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심장.혈관.혈압 고민을 해결하는 방법 - 세계 No.1 심장외과의가 알려 주다 (원제 : 心臓.血管.血圧すべての悩みを解決する方法, 2018년) 청홍(지상사) | 2019-11-12가장 흔한 질병은 고혈압이다. 고혈압 후보까지 합치면 60세 이상 중 절반이 심혈관 질환에 관련된 어떤 증상을 앓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심혈관 계통 질환에 시달리는 사람과 그 질환에 걸릴까 봐 불안한 사람에게 직접 조언하는 심정으로 썼다고 한다. 이 책은 ‘심혈관계...
-
이왕재 교수의 비타민C 이야기 - 백세시대 건강의 답 라온누리 | 2019-11-12우리 몸을 지키는 건강과 생명의 파수꾼, 비타민C의 놀라운 효능들을 알려준다. 물론 비타민C 몇 알로 모든 건강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타민C의 효능이 아무리 좋을지라도 기존의 건강수칙은 여전히 유효하며, 앞으로도 유효할 것이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기존의 ...
-
툭하면 아픈 아이, 흔들리지 않고 키우기 김영사 | 2019-11-11소아과 의사이자, 세 딸을 둔 아빠인 강병철 저자가 에 연재해 화제가 된 육아칼럼을 모아 책으로 펴냈다. 해열제와 항생제에 대한 오해들, 걱정하기 전에 미리 알아두면 좋은 감기의 3무(無),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하게 지켜줄 영양과 비만에 대한 지식, 미세먼지와 기후 위...
-
평생 살찌지 않는 기적의 식사법 - 2주 만에 뚱보균을 없애고, 유익균을 늘리는 똑똑한 식습관 가이드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11-11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으로 장내 세균 구성을 바꾸고, 장내 환경을 좋게 만들 수 있는 10가지 식습관을 다루고 있다. 다이어트에 성공하고 더 나아가 건강하고 싶은 이들이 꼭 알아야 할 유익균과 유해균에 대한 정보를 알기 쉽게 풀어냈을 뿐만 아니라 2주 동안 지키면 반드...
-
암, 나는 나 너는 너 아카데미북 | 2019-11-05이 책은 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을 위한 안내서이다. 서울대병원 암 전문의인 저자가 진료실에서 자주 받는 질문 위주로 내용을 구성했다. 암 환자와 가족이 가장 궁금해 하는 점을 꼼꼼하게 설명하여 투병 생활은 물론 삶 전체를 다시 꾸려 나가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
-
통증박사 안강입니다 2 - 개정판 GL COMMUNICATION | 2019-11-0530만 환자의 통증을 다스린 세계 최고의 명의, 안강 박사가 수술 없이 편안해지는 치료의 비밀을 공개한다.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던 의학의 상식을 의심하고, 오직 통증에 대한 해답을 좇으며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걸어온 안강 박사. 의학계에서 환영받지 못했던 왕따 의사에...
-
백년운동 - 척추.관절 아프지 않게 100세까지 운동하는 방법 아티잔 | 2019-11-01서울대 의대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가 새로운 책, ‘백년운동’을 통해서 100세 인생을 건강하고 멋지게 살고 싶은 이들에게 그 방법을 의학적으로 제시한다. 건강분야 스테디셀러인 ‘ 백년허리’ , ‘백년 목’이 허리와 목디스크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대중에게 제시한...
-
치료받을 용기 - 진정한 허리치료를 원하는 환자들을 위한 지침서 지식공감 | 2019-11-01한 명의 청년이 한 명의 의사에게 10여 년 이상 진료를 보는 상황을 가상으로 정리하여 척추 질환의 자연 경과를 보여주며 각 단계별로 필요한 치료와 관리를 알려준다. 상세한 내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YouTube 링크를 통해 동영상으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
-
알츠하이머병은 뇌의 당뇨병이다 - 두 가지 ‘국민병’을 연결하는 놀라운 메커니즘 부광 | 2019-10-31알츠하이머병은 “뇌에 당뇨병이 생긴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는 이런 방향에서 재인식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널리 알리고자 한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과 증상, 당뇨병에 대한 연구를 통해 두 질병 간의 공통점을 찾고 당뇨병 약으로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
자가면역질환 다스리기 - with 양생 프로그램 이모션북스 | 2019-10-31'양생 의학'은 몸 속의 생명력을 길러주고 보강해주는 의학으로 병이 생기고 나서 약으로 증상만을 가리는 임시방편적인 대증 의학이 아니라 병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고 건강한 인체를 만들고 이를 지켜나가는 새로운 개념의 재건 의학이다.