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24. [특별편] 신의학요감

 

LGJ 0024-main.jpg



행파 이태호 선생이 1930년대에 관훈동에서 행림서원(杏林書院)을 열기 전에 자성당 서점(自省堂書店)에서 일했고 주무를 거쳐서 주인이 되었다는 단서를 준 자료는 바로 『신의학요감(新醫學要鑑)』이다. 이 책은 1927년 2월 20일에 초판이 발행되었는데, 채 4개월도 지나지 않아 3판을 찍는다. 발간하자마자 큰 인기를 얻었다는 뜻이다. 책값은 3원(圓)이었는데, 1941년까지 변경되지 않았다. 1940년 총독부 통계에 의하면 경성(京城)에서 중품 쌀 100kg 한 가마니 가격이 28.25원이었다고 한다. 아래 표는 초판이 나온 1927년부터 1941년까지 출판 이력이다.


LGJ 0024-table-01.jpg



발행소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신의학요감』 판본의 간기면(刊記面)을 통해서 보면, 초판은 1927년 2월 20일에 나왔다. 편집 겸 발행인은 이태호이다. 그런데 발행소가 네 곳이다. 삼성당 (광화문통 38), 자성당 (광화문통 38), 근화사 (경운동 100), 이문당 (관훈동 130)이다. 3판은 1927년 6월 5일, 4판은 1928년 5월 25일인데, 3판과 4판에는 자성당과 삼성당이 함께 발행소로 올라가 있다. 이때 삼성당의 주소는 ‘광화문통 38-1’이다. 초판에서는 삼성당과 자성당의 주소지가 동일했는데, 3판과 4판에서는 삼성당이 ‘광화문통 38-1’이다. 이후에 6판이 나온 1929년 2월 25일까지는 자성당 서점에서 발행했다. 자성당 서점의 주소는 여전히 ‘광화문통 38’이다.


삼성당에 대해서 좀 다른 정보가 있다. 1927년 7월 25일에 조선일보에 실은 『신의학요감』 광고에 함께 발행소로 올라간 삼성당의 주소가 ‘수은동(授恩洞) 145’이다. 수은동은 묘동(廟洞)의 다른 이름인데 묘동은 종묘 옆으로 단성사가 있던 일대이다. 수은동은 광화문통이나 경운동과는 업역(業域)이 좀 다른 지역이다. 과연 삼성당은 어디에 있었을까? ‘광화문통 38’인가, ‘광화문통 38-1’인가, ‘수은동 145’인가?


그러다가 1932년 11월 20일에 나온 9판에서 발행소가 행림서원으로 바뀌고 주소는 ‘관훈동 112’이다. 행림서원 주소가 ‘관훈동 112’로 된 가장 빠른 자료는 동아일보 1931년 10월 28일에 실린 『선한약물학』 광고이다. ‘안국동 157’은 1935년에 나온 『신의학요감』 11판에서 보인다.


LGJ 0024-table-02.jpg


판매소


『신의학요감』의 판매를 담당했던 곳은 삼성당 (광화문통 38-1), 자성당 (광화문통 38), 자성당 서점 (광화문통 38), 한성도서(주), 삼일사 (관훈동 112), 영광당 서점 (관훈동 112) 등이다. 발행소와 판매소의 밝혀진 주소로 보면, 한성도서(주)를 제외하면 삼성당, 자성당, 삼일사, 영광당 서점, 근화사 (경운동 100), 이문당 (관훈동 130) 등은 행파 선생 그리고 행림서원과 아주 특별한 관계를 가졌던 곳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신의학요감


『신의학요감』은 국한문이 혼용된 의학 서적이다. 기초적인 의학지식을 해부, 생리, 내과, 외과, 안과학, 진료요술, 전염병학 (이상 상권), 약물학, 약국방편람, 간호법, 구급법 (이상 하권)의 챕터로 나누고 그 아래 세부항목을 두어서 간명하게 알리고 있다. 나중에 증보판에는 의학 관련 법규와 서식이 부록으로 추가되었다. 광고에 ‘각 경찰관서에서 의생 강습회 교과서’로 되었다고 강조하고 있으니, 이 책이 목표하고 있는 바를 바로 알 수 있다. 의생 시험을 앞에 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초판에서는 일명 ‘의문요감(醫門要鑑)’이라고 하고 의학사 조병영(趙昺榮) 교열이라고 하였다. 이후에 3판에서는 신의학연구회가 편집하였다고 책에 표기해 두었는데, 사실 ‘신의학연구회’는 이 책을 위해서 급조된 듯한 느낌이다. 3판에서는 미국 의학박사라는 최영재(崔永在)가 교열자로 추가되었다. 나는 이 책이 참고한 일본어판 원본이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LGJ 0024-img-01.jpg

1927년 초판 『신의학요감』 겉표지

사진 제공: 우리경희한의원 서정철 원장



의생규칙


일제는 식민 통치의 중요한 정책으로 근대적 의료의 강제적인 시행을 중시하였다. 조선에서 전통적이고 공식적인 의료 행위를 담당했던 사람들은, 신분적인 구별에 따라 유의(儒醫), 의원(醫員), 약상(藥商)이 있었다. 1900년 1월 2일에 서양의학 제도를 도입하는 의사규칙(醫士規則)이 공포되었다. 그러다가 일제는 1913년 11월 15일에 의생규칙(醫生規則)을 반포하고 1914년 1월 1일에 시행하였다.


의생규칙의 반포는 주로 종래에 개업하고 있는 전통 한의로 하여금 그 업을 계속하도록 하는 취지로 나온 것이라고 밝혔으나, 사실은 의사 및 의료시설이 턱없이 부족했고 서민 의료에 대한 궁여지책이었다. 의생규칙의 시행 후 3개월간 신청을 받아 5,813명이 영구 면허를 받았다. 이후에는 각 도지사의 재량에 따라 5년 기한의 한지의생 면허만 발급되었다.


일제는 부족한 의료 인력을 대체할 수단으로 의생 면허를 획득한 의생에게 공식적인 위생 업무와 인구 관리 업무를 부과하였다. 그렇게 하려고 보니 의생들에게 해부학, 생리학, 전염병학 등 서양의학 지식을 교육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의생들에 대한 서양의학 지식 교육은 지역 경찰서장이 주관하는 ‘의생 강습회’라는 강연회를 통해서 시행하였다. 한일 합병 후에 새로운 경찰관제가 도입되었고 위생 사무는 경찰에 속했다. 강사는 경찰이나 공의 또는 촉탁의였다. 교육에 통일이 필요했으므로 총독부 경무총감부는 『의방강요』(1917), 『조선위생요의』(1918) 등의 교재를 발간했다.


의생 시험은 각 지방 경찰서장이 주관하다가 1925년부터는 각도 위생과에서 맡았다. 시험 문항은 주관식으로 4문제에서 7문제 정도였는데 해부학①, 생리학①, 내과①, 외과①, 전염병①, 산부인과①, 약물① 이런 분포였다. 도진우가 지은 『동서의학요의』(1924)는 의생 시험의 기준서로 평가받았다. 1930년대 이후에는 총독부의 한의학에 대한 정책 변화가 생겨서 의생 시험문제 출제경향에 변화가 있었다. 한의학과 관련한 문제가 절반을 넘었다. 의생 시험은 1942년에, 의생 제도는 1944년에 폐지되었다. 1927년부터 1933년까지 도 단위 의생 시험문제를 망라한 『최근전선 의생시험문제해답집』이 남아 있다.


*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1981. 1. 30.

   맹웅재 외, 『한의학통사』 대성의학사 2006. 8. 30.

   황영원, 「일제시기 한의학 교육과 전통 한의학의 변모」 『의사학』 제58호 2018. 4.


LGJ 0024-img-02.jpg

『신의학요감』 겉표지


LGJ 0024-img-03.jpg

『신의학요감』 속표지


LGJ 0024-img-04.jpg

『신의학요감』 간기면


* 사진 참고 및 출처: 남문서적 / 노마드북 / 옛날물건 / 오북서점 / 오케이서적 / 한옥션 /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 국립중앙도서관 / 경희한방민속박물관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