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 이승민
[워킹맘 한의사 앤 더 시티]

안녕하세요? 저는 경희대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침구과 전문의로서 활동하면서 침구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오랜 꿈을 이루기 위해 2019년 미국 뉴욕으로 왔습니다. 이 글을 통해 한의사로서, 강사 및 연구자로서, 또 두 아이의 엄마로서 해외에서 살아가는 일상과 생각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한의사 이승민 프로필

미국 한의원에 내원하는 환자 분포

 

미국에 온 지 벌써 2년이 다 되어 갑니다. 그동안 개인 한의원도 오픈했고 다른 한의원에서 부원장으로 진료도 하면서 다양한 환자들을 만났는데요. 이번 칼럼에서는 한국에서 미국으로 오실 준비를 하고 있는 한의사분들을 위해 미국에서는 어떤 환자들이 한의원에 많이 내원하고, 한국에서 만나게 되는 환자들과는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제 경험을 바탕으로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우선 침 치료를 받는 환자 수는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2007년에 발표되었던 연구 논문에 의하면 미국에서 침을 사용해 본 적이 있는 환자 수는 5년 전이었던 2002년에 비해 50%가 증가하였고, 성인 1,000명당 침 치료를 받으러 간 횟수도 1997년에는 27.2회였던 것에 비해 2007년에는 79.2회로 거의 세배나 늘어났다고 합니다 [1]. 10년이 지난 지금은 침 치료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도 더욱 높아졌고 보험 적용 범위 또한 넓어졌기 때문에, 침 치료를 받는 환자 수가 더욱더 늘어났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늘어난 환자 수만큼 당연히 한의사 수도 많이 증가했습니다. 20,750명이었던 2003년에 비해 2018년에는 그 수가 37,886명으로 집계되었고, 그중 절반 이상이 캘리포니아 (12,135명; 32.03%), 뉴욕 (4,438명; 11.71%), 그리고 플로리다 (2,705명; 7.13%)에서 진료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2]. 또한, 늘어나는 경쟁 속에서 미국 한의원들도 한국과 비슷하게 전문 분야로 특화된 형식의 클리닉들이 조금씩 생겨나고 있지만, 그래도 아직은 대부분 일반 진료 위주로 많이 합니다.


2019년 9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약 6개월간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각기 다른 한의원에서 부원장 진료를 하면서 본 환자 수를 집계해 보니 약 1,200명 정도 되었습니다. 요일마다 진료를 했던 지역 (Bayonne, Journal Square, Palisades Park)이 모두 달랐는데도 불구하고 클리닉에 내원하는 환자분들의 분포는 매우 비슷했습니다. 그런 것을 보면, 교통사고 전문 한의원이거나 특수한 지역에 위치한 한의원이 아니라면 다른 일반 한의원도 큰 차이는 없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약 60%는 근골격계 통증, 20%는 불안과 불면 등의 정신과적 문제, 10%는 여성 질환, 그리고 나머지 10%가 기타 정도로 분류되더군요. 근골격계 통증으로 인해 내원하시는 환자분들의 상태는 한국에서 보던 환자분들과 연령대 이외에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연령대가 높은 분들이 더 많이 내원하셨다면 미국에서는 오히려 조금 더 젊은 분들이 많았습니다. 무거운 총기를 매일 착용함으로 인해 생긴 허리 및 골반 통증으로 내원한 미국 경찰 환자 등 한국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유형의 환자들도 간혹 있었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장시간 근무로 인해 발생한 요통 혹은 경항통, 과사용으로 인한 테니스 엘보우, 손목 통증 등으로 내원했으며 침 치료에 대한 반응도 좋은 편이었습니다.


LSM 0009-img-01.jpg


여성 질환, 불안, 불면 등의 문제로 내원하시는 분들은 한국에서 자주 뵐 수 있지만, 한국 환자들과 양상이 조금 달라서 진료 초반에 따로 공부를 많이 해야 했습니다.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 될 것이 두려워서 산부인과 선생님의 처방으로 첫 생리를 시작하자마자 성인이 된 최근까지 매달 피임약을 복용했던 불임 환자, 약물 남용으로 인해 재활 치료 중인 환자의 심한 불안과 불면증, 고도 비만 환자의 체중 감량 등 한국에서 접하기 쉽지 않았던 분들이 꽤 내원하였습니다.


LSM 0009-img-02.jpg


마지막으로 미국에서만 특징적으로 볼 수 있는 환자들도 있었습니다. 라임병 환자가 대표적인 예인데, 안면마비로 내원했던 환자 중에서 일반적인 안면마비 환자와 증상이 사뭇 달라서 초진 시에 무척 애를 먹었습니다. 1회 침 치료 후에도 치료에 대한 반응이 일반적이지 않아서 정밀 검사를 받도록 권유하였는데, 라임병으로 진단받아 병원에 입원하였습니다. 라임병의 ‘라임’이라는 단어 자체가 미국 북동부에 있는 ‘라임’이라는 지역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고 하니, 이 병은 미국에서는 매우 흔한 질환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보기 드문 질환입니다. 더군다나 교과서에서 배운 대로 라임병의 초기 증상인 Bulls-eye rash (황소 눈처럼 생긴 발진)가 나타나 있는 상태로 항상 내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말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에서 볼 수 있는 환자들이 대체로 한국과 유사하기 때문에, 미국 진출을 준비하는 한의사분들이 크게 걱정하거나 두려워하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시간 단위로 청구할 수 있는 미국의 보험 제도 덕분에 오히려 한국에 있었을 때보다 환자 한 분 한 분과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고 각 증상에 대해 더욱 상세히 배울 수 있었습니다. 세계 어디서든 환자를 위한 마음을 토대로 배움의 자세를 견지한다면, 언어의 장벽이 다소 있더라도 진심은 통하는 것 같습니다.



References


[1] Zhang Y, Lao L, Chen H, Ceballos R. Acupuncture Use among American Adults: What Acupuncture Practitioners Can Learn from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2007?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2012:710750. doi:10.1155/2012/710750.


[2] Fan AF, Stumpf SH, Alemi SF, Matecki A. Distribution of licensed acupuncturis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at the start of 2018. Complement Ther Med. 2018;41:295-301.



© 한의사 이승민의 워킹맘 한의사 앤 더 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