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용인 백남준아트센터와 독일식 오리정식

 

JTG 0104-main.jpg



용인이라는 도시는 수식어가 많다. 그중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건 ‘백남준’. 세계 미술계를 뒤흔들었던 아티스트 백남준의 작품이 가장 많이 소장돼 있는 곳은 용인이다. 그의 흔적을 만날 수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용인으로 떠날 이유는 충분하다.



거장이 영원히 살아 숨 쉬는 집


백남준은 이곳을 두고 ‘백남준이 오래 사는 집’이라고 이름 붙였다. 예술가는 죽어도 그의 예술은 남는다. 작품이 남아 있는 한 예술가는 영생하는 것이나 마찬가지. 그래서 그는 용인의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아직 살아 숨 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시 말해 용인의 백남준아트센터를 찾아가는 일은 백남준을 만나러 가는 것이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용인은 동서로 길게 늘어선 도시다. 서쪽으로 갈수록 수지구를 중심으로 신도시이고, 동쪽으로 가면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디다. 농촌의 풍경이 많이 남아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고 자연환경이 잘 보존돼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백남준아트센터가 있는 곳은 수원IC에서 가까운 신갈 지역이다. 고속도로에서 접근이 용이해서 찾아가기에 좋다. 에버랜드와 같은 유원지가 용인 외곽에 자리하고 있다는 걸 생각해보면 상당히 좋은 입지 조건이다.


백남준아트센터는 외관부터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차에서 내려 걸어 들어가는 사람은 눈치채기 어렵지만, 하늘에서 보면 그랜드피아노와도 같은 형상이다. 건물의 외관은 유리로 둘러싸여 있는데, 여기에 검은색 스트라이프가 수도 없이 덧대어져 있다. 이는 설계 당시부터 의도된 장치다. 독일의 건축가 크리스텐 쉐멜과 마리나 스탄코빅은 공동으로 이 건축의 설계를 담당했는데, 그들은 각기 다른 반사율을 갖는 유리를 여러 겹으로 덧대서 이 역사적인 장소를 완성했다. 이는 백남준이 작품의 소재로 사용한 초창기의 흑백텔레비전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알려져 있다. 설계자들은 이 유리를 ‘스크린 파사드’라고 부른다.


JTG 0104-img-01.jpg


이렇듯 외관이 백남준에 대한 오마주로 치장되어 있다면 안쪽은 백남준의 작품으로 밀도 있게 채워두었다. 들어서는 입구부터 구석구석 눈길을 사로잡는 선과 선이 맞닿아 있으며 공간마다 크고 작은 백남준의 작품들이다. 올해는 백남준 탄생 90주년. 이를 기념해 내년 초까지 기념 전시가 한창이다.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작품이 적지 않게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입구 바로 왼편에 늘어선 것부터 이곳에서 첫선을 보이는 작품이다. 이름은 ‘걸리버’. 백남준아트센터가 구입해 기념전 2개 중 1층 전시인 ‘백남준의 보고서 1968~1979’의 대문 역할을 한다.


JTG 0104-img-02.jpg


자그마한 인형 같은 텔레비전은 소인이 되어 커다란 라디오 캐비닛 위에 올라 서 있다. 그 장면이 영락없이 소인국을 침공한 거인을 꽁꽁 묶어 놓은 모습이다. 그런데 가만히 들여다보면 거인의 역할은 구형 라디오, 이를 포박한 소인은 화면이 달린 텔레비전이다. 머릿속에서 자연스레 ‘Video kill the radio star’라는 노래가 떠오르게 한다.


JTG 0104-img-03.jpg



되살아난 백남준의 초기작


이곳에서 눈길을 끄는 작품은 또 있다. ‘백남준의 보고서’ 전시 메인홀로 들어가면 코끼리가 마차를 끌고 가는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마차 위에는 텔레비전이 한가득 실려 있다. 지금까지 좀처럼 보지 못했던 작품이다. <코끼리 수레>라는 이름이 붙은 이 수레를 끄는 건 코끼리 위에 올라앉아 가부좌를 튼 부처다. 깨달음을 중생에 전한다는 부처가 끄는 텔레비전이라…의미심장하다.


JTG 0104-img-04.jpg


맞은편에는 화려한 폭주족이 있다. <꽃가마와 모터사이클>이라는, 제법 여기저기서 모습을 드러냈던 작품이다. 이처럼 이번 전시에는 기존에 전시하지 않았던 백남준의 흔적이 꽤 많이 보인다. 아트센터 측은 이번 90주년 기념전을 위해 리움 박물관과 롯데칠성 등에서 작품을 빌려왔다고 설명했다.


JTG 0104-img-05.jpg


새로운 작품을 볼 수 있다는 것도 매력적이지만, 실상 이번 탄생 90주년 기념전은 전시 그 자체로도 상당한 의미가 있다. 우리는 백남준을 ‘미디어아트 예술가’로만 기억하고 비디오 매체를 이용한 형태의 작품으로 각인해 두었다. 하지만, 그것만을 그의 전부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는 기획자이기도 했으며 미디어 컨설턴트이기도 했다. 처음부터 지금의 비디오 매체를 이용한 예술을 했던 것도 아니다. 그에게도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시간이 있었으며, 그 흔적을 처음으로 세상에 드러낸 것이 백남준아트센터에서 마련한 두 개의 기념전이다.


JTG 0104-img-06.jpg


그중 1층에서 진행하는 ‘백남준의 보고서 1968~1979’는 미디어 컨설턴트로서의 백남준을 오롯이 드러내기 위한 자리다. 그는 뉴욕에서 활동하던 당시 록펠러재단의 후원을 받아 공식/비공식 자문역으로서 비디오 아트에 대한 지원 당위성과 발전 방향성을 제안해 왔다. 그는 비디오아트가 인류의 문화역사와 보존을 위한 기록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더불어 나와 다른 문화권에 대한 몰이해를 깨뜨리고 이해를 만들어가는 도구로서의 가능성도 보여줬다. 이에 대한 증거로 제시된 것이 인도의 어느 거리에서 만날 법한 <코끼리 수레>이며, 지금과 같이 인터넷으로 세계가 하나로 묶이는 세상을 예언하는 듯한 <꽃가마와 모터사이클>이다.


JTG 0104-img-07.jpg


1층의 전시가 백남준의 알려지지 않았던 면모와 혜안을 확인하는 자리라면 2층의 ‘바로크 백남준’은 그간 소개되지 않은 백남준의 초기 작품 중 설치미술을 재현하고 있다. 당시의 백남준이 활용했던 매체는 텔레비전이나 오디오가 아닌 뜻밖에도 레이저였다. 당시만 해도 레이저는 값비싼 도구였고 주로 군사용으로 사용됐다. 그런 레이저를 백남준은 설치 미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CRT 프로젝터 40대를 이용해 완성한 <시스틴 성당>의 일부가 2층 안쪽에 재현됐고, 1995년 독일의 교회 전체에 대규모 프로젝션과 레이저로 구현한 <바로크 레이저>도 함께 이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조성해 놓았다.


JTG 0104-img-08.jpg JTG 0104-img-09.jpg


두 개의 전시는 서로 다른 공간에서 진행되지만, 아래에서 위로 이어지며 예술가 백남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구성해 두었다. 개인적으로, 우연한 기회에 백남준아트센터를 들어가 구경했던 게 얼추 10년 전이었다. 아주 오랜만에 찾아간 그 공간은 훨씬 더 세련된 모습을 하고 있었지만, 의미 있는 전시로 다른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경험을 전하고 있었다. 백남준 탄생 90주년의 해는 이제 며칠 남지 않았다. 그러나 전시는 내년 초까지 이어진다. 한 번쯤 시간을 내어 찾아보아도 좋은 전시다. 용인을 찾을 구실로써 이만한 기회도 드물다.


JTG 0104-img-10.jpg



오직 용인에만 있는 ‘베를린 덕’


전시를 보고 나와 먹을거리를 찾다 보니 상당히 엉뚱해 보이는 음식이 눈에 들어왔다. ‘베를린 덕’. ‘베이징 덕’도 아니고 ‘베를린 덕’이라니. 호기심이 일었다. 지도 앱을 열고 찾아보니 백남준아트센터에서 그리 멀지도 않다. 신갈과 죽전 사이의 구성 지역 어느 언덕배기 위에 자리한 ‘덕하우스’라는 식당으로 차를 몰았다. 그리 크지 않은 자그마한 가게지만 이미 알음알음 찾아오는 이가 많은 듯했다.


이 가게가 파는 건 쉽게 말해 독일식 오리요리다. 한국의 오리와 무슨 차이가 있냐고 물었더니 튀긴 오리고기에 오디 소스를 더해 오븐에 한 번 더 익혀서 낸다고 했다. 식당을 운영하는 사장님은 유럽에서 오랜 시간 요리사로 일하며 익힌 오리요리 조리법에 한식을 더해 메뉴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요리 이야기를 하는 내내 신이 난 모양새다. 나름의 자신감도 엿보인다. 믿고 시켜보기로 했다.


조리 시간은 20분 남짓. 두툼한 오리고기를 스테이크처럼 썰어서 노란 강황밥에 곁들여 냈다. 뽕나무 열매인 오디는 달콤한 맛이 있지만 특유의 비릿한 향도 있다. 그 맛과 향을 잘 아는 터라 이게 과연 오리고기에 잘 어울릴까 싶었는데 의외로 칼칼한 맛을 더해 비릿함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도리어 먹고 난 뒤에 뒤에서 이어지는 은은한 단맛이 독특한 풍미를 자아낸다. 여기에 숙주를 함께 먹는데 아삭아삭한 식감과 오리고기의 겉은 살짝 바삭하고 속은 쫄깃한 식감이 어우러진다. 보는 맛과 먹는 맛이 모두 흥미롭다.


JTG 0104-img-11.jpg


그런데 왜 하필 오디를 소스 재료로 썼냐고 물었더니 이 근방에 커다란 뽕나무가 있어서 매년 엄청난 양의 오디가 나온다고 했다. 지역에서 나는, 아니 동네에서 나는 식재료를 이용해서 요리를 완성해낸 셈. 음식이라는 건 전적으로 만드는 사람의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하다. 만드는 이가 조금만 아프거나 마음이 안 좋으면 그대로 맛에 투영되기 마련이다. 넘치는 자부심과 사람 좋은 웃음으로 가득한 사장님의 모습이 뇌리에 길게 남은 건 그래서다. 사장님의 그 마음이 음식에 오롯이 스며들었다.


JTG 0104-img-12.jpg



JTG 0104-title.jpg


뽕나무 열매인 오디는 당나라 때부터 약으로 쓰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는 상심자라고 한다. 단맛과 신맛이 느껴지는 게 특징이다. 당이 많고 유기산과 점액질, 비타민 B1, 비타민 C 등이 함유돼 있다. 빈혈로 어지럽거나 귀에서 이명이 느껴질 때 복용을 권하고, 노인의 변비에도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 환자가 갈증을 많이 느낄 때도 이를 해소하는 데 좋다. 이뇨 작용이 강하므로 속이 냉한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