터뷰 |
학회 참관기 |
전체보기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94)건 | ||||
근거중심한의약 DB | ||||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 Sleep. 2022
Zao Ren An Shen capsule for insomnia: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 참고로, 2020년에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에서는 이미 19편의 임상시험을 분석하여 이 중약이 불면증에 대하여 플라세보와 비교해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유의하게 더 우수하고,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
||||
[체계적 문헌고찰] PLoS One. 2022
Japanese traditional Kampo medicine bofutsushosan improves body mass index in participants with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비만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는 phentermine/topiramate, and naltrexone/bupropion은 체중 감소의 효과는 있으나 [3-5] 불면증, 불안, 환각과 같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고 [3, 4, 6] orlistat는 장내 리파아제를 억제하고 비만을 개선시키기...
|
||||
약물상호작용 DB | ||||
[한약-양약 상호작용]
According to a review, motherwor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to treat insomnia and anxiety and theoretically may interact with other sedatives [1]. According to secondary sources, motherwort my cause drowsiness an
...
... 따르면, 익모초는 전통적으로 불면증과 불안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이론적으로 다른 진정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1]. 2차 출처에 따르면, 익모초는 졸음을 일으킬 수 있으며 중추 신경계 (CNS) 억제제 및...
|
||||
[한약-양약 상호작용]
Combination use of caffeine and other stimulants may theoretically result in additive stimulant effects and increase the risk of adverse effects such hypertension, tachycardia, insomnia, and nervousness. There is a case
...
... 다른 자극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부가적인 자극 효능을 초래하며 고혈압, 빈맥, 불면증, 불안과 같은 유해 효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있다. 암페타민과 카페인의 비강 내 사용에 따른 허혈성...
|
||||
생약 up-to-date | ||||
전체보기 지식솔루션센터 (11)건 |
생활 속 한의 |
세계 속의 의료인 |
의국 스토리 |
전체보기 사이언스센터 (4)건 |
한의약 과학 한마당 |
한의학 뉴스 |
한약, 암 환자의 불면증 개선에 효과 있을까?
한의신문 2024-01-26
[KMCRIC과 함께 임상논문 쉽게 읽기]
|
노인 불면증 방치하면 치매 위험 2배 증가
동아일보 2023-11-22
한양방 병행 치료 안전성-효과 밝혀져
|
융합 뉴스 |
불면증, 약 대신 모바일 앱으로 치료… 디지털 치료기기 국내 첫 처방 국민일보 2024-01-16 |
푹 자려면 커피는 오전 10시 반 전 한 잔만 마셔야
동아사이언스 2024-01-02
불면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 불면 장애'
|
학회 참관기 |
근거중심한의약 DB |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 Sleep. 2022
Zao Ren An Shen capsule for insomnia: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 참고로, 2020년에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에서는 이미 19편의 임상시험을 분석하여 이 중약이 불면증에 대하여 플라세보와 비교해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유의하게 더 우수하고,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
[체계적 문헌고찰] PLoS One. 2022
Japanese traditional Kampo medicine bofutsushosan improves body mass index in participants with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비만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는 phentermine/topiramate, and naltrexone/bupropion은 체중 감소의 효과는 있으나 [3-5] 불면증, 불안, 환각과 같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고 [3, 4, 6] orlistat는 장내 리파아제를 억제하고 비만을 개선시키기...
|
약물상호작용 DB | ||||
[한약-양약 상호작용]
According to a review, motherwor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to treat insomnia and anxiety and theoretically may interact with other sedatives [1]. According to secondary sources, motherwort my cause drowsiness and theoretically may have additive effects with CNS depressants and sedatives such as clonazepam ((Klonopin®), lorazepam (Ativan®), phenobarbital (Donnatal®), and zolpidem (Ambien®).
... 따르면, 익모초는 전통적으로 불면증과 불안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이론적으로 다른 진정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1]. 2차 출처에 따르면, 익모초는 졸음을 일으킬 수 있으며 중추 신경계 (CNS) 억제제 및...
|
||||
[한약-양약 상호작용]
Combination use of caffeine and other stimulants may theoretically result in additive stimulant effects and increase the risk of adverse effects such hypertension, tachycardia, insomnia, and nervousness. There is a case report of ischemic stroke after intranasal use of amphetamine and caffeine [27]. In animals, caffeine may potentiate the reinforcing and discriminative effects of cocaine [140;141;142;143]. In humans, there was a lack of physiologic response to cocaine with infrequent acute caffeine administration, with the exception of augmenting blood pressure [144]. In humans, combined use of phenylpropanolamine and caffeine may result in increases in blood pressure [145;146;147;148;149;150], which may be due to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mechanisms [149]. It has also been shown to have additive effects on cardiovascular parameters with nicotine (549). In animal research, coadministration of caffeine and methylphenidate resulted in long-term changes in locomotor activity and cross-sensitization through dopamine- and cAMP-regulated phosphoproteins of the 32kDa (DARPP-32)-dependent pathway [152].
... 다른 자극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부가적인 자극 효능을 초래하며 고혈압, 빈맥, 불면증, 불안과 같은 유해 효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있다. 암페타민과 카페인의 비강 내 사용에 따른 허혈성...
|
생약 up-to-date |
생활 속 한의 |
세계 속의 의료인 |
의국 스토리 |
의료인의 서재 |
한의약 과학 한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