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

‘과연 체질은 몇 가지인가’ 하는 문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상의학과 8체질의학이 임상의 대처에 유용하다면, 다른 숫자를 표방하는 여타의 체질론 또한 나름대로 유용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굳이 체질의 가짓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 체질론이 일관된 논리와 형식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 인체에 적용하여 재현성 있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이런 의미에서 8체질론과 8체질의학은 현재, 사람의 몸을 바라보는 가장 탁월한 체질이론이며 치료체계이다.

체질을 알아도 살고 체질을 몰라도 산다. 자기의 체질을 알고 나서 더 잘 사는 사람이 있고, 자기의 체질을 알고서도 여전히 잘 못 사는 사람도 있다. 자기의 체질을 몰라서 계속 잘 못 사는 사람도 있고, 자기의 체질을 모르면서도 잘 사는 사람이 있다.

체질론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면 제대로 정확한 개념을 갖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이 그 길을 쉽고 자상하게 안내할 것이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8체질 전문 커뮤니티 Onestep8.com 개설
• 세명대학교, 대원과학대학 강사
•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 임상8체질연구회 창립

[저서]
『학습 8체질의학 Ⅰ/Ⅱ』, 『임상 8체질의학 Ⅰ/Ⅱ/Ⅲ』, 『개념8체질』, 『체질맥진』, 『시대를 따라 떠나는 체질침 여행』, 『8체질론으로 읽은 동의수세보원』, 『수세보원 들춰보기』

이강재
이강재

1988년 한의사가 되어 1997년 봄 8체질론을 접한 후, 지난 24년간 체질의학 연구에 몰두해 왔다. 커뮤니티 운영, 대학 강의, 저술과 서적 발간, 체질학교 강의, 연구회 활동, 임상 진료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체계화시킨 정확하고 핵심적인 8체질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글을 쓰려고 한다.

프로필 바로가기

#25. [특별편] 사상의학원론

 

LGJ 0025-main.jpg



1970년 5월 27일 대한사상의학회가 출범하였는데 학회의 이름을 두고 이견이 있었다고 한다. 홍순용(洪淳用 1909~1992) 선생은 사상의학회를 노정우 선생은 체질의학회를 주장하였다고 송일병 선생이 전하는데, 당시에 학회 설립을 주도한 사람이 홍순용 선생이므로 사상의학회로 정해졌다. 그 이후에 1999년 4월 17일 제19회 정기총회에서 학회명을 대한사상체질의학회로 변경하였다.


대한사상의학회가 초기에 가장 역점을 두었던 사업은 『동의수세보원』의 번역이다. 1971년 8월에 열린 정기총회에서 번역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결의하고 5인의 번역위원회를 꾸렸으나 위원회의 활동은 순조롭지 않았고, 결국은 이을호(李乙浩 1910~1998), 홍순용 두 사람이 완성하게 된다. 이 번역 원고로 책을 만들던 도중 수문사(壽文社) 강수병 사장이 별세했고 책의 완성을 보지 못했다.


1973년 10월 15일 『사상의학원론』 초판이 세상에 나온다. 학계의 반향은 뜨거웠다. 이 내용을 표절한 문고판이 나올 정도였다. 1976년에 이갑섭 사장의 행림출판사가 판권을 이어받아 재판을 찍었고, 이후에도 여러 번 중판(重版)되었다. 1979년과 1982년에는 행림출판사로, 1983년, 1985년, 1989년, 1992년에는 행림출판 이름으로 나왔다.


LGJ 0025-img-01.jpg

『사상의학원론』



동무 공 초상


초판에서부터 서문의 앞 장에 동무 공의 초상이 실려 있다. 뒷면에는 향부자팔물탕 처방전과 〈수세보원〉 7판본인 『상교현토 동의수세보원』 사진이 아래위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 실린 동무 공의 초상은 이현재 선생이 소개했던 초상과는 다른 것이다.


그런데 초상 사진이 좀 이상하다. 인쇄된 사진의 테두리가 정확한 사각형이 아니다. 한 학회가 역량을 모아 심혈을 기울인 작업이고, 그런 결과로 완성된 책의 제일 앞 장에 넣은 사진이다. 다른 사람도 아니고 동무 이제마 공의 초상이다. 너무 허술하다. 이 사진은 마치 다른 곳에 인쇄된 것을 찍어서 붙인 것 같다. 제대로 된 원본 사진판이 있고 그것으로 정상적으로 인쇄를 했다면 사진의 테두리는 정확하게 사각형이 되어야만 한다.


LGJ 0025-img-02.jpg

동무 공 초상


드러나지 않은 사연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아마도 책이 완성되기 전에 수문사 강수병 사장이 별세한 것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짐작을 했지만 아무래도 석연치 않다.



작은 동판


2021년 9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의 김남일 교수가 미국에 있는 노정우 선생의 유족으로부터 2019년에 유품을 기증받았는데, 그 자료를 정리하고 연구해 보면 좋겠다고 내게 제안했다. 그래서 자료 꾸러미를 받으러 김 교수의 연구실에 몇 번 방문했다.


그러다가 흥미로운 물건을 하나 발견했다. 김 교수는 그것이 어떤 용도에 쓰는 것인지 잘 알지 못했지만 나는 보자마자 알았다. 인쇄업계에서 부식판이라 부르는 동판이었다. 나는 43년 전 고교 1학년 때 교지 편집부로 활동했던 경험이 있다. 그때 삽화를 찍을 때는 부식판을 썼다.


고교 1학년 때는 1979년이니 그 동판 속의 인물을 보는 순간 아하 생각이 떠올랐다. 동판은 동무 공의 초상이었고 크기는 가로 5.2cm, 세로 7cm였다.


『사상의학원론』에 들어간 동무 공의 초상은 이 동판으로 직접 인쇄한 것은 아니다. 동판에 들어 있는 그림은 도포의 소매 부분까지 길게 있는데, 『사상의학원론』에 들어간 초상은 가슴 부위에서 잘려져 있다. 그리고 동판 원본보다는 책에 들어간 사진이 조금 더 크고 가로로 약간 펼쳐진 듯한 모양이다. 그러니 저 동판으로 직접 인쇄된 그림을 가져다가 아랫부분을 자르고 크기를 키우고 폭을 옆으로 좀 넓힌 것이다.


LGJ 0025-img-03.jpg



미스터리


노정우 선생은 위에서 거론한 번역위원회 5인 중에 포함되지도 않았다. 그런데 이 동판을 어떻게 선생이 지니게 되었던 것일까? 동판을 만든 원본을 그린 사람이 있을 텐데 그 사람은 누구일까? 정작 출판업자였던 강수병 사장은 동판을 알지 못했던 것일까?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의 박성식 교수는 『사상의학원론』에 들어간 동무 공의 초상이 사상체질의학회의 공식 초상이라고 내게 말했다. 아니 학회에서는 원본이 무엇인지도 몰랐으면서 ‘공식 초상’이라고 한다. 학회 내에서 어떤 결의를 하였던가? 대체 근거가 무엇인가?


아직도 나는 찾고 있지만, 이 동판이 정확하게 인쇄된 출판물을 발견하지 못했다. 여전히 미스터리다. 돌아가신 노정우 선생은 말씀이 없으시니, 더 그렇다.



© 이강재 원장과 떠나는 8체질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